코오롱글로벌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미착공 현장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추가 자금조달을 계획하고 있다. 1분기 코오롱글로벌은 4000억원을 조달했다. 지난 5월 17일 건설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코오롱글로벌은 PF 우발채무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자금조달을 계획하면서 5월 중으로 차입이 마무리할 방침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 3월 코오롱의 신용보강을 통해 2,000억원을 확보했다. 특수목적회사(SPC) 하나마치제일차, 하나마치제이차 등을 활용해 하나은행에서 자금을 끌어왔고 500 억원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나머지 1,500억 원은 자산담보부대출(ABL)이다. 코오롱은 신용디폴트스와프(CDS)로 신용을 보강했다. CDS는 신용도에 디폴트(채무불이행) 위험을 교환(스와프)하는 파생거래다. 코오롱이 수수료를 받고 코오롱글로벌의 채무불이행에 대한 위험을 대신 담보하는 거래다. 코오롱글로벌은 별도로 2,000억 원을 조달했다. SPC 안타티카하나제사차로 담보부대출을 유동화해 500억 원을 빌렸다. 이자율은 7.62%다. 우리은행에서는 담보부대출로 1,500억 원을 이자 7.41%로 별도로 차입했다. 1분기 4,000억원을 확보하면서 코오롱글로벌의 장기차입금은
주 베트남 한국대사관(박노완 대사)은 의류 생산업체인 세아상역(주) 하노이 지사 팀장 주성민 차장에게 한국 고용노동부 장관의 표창장을 전달했다. 코로나19 상황 때문에 시상식이 미뤄져서 지난 6월 7일 전달됐다. 주성민 차장은 그동안 삼성전자, CJ, 포스코, 효성, 태광, 창신, 화승, 코오롱 등 호찌민 지역에 있는 주요 기업들과 호찌민 총영사관의 노무관, 상무관과 함께 ‘사이공인사노무협의회’를 만들었다. 거기에 코트라와 베트남노동부 남부사무소 등 베트남 측 기관장들을 참여시켜서 인사 노무 관련 주요 커뮤니티로 자리를 잡는데 이바지했다. 그는 이 모임 초창기에 의류회사를 대표하여 참석한 주성민 차장은 부산외국어대 베트남어과 1995학번 졸업생이다. 4학년 때부터 취업하여 신발제조업체의 베트남 투자를 돕기도 했다. 그는 베트남어 전공자로서 일찍이 베트남에 진출하여 근무한, 풍부한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으로 기업들을 자문하고, 빠르게 정보를 공유하면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대다수 기업의 관리팀장들은 각종 법령을 영어본 또는 번역본을 토대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베트남어 원문을 바로 읽는 전공자가 이해하는 내용과 상당히 차이가 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