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데어 오리지널 콘텐츠, 모션 캡처를 체험해보세요.”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의 메타버스 스튜디오 ㈜오버데어(대표 박형철)가 동남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모바일 인터렉티브 UGC(User Generated Contents, 이용자 제작 콘텐츠) 플랫폼 ‘오버데어(OVERDARE)’의 알파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번 테스트는 5월 22일부터 6월 19일까지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총 5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다. 안드로이드 OS 기반의 모바일 기기로 참여할 수 있다. 해당 국가의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이번 테스트에서 오버데어의 다양한 플랫폼 기능과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다. 이용자들의 피드백은 정식 출시 시점에 더욱 완성도 높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활용된다. 먼저 이용자들은 오버데어가 제공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5종을 만나볼 수 있다. ▲자신만의 펫을 육성하면서 오버데어 세계관을 익힐 수 있는 튜토리얼 공간 ‘오리진아일랜드’ ▲역할 수행 서바이벌 게임 ‘매직마피아’ ▲이용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하며 AI 고양이 사장과 대화할 수 있는 공간 ‘캣 카페’ ▲NPC에게서 도망치며 이용자들끼리 협업해야 하는 술래잡
지난 4월 17일 크래프톤이 네이버제트와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 추진을 위한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을 공시했다. 합작회사 총 투자금액은 480억 원으로 크래프톤의 취득 예정금액은 408억 원, 네이버제트의 취득 예정금액은 72억 원이다. 취득 후 합작회사의 지분은 크래프톤이 85%, 네이버제트가 15%를 보유하게 된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웹 3.0에 기반한 메타버스 프로젝트 ‘미글루(Migaloo)’를 추진해왔으며, 연내 메타버스 출시를 목표로 본격적인 개발과 서비스를 위해 이번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합작회사는 북미에 설립되며 사명은 설립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미글루’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다양한 저작물을 창작하면, 이용자들이 해당 저작물을 구매하고 소유하는 방식의 C2E(Create-to-Earn) 시스템을 채택해 저작물 거래는 NFT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메타버스에서 일어나는 모든 거래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산을 받을 수 있는 방식을 적용해 거래와 정산의 투명성을 높였다. 합작회사에서 크래프톤은 프로그램 개발을 비롯해 크리에이터의 창작을 위한 샌드박스 툴과 블록체인 시스템 등의 개발을 담당
크래프톤(대표 김창한)이 ‘2022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월드 인비테이셔널(이하 2022 PMWI)’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22일 밝혔다. 2022 PMWI는 세계 각 지역별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 18개팀이 참가해 올 상반기 세계 최강의 팀을 가린 대회다. 지난 11일부터 20일까지 2주간 총 300만 달러의 상금을 두고 진행됐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인 리야드에서 3년 만에 오프라인 유관중 대회로 펼쳐졌다. 1주차에 열린 메인 토너먼트를 비롯해 2주차에 열린 번외 토너먼트 ‘애프터파티 쇼다운’까지 모두 태국의 뱀파이어 이스포츠가 우승을 거뒀다. 뱀파이어 이스포츠는 토너먼트별 우승 상금까지 모두 획득해 약 70만 달러(약 9억3700만 원)의 상금을 차지했다. 메인 토너먼트는 18개팀이 참가해 총 200만 달러의 상금을 걸고 하루 6매치씩 총 18매치를 통해 치열한 승부를 겨뤘다. 뱀파이어 이스포츠는 대회 1일차를 1위로 마감한 뒤 대회 2일차에 4위까지 내려앉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였지만, 마지막 대회일인 3일차에 안정적인 경기력으로 최종 1위에 등극했다. 2위를 기록한 사우디아라비아의 팀 팔콘은 대회 2일차에 1위에 올라서며 상승세를 보였지만, 3일차에 결국
‘플레이어스언노운배틀그라운드(이하 ‘배그’)’를 개발한 크래프톤이 게임 개발사 가레나와 이를 퍼블리싱 해준 애플과 가레나를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했다. 외신들은 크래프톤이 1월 10일(미국 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크래프톤은 싱가포르 게임사 가레나가 개발한 ‘프리파이어’가 배그의 오프닝, 게임 구성, 플레이, 아이템 조합 등 인게임 요소를 모방했다고 판단하고 저작권 침해 혐의로 고소했다. 2017년 싱가포르에서 모바일 게임 ‘프리 파이어: 배틀그라운드’를 출시한 가레나는 애플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배포했고 2021년 9월 ‘프리 파이어 맥스’라는 후속작을 출시했다. 전작에도 저작권을 침해했다는 주장을 꾸준히 제기했으나 가레나 측이 이를 무시하고 후속작까지 출시하자 크래프톤이 고소카드를 꺼내든 것이다. 동남아시아와 인도에서 1인칭 슈팅게임(FPS) 장르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크래프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2021년 11월에 ‘배틀그라운드: 뉴스테이트’를 출시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불확정 요소를 남기지 않겠다는 판단으로도 보인다. 크래프톤이 중부지
게임 '배틀그라운드(Battle Ground)'의 개발사인 크래프톤이 노드윈 게이밍에 2240만 달러(한화 약 255억 원)을 투자한다. 인도 게임 기업 나자라(Nazara)의 자회사인 노드윈 게이밍(Nodwin Gaming)은 인도에서 가장 칸 e-스포츠 기업이다. 이도 구르가온에 본사를 두고 블리자드 엔터테이먼트(Blizard Entertatinment), 밸브(Valve),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ESL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e-스포츠 이벤트 개최와 방송 콘텐츠 제작을 주력하고 있다. 이번 크래프톤의 노드윈 게이밍에 대한 투자는 배틀그라운드의 인도 e-스포츠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다. 이미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이벤트 개최를 위해 노드윈 게이밍과 2회 이상의 공동 개최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배틀그라운드의 운영 재개를 위한 목적도 있다. 2020년 인도-중국 간 국경분쟁으로 인해 중국 모바일 앱의 서비스가 전면 중지되면서 텐센트의 배틀그라운드도 금지 대상에 포함됐다. 크래프톤은 인도 배틀그라운드 서비스에 텐센트가 제외됐으며,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버와 계약해 데이터 독립성을 확보했음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노드윈 게이밍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