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거래소(ATS, 다자간매매체결회사) 준비법인 ‘넥스트레이드’가 금융위원회에 금융투자업자 예비인가를 신청하며 본격적인 출범 준비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 31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에 따르면, ‘넥스트레이드’(Nextrade)는 지난 3월 27일 ATS 출범을 위한 투자중개업(전문투자자) 예비인가를 신청했다. ATS가 승인되면 한국거래소(KRX)처럼 상장 주식과 주식예탁증서(DR)를 매매하고 중개・주선・대리하는 업무를 할 수 있다. 출범 이후 시장 안착을 위한 중요한 과제는 이미 확고한 지위와 경쟁력을 갖춘 한국거래소와의 차별화다. 차별화를 위한 핵심과제로 신규 고객을 끌어올 새로운 상품 도입이 꼽힌다. 특히 ATS 출범 시기와 맞물려 ‘토큰증권 발행’(STO)이 진행되면서 ATS의 신규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토큰증권(Security Token)은 신규 상품으로 내세우기엔 넘어야할 산이 많은게 현실이다. 금융당국은 STO의 다자간 거래 매매를 체결할 수 있는 장외유통 플랫폼을 신설해 장외시장 유통을 기본으로 하고, 다수 투자자가 거래하거나 거래량이 큰 경우엔 ‘한국거래소’의 디지털증권시장을 통해서만 거래하도록 정하고 있다. 현재 규정상
금융업계가 조각투자로 대표되는 토큰증권(Security Token)에 집중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분산원장으로 전자화한 증권이 제도화되면서 유통이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다. ◆ 한국예탁결제원, 토큰증권 플랫폼 구축 한국예탁결제원(이하 ‘예탁원’)은 2023년 하반기 업무계획에 ‘토큰증권 플랫폼 구축’을 포함시켰다. 예탁원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된 토큰증권의 등록심사와 발행 총량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현재까지 토큰증권의 심사 요건, 증권 총량 관리 방식, 블록체인 네트워크 연결 방식 등 가이드라인을 내부정비에 들어갔다. 지난 6월 14일에 취임 100일을 맞이 기자간담회를 가진 에탁원 이순호 사장은 “토큰증권에 후속 법령 개정 등 최대한 입법지원에 역량을 기울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 코스콤, LG CNS와 협업 추진 지난 4월 LG CNS와 ‘토큰증권 공동 플랫폼 서비스’ 운영을 위해 협력에 나선 코스콤은 자본시장 IT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코스콤은 토큰증권 공동 플랫폼 지원사업을 통해 증권업계에 토큰증권의 발행‧유통 공동플랫폼과 분산워장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7월 18일에는 코스콤이 주최한 ‘토큰증권 매칭데이’를 개최하해 발행
람다256과 나이스피앤아이는 토큰증권(STO) 관련 사업추진 및 업무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토큰증권 도입을 위한 기술협력 등을 추진할 예정이며 국내 증권사에서 추진하는 STO사업 수주를 위해 협력할 예정이다. 람다256은 자체 솔루션인 루니버스를 기반으로 국내 토큰증권 시장에서 비즈니스 사례를 만들고 있다. 한화투자증권과 토큰증권 플랫폼 개발 협력 및 신한투자증권의 토큰증권 PoC를 진행하였고, 현재 유진투자증권 토큰증권 발행 플랫폼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 중에 있다. 나이스피앤아이는 NICE그룹 계열사로 국내외 모든 금융‧비금융자산에 대한 가치평가와 리스크 분석 및 이와 관련된 컨설팅과 SI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700개 이상의 국내외 금융기관과 일반기업을 대상으로 비시장성지분증권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있으며, 기업금융, 인프라, 실물자산 등 다양한 대체투자자산 유형에 대한 평가도 수행하고 있다. 나이스피앤아이는 증권형 토큰(STO)의 발행구조와 현금흐름을 분석하고, 기초자산 유형별 STO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시뮬레이터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가치평가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