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1일 미얀마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다. 2020년 11월 총선에서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이끈 여당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은 전체 선출 의석의 약 83%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승리했다. 이에 사실상 야당 지도자인 민아웅 흘라잉 군 총사령관 중심 군부는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쿠데타를 감행했다. 군부쿠데타가 일어난지 2년째인 1일 미얀마는 어떻게 변했을까? 유엔 인권사무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군부 쿠데타 이후 최소 2890명이 미얀마군에 의해 사망했다고 밝혔다.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을 구금하고 정치범으로 1만 7500명이 체포했다. 여전히 1만 3500명이 구금중이다. 2년 째 군부와 임시정부를 자처하는 NUG간 내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미 글로벌 뉴스에 자주 등장한 것처럼 상황은 악화되었고, 국민들의 삶은 나빠졌다. ■ 군부 공격으로 집을 잃은 최소 120만 명...7만 명 탈출러시 특히 미얀마에서는 쿠데타 이후 최소 120만 명의 민간인이 집을 잃었다. 인구의 약 3.7%가 난민이 되었다. 군부가 여러 지역을 공격하며 집과 건물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NUG은 지난해 1년 동안 가옥 4만 1000채 이상 미얀마군에 의해 파괴됐다고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연합,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10개국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다. 부산외국어대학교는 한국의 대표적인 아세안 학과를 거느리고 있는 대학교다. 그 중 아세안연구원(원장 김동엽)은 2021년 10월 출범해서 아세안 연구를 주도하고 있다. 김동엽 아세안연구원장은 “2022년은 아세안에게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해였다. 대면 정상회의가 다시 개최되면서 아세안 회원국을 비롯한 전 세계 정상들이 모여 국제적 이슈를 논의하는 장이 펼쳐졌다”고 소개했다. 이어 “아세안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미국과 중국 사이의 패권 싸움에서 아세안의 거취 문제와 더불어, 역내 미얀마 사태가 가장 큰 이슈로 떠올랐다. 2023년도는 아세안의 맏형격인 인도네시아가 의장국을 맡음으로써 이러한 지역적 이슈들을 어떻게 해결해 갈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다사다난한 2022년 임인년(壬寅年) ‘검은 호랑이띠’를 보내면서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 연구원들이 ‘아세안익스프레스’를 통해 아세안 10대 뉴스를 선정했다. ■ 훈센 캄보디아 총리 ‘코
당신은 한국과 아세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한국 및 아세안 국민들을 대상으로 ‘영상공모전’이 열리고 있다. 주아세안대표부가 진행중인 한-아세안 관계에 대한 관심제고하기 위한 ‘Your K! Your ASEAN! 콘텐츠 공모전’이 그것이다. 2022년 10월 6일부터 11월 11일 12:00:00 (자카르타 시간 기준)으로 참가대상은 한국과 아세안에 관심 있는 아세안 국가 국민 및 한국인이다. 개인 또는 팀이 참여가능하다. 단, 팀일 경우 9명 이하다. 공모 주제는 “당신의 K 또는 당신의 ASEAN을 표현해주세요!” 주제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 1. 아세안 국적자 : YOUR-K “당신만의 K-ㅇㅇㅇ를 표현해주세요!” K-FOOD, K-POP 커버송/댄스, 여행 및 생활 Vlog 등 2. 한국 국적자 : YOUR-A(sean) “당신만의 ASEAN을 표현해주세요!” ASEAN-FOOD, ASEAN-POP 커버송/댄스, 여행 및 생활 Vlog 등 한-아세안 관계를 나타내는 커버/자작곡 등 제출규격은 형식은 무제한(댄스, 브이로그, 인터뷰, 토크쇼 등)이고 언어는 한국어/영어(단, 한국어로 제작시 영문 자막 필수), 포맷은 5분 이내 / 16:9 비
동남아시아 한류 확산 중심지에 ‘인도네시아어’ 소식이 특급 배달된다.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인구의 41%, 국내총생산(GDP)의 34%를 차지하는 핵심 국가인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한류 확산의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한류소비점유율은 23.17%로 동남아시아에서는 태국(26.71%) 다음으로 높은 나라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 해외문화홍보원[(원장 박명순, 이하 해문홍(KOCIS)]은 한류 열기가 높고 한국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류를 더욱 확산하기 위해 약 2년간의 준비기간을 거쳐 8월 8일부터 정부 대표 다국어 포털 ‘코리아넷’ 인도네시아어 서비스(indonesian.korea.net)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해문홍이 운영하는 ‘코리아넷’이 제공하는 언어는 기존 9개(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아랍어, 일본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베트남어)에서 10개로 확대된다. ■ 한국 역사, 문화예술, 관광지, 재외 한국문화원 소식 등 소개 ‘코리아넷’ 인도네시아어 페이지는 한국 관련 뉴스와 코리아넷 명예기자단이 보내오는 소식을 볼 수 있는 ‘뉴스 포커스’, 우리 역사를 비롯해 문화예술‧관광지
3월 14일 브리핑 1. 베트남, 남중국해 표기로 헐리우드 영화 상영 금지. 베트남이 할리우드 영화 ‘언차티드’ 상영금지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유는 영화 속에 나온 세계지도에서 남중국해를 중국 영유권으로 표기했기 때문입니다. 비슷한 이유로 2018년 ‘크레이지리치아시안’ 역시 베트남에서 개봉 금지가 된 적이 있습니다. 출처: 말레이시아 더 스타 https://www.thestar.com.my/aseanplus/aseanplus-news/2022/03/13/vietnam-confirms-bans-on-new-tom-holland-film-039uncharted039-over-south-china-sea-map#cxrecs_s 2. 베트남, 쯩사 군도 희생 장병 추모식 거행 베트남 팜민찐 총리는 3월 12일 열린 쯩사 군도(영문 명 스프래틀리 군도, 중국명 난사 군도) 희생 장병 추모식에 참석했습니다. 이 추모식은 34년 전인 1988년 3월 14일에 쯩사 군도를 지키던 베트남 군인이 쯩사 군도에 신규 건축물을 지으려는 중국 군과 군사적으로 충돌하여 64명이 전사한 사건입니다. 총리는 이날 추모식에서 쯩사 군도의 주권 수호를 확실하게 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우크라이나 위기에 갈라진 ‘아세안’ 회원국 싱가포르만 '경제제재'에 적극 참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 가장 조용한 지역은 다름 아닌 아세안 지역이다. 사실상 아세안 회원국들 사이에서는 이번 전쟁에 대해 극명하게 입장이 나뉘었고 자연스레 뚜렷한 입장 표명을 자제하는 움직임으로 드러나고 있다. 러시아의 우르카리나 침공 이후 약 2주 동안 전세계적으로 즉각적인 휴전과 정치적 대화 지속을 요구하는 수많은 성명과 압박, 그리고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진영의 경제적인 보복도 이어져왔다. 그러나 아세안만큼은 공개적으로 러시아를 침략국으로 지목하지 않고 "주권, 영토 통합, 모든 국가의 평등한 권리"를 존중할 것을 모든 정치세력에게 요구했을 뿐이다. 이같은 ‘중립적인 태도’는 아세안에 대한 비판을 가중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유엔이 임명한 미얀마 독립 진상 조사단의 의장을 맡았던 마르주키 다루스만 전 인도네시아 법무장관은 아세안의 이같은 미적지근한 태도가 "내용 면에서 상당히 자제되고 축소된 형태"라고 말했다. "우리는 지난 50년 동안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그것은 무책임에 가깝다. 그는 최근 자카르타에 본사를 둔 지정학 컨설팅 회사인 시너지 폴리시스가 마
[아세안 브리핑] 2022년 3월 10일자 1. 베트남 3월 중 관광 개방, 여전히 오리무중 베트남 정부가 오는 3월 15일부터 전면적인 관광 목적 입국을 허용했음에도 이후 어떠한 세부 사항이 공개되지 않고 있어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관광부에서는 입국 후 1회 검사 및 24시간 격리만 하고 자유롭게 여행을 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보건부는 72시간 격리 및 2~3회 검사를 주장하며 서로 다른 입장을 총리에게 전달했다는 것이 정부 내 이견의 요지입니다. 여전히 총리의 최종 결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VNEXPRESS https://e.vnexpress.net/news/travel/travel-firms-tense-as-tourism-resumption-plan-remains-incomplete-4436697.html 2. 넷플릭스 베트남서 영화 촬영, 코로나 이후 첫 번째. 넷플릭스는 자사의 신작 영화 “사랑을 위한 여행가이드(A Tourlist’s Guide to Love)"를 4월부터 베트남 현지에서 촬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베트남 호이안, 다낭, 호치민, 하장, 하노이 등 주요 관광지 5 곳에서 촬영이 진
[아세안 브리핑] 2022년 3월 8일자 1. 그랩Grab 유가 급등으로 요금 인상 최근 국제 유가 급등으로 Grab이 요금 인상을 발표했습니다. 베트남 그랩카의 경우 4인승은 첫 2km 20,000동(약 1000원)에서 29,000동(1500원), 7인승은 34,000동, 이후 1km마다 500동 인상된 10,000동으로 요금 인상됩니다. 그랩바이크 및 배달도 인상됩니다. 첫 2km 구간 12,500에서 13,500으로 인상되고 이후 1km마다 4,300동이 추가됩니다. 택시회사들도 곧 요금인상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최근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베트남 휘발유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 3개월동안 6번이나 인상이 되었습니다. 오토바이가 주 교통수단인 서민들에게 빠른 유가 인상은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출처: VNEXPRESS https://e.vnexpress.net/news/business/companies/grab-to-increase-all-service-fares-4435920.html 2. 베트남-중국 남중국해 훈련구역 놓고 긴장감 촉발 중국은 하이난 남서쪽 남중국해의 배타적 경제수역(EEZ) 일부지역을 3월 4일부터 15일까지 군사훈련을
[아세안 브리핑] 2022년 3월 9일 1. 태국 송크란 축제 올해 열린다. 전세계를 휩쓴 코로나19로 인해 2년 동안 중단된 태국 송크란 축제(새해 맞이 물축제)가 올해는 열릴 예정입니다. 최근 쁘라윳 찬오차Prayut Chan-ocha 총리는 “오는 4월 13일부터 15일까지 새해를 축하는 송크란 축제”가 열릴 것이라 발표했습다. 이는 동남아 지역을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완화되는 방역완화 및 경제 살리기 조처로 보입니다. 다만 축제기간동안 참가자들의 안전을 위한 일정 수준 이상의 방역관리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3차 백신 접종과 축제 전 검사결과를 요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출처: Bangkokpost https://www.bangkokpost.com/thailand/general/2275947/covid-wont-stop-songkran-this-year 2. 말레이시아 4월1일부터 관광 전면 개방 이스마일 사브리 야콥Ismail Sabri Yaakob 말레이시아 총리는 4월 1일부터 해외 관광객들에게 국경을 개방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현재 말레이시아에서는 하루 2만 5천 명 이상의 신규 코로나환자가 보고 되고 있지만 대부분 경미한 증상을 보이
아세안(ASEAN) 10개국은 인종·면적·종교·경제현황 등에서 복잡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함 속에서 아세안은 다수의 회의체(아세안 간 회의, 아세안+1, 아세안+3, EAS 등)를 주도하고 있다. 아무래도 많은 사람들은 아세안 속에서도 이를 주도하는 국가가 정해져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놀랍게도 다양한 환경 속에서도 동등한 위치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아세안이다. ■ 다양함 속에서의 조화: 알파벳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다만, 매년 주도하는 국가가 로테이션 된다는 점, 아세안의 방식은 알파벳을 중심으로 돌아간다는 점만 명심하면 된다. 그렇다. 제목의 ㅇㅇㅇ은 바로 알파벳이다. 알파벳순만 기억해도 반 이상은 정리된다는 점을 명심하며, 아세안의 방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이번에 아세안의 방식으로 주제를 잡은 이유는 필자의 저서인 ‘아세안랩’ 발간 후, 의외로 이 내용이 신기하고 도움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외교부 아세안협력과에서 근무하면서도 회의 행정을 준비하지 않았으면 아세안의 방식에 대해 모르고 지나쳤을 수도 있다. 필자의 경우 한국에서 개최된 2014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2017 한-아세안 다이얼로그 등의 행정을 맡
“당신은 신을 믿습니까?” 이슬람 신자인 아세안(ASEAN) 사람이 내게 묻는다. “저는 세 명의 신을 믿습니다. 첫째는 제 아내이고, 둘째는 제가 모시는 대사님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 신은 바로 ASEAN입니다. ASEAN 헌장은 성경의 창세기와도 같습니다.” 이 엉뚱한 대답에 ASEAN 사람은 한바탕 웃음을 터뜨린다. 외교관의 언어유희처럼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주재국을 신주단지처럼 모셔야 한다는 직업적 소명에서 나온 확신이다. 필자는 과거 자유무역과 세계인권의 수호자인 WTO와 UN 인권이사회를,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희망인 세네갈을 신성시했고, 이제는 자카르타에서 ASEAN 신도로 살아가고 있다. ASEAN을 사랑하고 ASEAN을 이해함에 있어 가장 애착을 느끼는 점은 바로 ‘ASEAN’이라는 이름이다. 동남아국가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이라는 의미 때문은 아니다. 바로 동남아인들 스스로가 지은 이름이기 때문이다. 그 어떤 민족, 국가, 지역도 다 이름이 있지만, 스스로가 아닌 남이 지어준 이름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가령 아프리카는 로마인들에게 모래(afar)의 땅으로 불렸던 것에 기원
인구 6억 5000명의 아세안(ASEAN)의 시장이 몰려오고 있다. 아세안은 해양국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와 대륙인 인도차이나 쪽 베트남, 태국,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등 10개국이다. 여기에다 아세안을 둘러싸고 있는 13억 명의 인도, 13.8억 명의 중국 등 거대한 인구를 토대로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하며 ‘아시아 경제권’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한-아세안 대화 관계 수립 30주년을 맞아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로 국민들에게도 ‘아세안’이라는 말이 아로새겼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2020년 경자년(庚子年) 쥐띠해의 맞아 인사이트 있는 아세안 전문가들의 릴레이 인터뷰를 진행했다. 쥐띠해, 그것도 힘이 아주 센 ‘흰쥐의 해’에 뜨겁게 타오르는 아세안 시장을 주목해보자. 인도네시아는 2억 6000만명의 세계 4위 인구대국이자 GDP 세계 16위의 경제대국이다. 석유, 가스, 석탄, 팜오일 등의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인도네시아편에는 대학에서 말레이-인도네시아아어를 전공하고, 30년 전 인도네시아 한 기업에 입사한 이후 이주해, 현지 미디어 ‘데일리인도네시아’를 운영하는 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