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6일 SK하이닉스는 이사회를 열고 경기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1번째 공장과 업무 시설을 건설하는데 9조 4,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용인 반도체 공장은 인공지능(AI) 메모리에 사용되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차세대 D램 제품이 생산될 예정이다. 용인시 원심면 일대에 지어질 SK하이닉스 반도체 공장은 415만㎡ 규모 부지에 조성될 예정이다. 현재 부지 정지(整地) 와 인프라 구축이 진행 되고 있으며 SK하이닉스와 4개 공장을 짓고 국내외 소재‧부품‧장비 기업들과 함께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축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1번째 공장을 건설한 이후 나머지 3개 공장도 순차적으로 지을 예정이다. 이번 투자액에는 반도체 공장과 함께 부대시설과 업무지원동‧복지시설 등 클러스터 초기 운영에 필요한 각종 건설 비용이 포함됐다. 투자 기간은 공장 설계 기간과 2028년 하반기 준공할 업무지원동 등을 고려해 2024년 8월부터 2028년 말까지로 정했다. SK하이닉스는 용인 첫 번째 공장에서 HBM을 비롯한 차세대 D램 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공장 완공 시점에 발생할 수 있는 시장 수요에 맞춰 다른 제품 생산도 가능하도록 준비하기로 했다. 국내 소
2년간 호황이던 반도체 시장이 공급 과잉으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D램 재고의 경우 재고가 늘면서 가격도 30% 이상 급락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보도했다.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이 위치한 대만에서는 4월부터 재고 조정에 들어가고 있다. 적정재고는 2개월인데, 대만에서는 3개월이 넘게 조정 중에 있는 상황이다. 업종별로는 메모리반도체 D램이 가장 심각한 상황인 데다 가전 및 컴퓨터 등에 쓰이는 구형 범용 반도체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도체를 조달하는 기업들은 생산이 전반적으로 줄어들었고 반도체 수주를 취소한 기업도 증가해 시장 상황이 전반적으로 공급 과잉으로 바뀐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변화에 대만의 반도체 기업들의 월 매출 변화로 나타났다. 액정표시장치용 반도체를 생산하는 롄영테크놀로지는 4월 월 매출이 2021년 4월 동기 대비 2자리수의 증가율을 보이다가 5월 하락세로 접어들어쏙, 6월 실적은 29.6%로 더 나빠졌다. 지난 2년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최근 들어 유례없는 큰 폭의 성장을 이루어졌고 이를 위한 계기를 마련한 것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원격근무와 온라인 강의가 전 세계에 보편화됐다. PC‧스마트폰‧게임기 등을 중심으로
2021년 전 세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액은 감소세였지만 SK하이닉스는 매출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2월 18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에 따르면, 2021년 4분기 글로벌 D램 매출액은 3분기 대비 5.8% 감소한 250억 3000만 달러(원화 약 29조 9233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산과 반도체 대란 및 물류 대란으로 인해 부품 공급이 제한되고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D램 가격이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트렌드포스는 분석했다.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는 4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은 3분기 44.0%보다 1.7%p 하락한 42.3%를 기록했다. 매출은 3분기 대비 9.4% 감소했다. SK하이닉스는 시장점유율은 3분기 27.2%에서 2.5%p 상승한 29.7%를 기록했고 매출 역시 3분기 대비 2.8% 증가했다. 3위인 마이크론도 전 분기 대비 4분기 매출이 8.3% 줄었고 난야는 10.1% 감소폭을 보였다. 5위인 윈본드는 3.5% 감소했고 6위인 PSMC도 시장점유율이 1.2% 감소했다. 4분기 D램 매출액이 3분기보다 늘어난 곳은 SK하이닉스가 유일했다. 트렌드포스는 2022년 1분기에도 공급과잉으로 인해 D램 가격의 하락
지난 1월 7일 삼성전자가 2021년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2021년 삼성전자는 매출 279조 400억 원, 영업이익 51조 5700억 원의 경영실적을 공시했다. 2018년 최대 매출 243조 7700억 원보다 14.4% 증가하면서 매출 200조 원 후반대에 진입한 것은 사상 최초다. 영업이익은 2018년 58조 8800억 원, 2017년 53조 6400억 원에 이어 역대 3번째로 높은 50조 원 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코로나19 팬데막 사태와 물류 대란으로 인한 조업 차질, 미중 무역갈등,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매출액을 기록해 선방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번 발표는 잠정 집계로 1월 27일에 반도체, 완제품, 디스플레이 등 사업별 실적이 공개될 예정이지만 치대 매출의 주인공은 역시 반도체다. 2021년 3분기까지 추세를 감안하면 반도체 사업의 매출은 100조 원이 가깝고 삼성전자 전체 영업이익의 60%를 기록해 성장세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까지 PC용 D램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고 대형 정보기술업계의 서버용 D램 수요도 꾸준했다. 2021년 3분기부터 D램 가격이 하락세였지만 하락폭이 생각보다 낮아졌고 반도
삼성전자가 3분기 D램(DRAM) 시장에서 점유율이 전분기 대비 2.2% 하락한 41.3%를 기록했지만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켰다. 시장조사업체 트랜드포스(TrendForce)는 삼성전자 매출은 3분기 총 72억 1000만 달러(한화 약 8조 261억 원)을 달성했고 전 분기 대비 3.1% 감소했다. 이는 D램을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평균 판매 가격(ASP)이 전반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트랜드포스는 분석하면서 영업 마진 41%를 유지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3분기 수익성은 전반적인 재고 초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했다. 트랜드포스는 보고서를 통해 3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174억 600만 달러(한화 약 19조 4399억)로 2분기 대비 2% 증가했으며 4분기 D램 시장은 3분기와 유사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어서, 서버 D램 부분은 지속적인 약화로 D램 제품의 전체적인 ASP의 하락이 예측되면서 4분기에도 비트 출하량이 증가하고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