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은 1분기 경제성장률이 당초 전망치보다 증가했음에도 2024년 경제 성장 전망은 하향 조정했다.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에 따르면 1분기 GDP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성장했다. 지난해 4분기 1.7%보다는 다소 주춤했지만 지속적인 성장세다. 1분기 성장은 서비스 수출과 민간 소비 및 투자에 의해 주도되었다. 상품수출과 공공 투자, 정부 지출은 감소했다. 관광객 수는 큰 폭의 중가를 가져왔다. 지난 1월 1일부터 5월 12일까지 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1316만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39% 늘었다. 중국인 관광객이 약 260만명으로 가장 많이 찾았다. 하지만 NESDC는 올해 GDP 성장률을 이전 전망치 2.2~3.2%보다 줄어든 2.0~3.0%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성장률은 1.9%보다는 다소 높다. 성장 요인으로는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정부 지출과 공공 투자 확대, 관광 부문의 지속적인 회복, 민간소비와 투자부문 성장, 세계 무역 회복에 따른 상품 수출 확대로 들었다. 특히 올해 외국인 관광객 수는 당초 예상했던 3,500만 명보다 증가한 3,6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팬데믹 이전에 육박하는 숫자다. 201
아시아개발은행(ADB)이 필리핀의 국내총생산(GDP)이 2023년 말이 되어서야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켈리버드 ADB 국장은 필리핀의 경제가 회복하고 있지만 필리핀 경제가 2020년 -17%로 급락했고 2021년 2분기에 11.8%라는 GDP 성과는 희망적인 수치라고 밝혔다. 다만 2022년 말까지 경제회복을 예측한 필리핀 정부의 예측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전염성이 강한 델타 변이가 확산되고 있고 2만 2000건 이상의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통해 백신이 제공되는 국가의 적절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필리핀 경제 단체들도 정부가 재정 부양책을 가장 필요로 하는 부분에 집중하면서 현금 보조금과 임금 보조금을 통한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함께 인프라 투자가 경제회복의 중요한 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월드 뱅크(World Bank)가 태국 경제 성장률을 3.4%에서 2.2로 하향 조정했다. 관광업이 경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태국은 2020년 경제 성장률이 6,1% 감소해 20년 만에 최악의 경제 불황에 빠졌다. 월드 뱅크가 발행한 보고서는 태국의 경제활동이 2022년까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반면, 2022년 태국 GDP 성장률은 양호한 수출과 지속적인 태국 정부의 재정 지원 조치의 영향으로 5.1%로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태국 중앙은행(Bank of Thailnad)는 태국의 2021년 GDP 성장률은 1.8%, 2022년 GDP 성장률을 3.9%로 예상했지만, 최근 코로나19의 변이 확산에 예상보다 낮을 수 있다는 의견을 발표했다. 월드뱅크는 사태 완화와 회생 조치를 고려했을 때, 태국의 공공채무 수준이 2022년 GDP의 62%까지 올라 정부의 목표 상한선이 6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정 지속가능성 리스크는 계속 통제 가능한 범위에 들어설 것으로 판단했다.
싱가포르가 2021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가 10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률을 보였다. 싱가포르 정부가 발표한 잠정 집계치에 따르면 2분기 GDP는 2020년 2분기와 비교해 14.3%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만에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코로나19로 봉쇄했던 기간 동안 급락했던 GDP 성장률이 크게 회복된 셈이다. 하지만 싱가포르 통산사업부는 절대값으로 볼 때 2021년 2분기 GDP가 여전히 2020년 2분기 코로나19 이전기 수준보다 여전히 0.9% 낮다고 밝혔다. 2020년 2분기 싱가포르는 코로나19 봉쇄 조치 여파와 코로나 사태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로 막대한 타격을 입어 GDP가 2019년에 비해 13.3% 하락했다. 싱가포르는 2021년 5월 인도 변이 바이러스가 퍼지고 지역 환진자가 급증해 강화한 방역 정책을 펴오다 6월 들어 백신 접종을 강화하면서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했다. 7월 6일 기준 백신 1회 접종자 65.4%, 접종 완료자는 38.6%로 백신 접종률이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싱가포르 정부는 올해 GDP가 4%~9%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성장률이 예측 범위 상한선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 여파가 경제성장률에 미쳤다. 2020년 한국 경제성장률이 -1.0%로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 역시 경제 침체와 원하절하의 영향에 따라 3만 1000달러(한화 약 3500만 원)까지 낮아졌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4일 ‘2020년 4분기 및 연간 소득(잠정)’ 통계를 발표했다. 통계에 따르면, 2020년 1인당 GNI는 3만 1755달러(한화 약 3585만 원)으로 2019년의 3만 2115달러(한화 약 3625만 원)보다 -1.1% 감소했다. 2020년 연간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지난 1월에 공개된 것과 같은 -1.0%로 집계됐다. 명목 GDP는 1924조 5000억 원으로 2019년보다 0.3% 늘었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연평균 1.2% 올라버려 미국 달러화 기준으로는 1조 6308억 달러를 기록해 0.9% 감소했다. 수출은 2.5% 감소하고 수입은 3.8% 감소했다. 수출은 1989년 -3.7%를 기록 이후 가장 큰 감소세이고, 수입은 2009년 -6.9%를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감소세다. 민간소비 성장률도 -4.9%를 기록해 1998년 민간소비가 -11.9% 이후 가장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이 1분기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의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Eurostart)는 유로존의 2020년 2분기 GDP가 전분기인 1분기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추산했다. 또한 EU 회원국 전체 2분기 GDP도 1분기 대비 1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존은 27개의 EU 회원국 가운데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 회원국을 의미한다. 유로스타트가 1995년부터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12.1%는 가장 크게 감소한 폭으로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장기화의 여파로 분석된다. 2020년 1분기에는 유로존이 2019년 4분기 대비 3.6%, EU가 3.2% 하락했지만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3월이 지나면서 이탈리아를 비롯해 다수 유럽 국가가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경제적 타격이 반영된 것이다. 유로스타트는 “2분기는 EU 회원국들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봉쇄 조치를 시행한 시기인데다 GDP 통계는 예비치 및 추정치를 기반으로 한 불완전한 자료로 추가 수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미국 경제가 2분기 성장률 –32.9%를 기록했다. 미국 상무부는 2020년 2분기 경제 성장률이 –32.9%라고 발표하면서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변동이 –5%인 것에 비해 6배가 넘는 국내총생산의 감소를 경험하게 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미국의 경제성장이 축소됐다는 것으로 금융위기였던 2088년 4분기 –8.4%나 대공황 때인 1932년의 연 성장률인 –12.8%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미국은 코로나19에 대비해 주민 이동과 영업 활동을 제한했지만 한 달이 되기도 전에 이를 포기하거나 완화하며 경제 재개방에 나섰지만, 소비지출, 기업 투자, 재고량, 수출입, 주택시장 등 모든 분양에서 경제 충격과 타격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MF와 미 연방은행은 올해 미국의 전체 성장률을 –9%로 예측하고 2021년은 6%로 반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반면, 11월 3일로 예고된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번 경제 실적은 악재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HSBC가 중국의 GDP 성장률을 3.0%에서 1.7%로 하향 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계 투자은행인 HSBC의 취훙빈(屈宏斌) 중국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리포터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미국이 중국과 탈동조화(Decoupling)을 결심하면서 미중 무역 분쟁이 기술, 공급망, 자본으로 확장될 것으로 분석했다. 리포터에는 “미중 관계의 불확실성 만으로도 시장의 분위기는 꺾일 수 있다. 무역에 대해 부정적인 충격이 코로나 19 이후 상업적 투자, 특히 제조업의 반등을 방해할 것으로 보인다. 미중 양국의 긴장 고조 국면이 중국의 전반적인 경제 회복을 약화시킬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서 리포트는 오는 22일로 예정된 중국 정부의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 정부가 경기안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신, 현재 경기부양책이 내놓은 적극적이고 과감한 부양책이 아니라 맞춤형 부양책을 점진적으로 추진하고, 인프라 건설과 지방정부 특별채권 한도를 늘려 건설 투자가 3.8%에서 10% 이상으로 증가하고 중국 정부의 재정 적자율이 4%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HSBC는 올해 대만과 홍콩의 GDP 성장률 예상치를 기존의 0.5%와
미국계 다국적 투자은행 골드만삭스(The Goldman Sachs Group, Inc)는 2020년 1분기 중국 경제가 –9% 정도로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17일 블룸버그(Bloomberg) 통신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2020년 1~2월 경제 수치를 고려했을 때 1분기 중국 GDP의 성장률 전망을 기존 2.5%에서 –9%로 하향 예측했다고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각 국가들의 2분기 경제 성장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중국 역시 경제 회복이 억제될 것으로 전망했다. 오는 2020년 3분기가 되어야 중국 GDP는 이전의 성장 속도를 회복할 것이고 경제 성장률 역시 3% 정도로, 원래 예상치인 5.5%에 크게 모자랄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2020년 1~2월 주요 경제 지표를 보면 해당 기간 산업생산 증가율이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13.5%를 기록했고, 소비재 판매 총액 역시 –20.%를 기록했다. 인프라 시설 투자가 포함된 고정자산 투자는 저년 대비 24.5% 급락하고 부동산개발투자 역시 16.3% 하락을 겪었다. 민영기업 투자도 26.4% 감소하고 상업 부동산 매출은 40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코로나19로 인해 캄보디아의 관광업이 8억 5000만 달러(한화 약 1조 353억 원)의 피해의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ADB는 내수-관광-비즈니스-‧무역이 감소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캄보디아의 경우 관광수입이 8억 5000만 달러의 피해를 추산했고 이는 캄보디아 GDP의 3.5%에 해당하는 액수다. 2019년 캄보디아의 관광객은 2018년 대비 7% 증가한 660만명이었고 50억 달러(한화 약 6090억 원)의 수익을 얻었고 이 액수는 캄보디아 GDP의 12%를 차지하는 수치다. 캄보디아 관광부는 2020년 관광객 숫자가 100만 명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고 관광 수익도 10%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다. ADB는 “캄보디아뿐 아니라 팔라우, 몰디브와 같은 국가들은 국제 관광수입이 GDP의 40% 이상을 차지할 만큼 관광업은 아시아의 개발도상국들에게 중요한 수입원이다.”라고 밝혔다. 관광수입 감소의 영향 가장 큰 원인은 코로나19로 인해 중국인에 대한 전면적인 금지로 분석했다. 캄보디아 관광부에 따르면 2003년 1100만 미만의 해외 관광객이 2018년까지 8700만 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ADB는 아시아 국가뿐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