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부동산 구원투수 나선 ‘캠코’, 부실채권 2,000억 매입

PF대출 및 토지담보대출 등 대상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인해 위기에 내몰린 저축은행의 구원자로 등장했다.

 

2,000억 원 규모의 저축은행이 보유한 부실채권(NPL)을 매입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2023년 연말까지 급등세를 보이던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세도 다소 안정적으로 변할 전망이다.

 

4월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는 저축은행 업권이 보유한 2,000억원 규모 NPL을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매입 대상은 PF 대출과 토지담보대출 등 담보부 채권으로 저축은행은 NPL을 매각하면 연체율을 그만큼 낮출 수 있다.

 

저축은행 업계는 이번 매각을 통해 연체율을 0.2%포인트가량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캠코가 2금융권의 NPL을 매입하는 것은 2023년에 1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NPL 인수 이후 처음이다.

 

2023년 새마을금고에서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이 일어나자 캠코는 새마을금고의 NPL을 인수해 연체율을 떨어뜨렸다.

 

당시 금융당국이 바라보는 저축은행의 현 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2023년 연말 저축은행 연체율은 6.55%로 전년 대비 3.14%p 급등했으며, 그 당시 새마을금고(5.07%)보다도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3개월 이상 연체된 NPL 비중을 뜻하는 고정이하 여신 비율은 2023년 연말 7.72%로 2년 전 연체율인 3.36%보다 2배가 넘는 수치다.

 

이번 캠코의 NPL 매입은 새마을금고 때와 같은 사후정산 방식이지만 일부 차이가 있다.

 

캠코가 회계법인 등에서 적정 가격을 평가받은 뒤 NPL을 매입하고, 추후 재매각 과정에 손실이 발생하면 저축은행이 그만큼 보전해주는 방식이다.

 

예시를 들어보면 K저축은행이 캠코에 100억 원 규모의 NPL을 매각했는데 캠코가 60억 원밖에 회수하지 못한 경우 K저축은행은 사후에 40억 원을 보전해야 한다.

 

저축은행은 최종 손실 금액엔 차이가 없지만, 캠코가 부실채권을 재매각하는 기간(최대 3년) 동안 충당금을 나눠 쌓을 수 있어 재무적 부담을 덜 수 있다.

 

반면 캠코가 재매각 과정에서 수익을 낼 경우엔 K저축은행이 이를 돌려받지 못한다.

 

2023년 새마을금고 NPL의 경우 추후 손실과 수익을 모두 보전 받은 것과는 차이가 발생하는 방식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연체율 관리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입장을 밝혔다.

 

캠코 뿐 아니라 자산운용사와 NPL 투자 전문회사 등이 부실채권 매각에 나서고 있으며, 캠코와 논의를 통해 2024년 하반기에 매각 규모를 확대한다는 입장이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