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 운용사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의 매각 주관사로 UBS를 선정했다. 롯데카드의 기업가치는 최대 3조 원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본격적인 매각 작업은 빨라야 3~4달 뒤에 시작될 예정이다. 지난 12월 2일 ‘MBK파트너스’는 ‘롯데카드’의 경영권 매각을 위해 최근 주관사를 선정하고 제반 작업에 착수했다. 현재 롯데카드는 회원 수가 952만 명, 신용판매 시장 점유율이 10.5%로 카드 업계 5위 수준이다. 앞서 MBK파트너스는 지난 2019년 10월 우리은행과 컨소시엄을 맺고 롯데카드 지분 79.83%를 1조 3,810억 원에 인수했다. 현재 MBK가 59.83%를, 우리은행이 20%를 들고 있다. 나머지 20%는 롯데쇼핑이 보유 중이다. 이후 MBK파트너스는 2022년 한 차례 매각을 시도했으나 인수 후보들과의 눈높이 차이로 무산됐고, 지난 2023년 자회사인 ‘로카모빌리티’를 ‘맥쿼리자산운용’에 4,150억 원에 매각하며 투자금을 일부 회수했다. 2024년 10월에는 1조원 규모의 리파이낸싱을 단행했다. 주관사는 선정됐지만, 현재 연말인만큼 매각 작업은 3~4달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금융지주사들이 인사 절차를 진행 중
골드만삭스(Goldman Sachs)가 차기 미국 대통령으로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인상 및 감세 정책으로 인해 2025년 미국 달러의 강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12월 2일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트럼프 당선인이 제안한 관세 인상 조치가 이전보다 약 2배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추가적인 인상 위험도 상존한다고 판단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내내 관세를 인상할 것이라고 공언해 왔으며 지난 11월 마지막 주에는 중국, 멕시코, 캐나다를 대상으로 한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예고했다. 주말에는 브릭스(BRICS)에게 달러(USD)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에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런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의 관세 정책에 더해 기업 등에 대한 감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미국의 단기 경제 성장을 자극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트럼프의 정책 조합이 달러 상승세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의미다.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초기 관세 발표는 추가 세금과 조사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조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시장의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 “그 결과, 달러의 상승 모멘
지난 12월 1일 우리은행(행장 조병규)이 시중은행 처음으로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해외영업점 직원들이 사용하는 은행 전산프로그램에 지문인증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직원 본인 지문인증으로 전산시스템 로그인과 업무 결재가 가능토록 해 타인의 접근통제, 직원간 업무 대행 등 금융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지문인증 시스템에는 지문인식기기 내부에 정보를 암호화해 관리할 수 있는 신기술이 도입됐다. 우리은행은 지난 11월 17일 바레인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10개 영업점에 지문인증 시스템 도입을 완료했다. 2024년 연말까지 ▲필리핀법인 ▲방글라데시지역본부 ▲유럽법인에 확대 적용하고, 2025년 상반기까지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국법인 모든 영업점에 지문인증 시스템 도입을 완료할 예정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지문인증 시스템 구축으로 국외 사업장까지도 국내 수준의 강화된 내부통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됐다.”면서 “시중은행 최초 사업으로 후속 일정을 잘 마무리해 우리은행만의 성공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삼성SDS가 삼성전자 구미1사업장 내 부지 일부를 215억원에 매입한다고 공시했다. 매입된 부지는 ‘첨단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가 지어질 것이란 기대감이 제기되며 구미 지역의 경제 활성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2월 1일 현재 삼성SDS가 매입하게 될 부지는 현재 한화시스템이 임차해 사용 중이다. 현재 한화시스템은 삼성전자 구미1사업장 부지 총 198,000㎡ 중 약 45,000㎡를 임차해 사용해왔으나, 2025년에 구미 신사업장으로 이전한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 비게 되는 이 부지가 삼성SDS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SDS는 이달 중 매매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며, 매입되는 부지에는 대규모 AI 데이터센터가 건립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는 국내외에서 클라우드 서비스와 IT 솔루션 사업을 확대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할 데이터센터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에서 ▲서울 상암 ▲수원 ▲구미 ▲춘천 ▲동탄의 5곳과 해외 13곳 등 총 18곳의 데이터센터를 운영중인 삼성SDS가 구미에 데이터센터를 완공하면 19번째 센터를 만들게 된다. 데이터센터를 확장은 삼성SDS의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의 뒷받침
석유화학 업황 부진에 재무위기까지 겹친 롯데케미칼(Lotte Chmical)이 파키스탄 공장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롯데그룹(Lotte Group) 차원에서 롯데케미칼의 비핵심 자산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매각 작업이 재개될 예정으로 보인다. 롯데케미칼 파키스탄(LCPL) 공장은 지난 11월 둘째 주부터 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LCPL는 롯데케미칼이 지난 2009년 네덜란드 페인트 업체인 악조노벨로부터 약 147억 원에 인수해 현재 지분 75.01%를 보유하고 있다. LCPL은 합성섬유인 폴리에스터나 페트병과 플라스틱에 사용되는 핵심 원료인 테레프탈산(PTA)을 연간 50만t 생산하고 있다. 앞서 롯데케미칼은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고 고부가 스페셜티 소재 등 새로운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2023년 1월 현지 화학사 럭키코어인더스트리즈와 LCPL에 대한 매매계약 체결했지만 지난 1월 계약이 해지된 바 있다. LCPL은 이번 가동 중단이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것으로 오는 12일부터 다시 공장 가동을 재개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석화업계에선 매각을 염두에 두고 운영 효율화와 재고정리 등을 진행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 롯데케미칼은
커피(Coffee) 선물 가격의 급등으로 시장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세계 최대 커피 수출국인 브라질의 두 수출업체가 부채 재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2월 1일 블룸버그통신은 커피 수출 업체인 ‘아틀란치카 이스포르타상 에 임포르타상 SA’(Atlântica Exportação e Importação SA)와 ‘카페브라스 코메르시오 지 카페스 두 브라지우 SA’(Cafebras Comércio de Cafés do Brasil SA)가 브라질 현지 법원에 60일간의 유예 기간을 요청하는 신청서를 공동으로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양사의 변호사인 다니엘 빌라스 보아스(Daniel Vilas Boas)는 이 절차가 공식적인 파산 보호 절차를 피하며 채권자들과의 협상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초기 단계라고 통신에 설명했다. 블룸버그통신이 확인한 해당 문서에 따르면, 아틀란치카는 브라질 주요 아라비카 커피 수출업체 중 하나로 판매 시장의 8%를 전담한다. 양사는 모두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Minas Gerais) 주에 본사를 둔 ‘몬치산투 타바레스 그루푸 파르치파상이스 S.A’(Montesanto Tavares Group Participações
국제교육협회(IIE)가 11월 발표한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제학생들이 선택하는 유학 목적지로 자리하고 있다. 특히, 미국 내 베트남 유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해 2023~2024년 학년도에는 22,066명에 달했으며, 전체 교육수준으로 보면 약 31,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아세안 국가 중 미국으로 유학을 가장 많이 보내는 국가로, 베트남 유학생의 약 50%가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분야를 전공하고 있다. 이는 베트남 정부가 첨단 산업을 위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삼고 있는 국가적 전략과 일치한다는 방증이다. 미국과 베트남 간 교육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미국 외교사절단은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베트남 교육관리자 18명을 대상으로 기술 훈련을 제공하고, 베트남 청소년을 위한 영어 수업과 STEM 교육활동을 확대하는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풀브라이트 연구원 장학금 프로그램 등을 통해 양국 간 학문적 교류를 활성화하고 있다. 세미나와 교류행사를 통해 미국 대학들의 베트남 진출을 지원하며, 고등교육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양국 간 교육 및
베트남 국회가 베트남 정부에서 제출한 남북 고속철도 사업계획을 승인했다. 지난 11월 30일 베트남 국회는 670억 달러(원화 약 93조 6,000억 원) 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베트남 정부의 고속철도 투자 계획을 승인했다. 베트남 교통부는 베트남 북부에 위치한 수도 하노이와 남부의 경제 중심지 호치민을 잇는 1,541㎞ 구간의 고속철도를 시속 350㎞로 운행하는 고속철도 건설 계획을 국회에 제출했다. 남북고속철도는 20개 성・도시를 지나며 23개의 일반역과 5개의 화물역에 설치할 계획이다. 철도 착공은 2027년부터 시작해 2035년에 완공한다는 계획으로, 철도가 완공되면 하노이와 호치민의 이동시간이 약 5시간까지 줄어들게 된다. 남북고속철도 계획은 2010년에 베트남 국회에 처음 제출됐지만 당시에는 승인되지 못했으며, 베트남 정부는 이번 사업 계획에는 외국 자본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자본으로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현재 철도 노선의 현대화를 추진하면서 철도망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베트남 철도청은 지난 10월 중국 쿤밍과 접한 베트남 국경 도시 라오까이에서 하노이와 하이퐁을 거쳐 하롱까지 어이지는 427㎞ 노선 현대화 계획을 교통부에
지난 11월 29일 테더(Tether) 10억 USDT를 추가 발행하며 11월 8일 이후 총 140억 USDT를 발행했다. 데이터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테더는 지난 일요일에도 30억 USDT를 발행하는 등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시장에서 69%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테더의 CEO 파올로 아르도이노(Paolo Ardoino)는 “이번 발행은 USDT 재고 보충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발행된 USDT는 유통되지 않았으며, 발행 요청과 체인 전환(Chain Swap)을 지원할 때 사용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파올로 아르도이노 CEO는 “이러한 접근이 유동성 관리를 효과적으로 돕고, 거래자들에게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CData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최근 한 달간 급격히 성장했다고 밝혔다. 테더의 시장 점유율은 0.57% 증가하며 13개월 연속 성장세를 기록했고, 시가총액은 1,900억 달러까지 성장했다. 스테이블코인 공급량 증가는 투자 심리와 시장 활기를 측정하는 주요 지표로 여겨진다. 특히, 테더의 USDT 발행 증가는 시장의 강세를 반영하며 가격 변동에 대한 투기 심리를 강화
지난 11월 27일 아라비카 커피 원두(Arabica Coffee Bean)의 가격이 뉴욕에서 파운드당 4.7% 상승한 3.23달러로 1977년 이후 최고치를 갱신했다. 2024년 올해 가격 상승률이 70%를 넘었다. 인스턴트 커피에 쓰이는 로부스타 원두(Robusta Coffee Bean)는 런던 선물가격에서 t당 7.7% 오른 5,507달러로 2024년 연초 가격의 거의 2배에 달했다. 주된 원인 중 하나로 유럽연합(EU)의 법률적 불확실성이 발생하기 전에 대량 구매가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급적인 부문에서 지난 8월과 9월 양월간 브라질에서 70년 만의 최악의 가뭄에 이어 10월 폭우가 발생하면서 문제가 생겼다는 분석도 나왔다. 세계 최대의 아라비카 커피 원두 생산국인 브라질 커피 원두의 생산이 감소가 가격 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수요 상승이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중국 해관총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국 국내 커피 수입 무역량은 142,800t으로 2023년 상반기 커피 수입량의 1.93배, 2023년 연간 수입량의 72.59%에 달했다. 2024년 상반기 중국 국내 커피 수입 총액은
지난 11월 14일 인도네시아 재무부 스리 물랴니 인드라와티(Sri Mulyani Indrawati) 장관은 2025년 1월부터 부가가치세(VAT) 세율이 인상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 소비자 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정부의 추가적 설명이 요구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부가가치세(VAT)는 지난 2021년 통과된 법률에 따라 최대 12%까지 인상될 가능성이 있다. 부가가치세 상승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악화시켜 인도네시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경제학자, 행정학자들은 시행 연기를 요청하고 있다. 재무부 스리 물랴니 장관은 “경제정책은 글로벌 경제와 국가 내 상황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팬데믹 기간 동안 시행된 재정정책들이 국민의 구매력을 유지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설계되었다.”고 설명했다. 스리 물랴니 장관은 부가가치세 인상 조치는 인도네시아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2025년 인도네시아의 세수 목표는 249조 루피(원화 약 1,560억 달러)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2024년에 설정한 목표 대비 12.3%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세수 증가는 정부의 재정 확충과
지난 11월 29일 AP와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이 '오픈AI’(Open AI)가 캐나다 언론사 5곳으로부터 저작권 침해 소송을 당했다고 보도했다. 고소한 캐나다 매체는 ▲토스타 ▲포스트미디어 네트워크 캐나다 ▲글로브앤드메일 ▲캐네디언프레스 ▲CBC/라디오-캐나다 등 캐나다에서 뉴스를 다루는 미디어 기업 5곳이다. 이들 5개 미디어는 전날인 11월 28일 캐나다 온타리오 고등법원에 오픈AI를 상대로 하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공동 성명에서 오픈AI가 캐나다 언론사들의 콘텐츠를 대량으로 수집해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오픈AI가 콘텐츠 소유자에게 보상을 제공하지 않고, 허가를 받지 않고 콘텐츠를 사용해 수익을 창출 중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오픈AI 측은 이 소송에 대한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 오픈AI를 상대로 한 캐나다 언론사들의 소송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에서는 일간 뉴욕타임스(NYT) 등 매체들이 오픈AI를 상대로 비슷한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다. 미디어 기업들은 오픈AI가 생성형 AI를 학습시키기 위해 언론사들의 뉴스 콘텐츠를 무단으로 수집해 이용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오픈AI는 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