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형자 제조기업 스즈키(Suzuki)가 인도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100만 엔(한화 약 1052만 원)의 전기차(EV)를 출시할 계획이다. 일본 경제신문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2025년까지 전기차 분야에 진출한다는 스즈키는 자동차 소형화와 경량화 경험을 바탕으로 인도에서 먼저 100만 엔 수준의 전기차를 출시해 일본과 유럽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2019년 인도 시장의 신차 판매량은 380만 대로 세계 5위지만 전기자동차로의 전환 속도가 더딘 편이다. 인도 정부는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전기차 비율을 30%까지 높인다는 계획을 가지고 2021년 6월에1000억 루피(한화 약 1조 5380억 원)을 투자해 자동차 구매 보조금 정책을 2년 더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인도 정부는 13만 6000 루피 이상의 보조금을 지급 중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인도 시장에 50%를 점유 중인 스즈키는 경쟁력 유지를 위해 전기차 출시에 박차를 가하고 2025년 이전에 시장 진입을 목표로 잡았다. 인도 시장의 마힌드라 그룹은 소비자 실제 부담금이 1000만~1500만 원인 전기차를 출시하겠다고 밝혀 경쟁을 예고한
“인도의 소비자 디지털 경제는 2030년까지 10배 성장한다” 컨설팅 회사 레드세어(Redseer)가 자사의 대표 행사인 그라운드 제로 5.0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850억~900억 달러(약 102조 2400억 원)를 기록했던 인도의 소비자 디지털 경제는 2030년까지 8000억 달러(약 908조 8000억 원)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경제에는 2030년까지 디지털 채널을 통한 여행 60%, 비농약 소매 40%, 교육 30%, 식음료 서비스 25%, 제약-농약 6% 등이 포함된다. 레드세어는 “온라인 소매업은 CY30의 연간 총 상품 가치(GMV)가 3500억 달러(약 397조 6000억 원)로 CY30의 규모로는 세 번째로 큰 온라인 소매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라운드 제로 5.0 행사에는 아미타브 칸트 니티아이토그 최고경영자(CEO)와 TV모한다스 파이 회장, 마니팔 글로벌교육서비스(Manipal Global Education Services), 인포엣지 공동창업자인 산제프 비크찬다니(Sanjev Bikhchandani)와 함께 스타트업계의 다른 건재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지난 10년 동안, 기업가들은 인도 소비자들
인도 정부가 전자상거래 기업들을 대상으로 타임세일을 금지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지난 22일 로이터 통신은 인도 정부가 전자상거래(E-Commerce) 기업의 웹사이트에서 타임 세일(Time Sale) 금지를 실행하게 되면, 아마존 인도(Amazon India)와 월마트 산하 플립카트(Flipkart)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정부 성명에서 인도 오프라인 소매상들은 외국 전자상거래 기업이 인도 법률을 우회하기 위한 비즈니스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같은 조치를 내렸다면서 7월 6일까지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다고 밝혔다. 인도 소비자부는 전자상거래 기업이 타임 세일을 하게 되면 명절 기간 동안 큰 인기를 끌게 되지만 오프라인 소매상들은 온라인 소매상들과 대폭적인 할인 경쟁을 할 수 없는 ‘불공정한 상황’에 빠지게 된다며 반발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해당 플랫폼에서 판매자로 분류되선 안되며, 온라인 판매자에게 상품을 팔아서도 안된다고 규정했다. 이같은 규정은 결국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해 빠르게 성장을 거듭하는 아마존 인도와 플립카트의 사업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아마존은 아마존 인도에 입점한 최상위 판매자 2곳
인도 올림픽위원회(IOA)가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스포츠 브랜드 리닝과 스폰서 계약을 해지했다고 밝혔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국민감정을 고려해 리닝과 스폰서 계약을 해지했다. 도쿄 올림픽에서 인도 올림픽 선수단은 브랜드가 없는 운동복을 착용하고 경기에 참여한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스폰서 기업인 중국 리닝이 디자인한 올림픽 선수단복을 공개했지만 지난 6월 8일 밤 국민감정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리닝과 협력을 중단한다고 표시했다. 지난 2020년 6월 인도군과 중국군이 국경 분쟁 지역인 라다크(Ladakh)에서 충돌해 인도군 20명이 사망하면서 인도 국내에서 반중 정서가 끓어오르고 중국산 불매 운동이 벌어졌다. 당시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리닝과 협력 관계를 재검토하면서 도쿄 올림픽 이후 스폰서 관계를 종료하기로 했다. 리닝의 인도 법인 대표는 인도 올림픽위원회(IOA)의 결정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지 않는 상황이다. 한편, 중국 외교부 왕원빈(汪文彬) 대변인은 9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인도는 국가 간 통상적인 협력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바라봐야 한다”라면서 “이 문제가 정치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인도 올림픽위원회(IOA)는
금융솔루션 제공 스타트업 제타(Zeta)는 시리즈 C 라운드를 위해 일본 소프트뱅크로부터 약 2억5000만 달러(약 2792억 5000만 원)의 자금을 유치했다. 인도 타임즈(The Times of India) 25일자에 따르면 기업가치 약 15억 달러(약 1조 6755억 원)를 기록하며 올해 14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고객사 중 HDFC은행, RBL은행, IDFC 퍼스트뱅크, 코탁 마힌드라은행 등 여러 은행을 꼽고 있는 이 회사는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2에서 15억 달러에 가까운 평가액으로 자금을 조달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직렬 기업가 바빈 투라키아와 램키 가디파티가 2015년 설립한 제타는 기존 핵심 은행 시스템을 바꾸지 않고 모바일 앱, 직불 처리, 신용 처리, 대출 플랫폼을 통합한 소매은행 중심의 상품을 제공한다. 바빈 투라키아 최고경영자(CEO) & 공동창업자 제타(Zeta)는 “FIs는 제타(Zeta)를 통해 현대적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플랫폼을 활용하고 시장 출시 속도, 민첩성, 비용 대비 수익 비율, 사용자 경험 등을 개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인도의 6개 스타트업 기업이 4월 5일부터 4일간 15억 5000만 달러(약 1조 7437억 5000만 원) 투자 유치에 성공하여 유니콘 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유니콘’(Unicorn)은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약 1조 1195억 원)를 비상장 스타트업을 가리킨다. 이코노믹 타임스(The Economic Times) 12일자에 따르면 6개의 스타트업 기업은 헬스케어 부문의 팜시지(Pharmeasy)사, 소셜 커머스 부문의 미쇼(Meesho)사, 핀테크 부문의 그로우(Groww)사와 크레드(Cred)사, 소셜 및 컨텐츠 플랫폼 부문의 구슈업(Gupshup)사와 쉐어챗(ShareChat)사이다. 인도는 2020년 동안 12개의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이 되어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하였고, 2021년 현재까지 10개의 유니콘 기업이 탄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IT 산업 로비 그룹 나스컴(Nasscom) 및 기술 컨설팅 진노브(Zinnov)의 공동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2021년에 50개 이상의 스타트업 유니콘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쉐어챗 최고 경영자인 안쿠 쉬 사흐 데바(Ankush Sachdeva)는 “인도에서 인터넷 보급이 심화됨에 따라 우리는 제품의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이사장 강성재)이 한국과 인도의 문화경제교류의 활성화를 위하여 인도 뭄바이 본부가 인도의 유력인사 4명을 당 본부의 고문으로 위촉했다. “문화가 힘”라는 슬로건으로 아시아 전역을 무대로 문화 및 경제 분야로 활발한 교류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이 위촉한 고문들의 프로필은 화려하다. 인도 인민당 6선 하원의원으로 인도 국무장관인 페이건 싱 쿨라스테(Faggan Singh Kulaste), 제니시 내어(Janesh Nair) 경기비즈니스센터 뭄바이소장, 사우 라브 샤(Saurabh Shah) 인도프랜차이즈협회 회장, 리시마 두브라이(Karishma Dubrai) 제니스 이벤트 대표 등 4명이다. 이번에 위촉된 인도 뭄바이 본부 대표 고문 페이건 싱 쿨라스테는 “아시아문화경제진흥원 뭄바이본부의 대표고문으로 위촉돼 영광이다. 앞으로 양 국가간 문화교류 및 경제산업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강성재 이사장은 “4명의 신임 고문은 인도의 문화경제 현장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대외교류 정책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한국과 인도 양국의 문화와 경제교류 방면의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는데 일익을 담당할 것”이라고
게임 '배틀그라운드(Battle Ground)'의 개발사인 크래프톤이 노드윈 게이밍에 2240만 달러(한화 약 255억 원)을 투자한다. 인도 게임 기업 나자라(Nazara)의 자회사인 노드윈 게이밍(Nodwin Gaming)은 인도에서 가장 칸 e-스포츠 기업이다. 이도 구르가온에 본사를 두고 블리자드 엔터테이먼트(Blizard Entertatinment), 밸브(Valve),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ESL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e-스포츠 이벤트 개최와 방송 콘텐츠 제작을 주력하고 있다. 이번 크래프톤의 노드윈 게이밍에 대한 투자는 배틀그라운드의 인도 e-스포츠 시장 진출을 위한 포석이다. 이미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이벤트 개최를 위해 노드윈 게이밍과 2회 이상의 공동 개최를 진행한 바 있다. 또한, 배틀그라운드의 운영 재개를 위한 목적도 있다. 2020년 인도-중국 간 국경분쟁으로 인해 중국 모바일 앱의 서비스가 전면 중지되면서 텐센트의 배틀그라운드도 금지 대상에 포함됐다. 크래프톤은 인도 배틀그라운드 서비스에 텐센트가 제외됐으며,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버와 계약해 데이터 독립성을 확보했음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노드윈 게이밍의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