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링페이퍼가 루쿠모를 인수한다. 미용의료 정보 플랫폼 강남언니를 운영하는 힐링페이퍼가 일본의 미용의료 플랫폼인 루쿠모(Lucmo)를 인수했다. 2017년 9월에 출시한 루쿠모는 일본 성형외과와 피부과 등에서 사용자가 경험한 10만 건 이상의 시술 후기를 제공하고 있다. 강남언니는 2019년 11월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강남언니 일본어 버전을 출시했고 출시 3개월만에 현지 사용자의 상담 신청이 매월 150% 증가했고 월간 사용자 수(MAU)는 10명 중 1명은 해외 사용자라고 밝혔다. 힐링페어피 측은 이번 인수를 통해 해외 현지로의 사업영역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일본의 15만 사용자로부터 신뢰받는 루쿠모를 통해 강남언니 일본어 서비스와의 시너지를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홍승일 힐링페이퍼 대표는 “시술 가격, 의료기기 정보 등 미용의료 시장에서의 정보 불균형은 전 세계 소비자가 겪고 있는 어려움”이라며 “강남언니는 전 세계 누구나 병원과 시술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믿을 수 있는 정보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약령시 한방의료체험타운이 8월 1일 정식으로 오픈했다. 연면적 2791㎡에 지하 1층, 지상 7층으로 구성된 한방의료체험타운은 국비 50억 원, 시비 50억 원 등 총 100억원의 자금이 투입된 공간이다. 한방의료체험타운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통해 한방 정보를 접할 수 있는 ‘ICT 한방체험관’, 경혈지압침대‧저주파 발마사지‧체성분 분석‧혈압측정이 가능한 ‘한방의료존’, 피부나이 진단‧두피 피부 진단‧마스크팩‧스킨케어‧네일케어 체험이 가능한 ‘한방 뷰티존’으로 구성됐다. 또한, 약선한식 만들기와 같은 실습 체험프로그램과 약용식물 전문가 과정 등 민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백동현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체험 프로그램별로 온라인 사전 예약과 현장 예약을 통해 시간당 관람객 입장 인원수를 제한한다"며 "체험타운이 362년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대구약령시 활성화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이 1분기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의 통계기구인 유로스타트(Eurostart)는 유로존의 2020년 2분기 GDP가 전분기인 1분기 대비 12.1% 감소한 것으로 추산했다. 또한 EU 회원국 전체 2분기 GDP도 1분기 대비 11.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존은 27개의 EU 회원국 가운데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 회원국을 의미한다. 유로스타트가 1995년부터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12.1%는 가장 크게 감소한 폭으로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산 장기화의 여파로 분석된다. 2020년 1분기에는 유로존이 2019년 4분기 대비 3.6%, EU가 3.2% 하락했지만 코로나가 본격적으로 확산된 3월이 지나면서 이탈리아를 비롯해 다수 유럽 국가가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경제적 타격이 반영된 것이다. 유로스타트는 “2분기는 EU 회원국들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봉쇄 조치를 시행한 시기인데다 GDP 통계는 예비치 및 추정치를 기반으로 한 불완전한 자료로 추가 수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미국 경제가 2분기 성장률 –32.9%를 기록했다. 미국 상무부는 2020년 2분기 경제 성장률이 –32.9%라고 발표하면서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 변동이 –5%인 것에 비해 6배가 넘는 국내총생산의 감소를 경험하게 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미국의 경제성장이 축소됐다는 것으로 금융위기였던 2088년 4분기 –8.4%나 대공황 때인 1932년의 연 성장률인 –12.8%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다. 미국은 코로나19에 대비해 주민 이동과 영업 활동을 제한했지만 한 달이 되기도 전에 이를 포기하거나 완화하며 경제 재개방에 나섰지만, 소비지출, 기업 투자, 재고량, 수출입, 주택시장 등 모든 분양에서 경제 충격과 타격이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IMF와 미 연방은행은 올해 미국의 전체 성장률을 –9%로 예측하고 2021년은 6%로 반등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반면, 11월 3일로 예고된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번 경제 실적은 악재로 작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가 외국인 의료 관광객이 3만명을 돌파했다. 대구광역시는 2019년 외국인 의료관광객이 3만 1183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2016년 2만명 시대 이후 3년 만에 이룬 쾌거다. 2019년에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는 49만 7464명으로, 2018년 대비 31.3% 증가했다. 대구는 서울, 경기도에 이어 3번째로 높은 6.3%(3만 1183명)를 기록했다. 국적별로 살펴보면 중국인이 6474명(21%)으로 가장 높았다. 이외에도 피부‧성형 분야에서 외국인 의료 관광객 증가가 두드러진다. 특히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의료관광객의 증가가 눈부시다. 가장 높은 증가율은 몽골이 2018년 대비 354%를 기록했고, 베트남은 243%, 태국은 100%, 일본이 92%로 뒤를 이었다. 백동현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앞으로도 의료관광특구 조성, 대구경북 웰니스 관광자원 활용으로 차별화된 성장 전략을 마련하겠다"라고 말했다.
2020년 2분기 대구‧경북 수출 실적이 급감했다. 한국무역협회(KITA) 대구경북지역본부에서 발표한 지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대구의 지난 2분기 수출은 2019년 2분기 대비 36.2%, 경북은 12.7% 감소했다. 1분기 수출이 대구는 8.3% 감소하고 경북이 1.7% 감소한 것을 봤을 때, 하락 폭이 훨씬 커진 것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이 본격화된 4월부터의 실적이 반영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0년 6월에 들어서면서 대구의 수출은 4억 3000만 달러(한화 약 5177억 원)을 기록해 2019년 6월 대비 25.3% 감소했으나 2020년 5월 감소세인 –46% 보다는 감소세가 완화된 것이다. 경상북도는 6월 수출실적이 27억 2000만 달러(한화 약 3조 2748억 원)로 2019년 6월 대비 4.8% 감소했다. 한편, 6월의 전국 수출실적은 10.7% 감소한 392억 2000만 달러(한화 약 47조 2208억 원)로 4월과 5월 연속 20% 감소한 것에 비하면 반등세로 볼 수 있고, 중국으로의 수출 실적이 2019년 6월 대비 9.6% 증가한 114억 2000만 달러(한화 약 13조 7469억 원)로 6개월만에 증가했다. 김승욱 무역협회 대구경북
한국토지신탁이 ‘죽전역 코아루 더리브’의 견본주택을 공개하고 분양에 들어간다. 견본주택은 대구 달서구 감삼동 100-1에 있으며,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100% 사전 예약으로 운영하며 당일 예약은 불가능하다. 죽전역 코아루 더리브는 감삼동 573번지에 위치해있고 지상 46층, 3개동으로 공동주택 274세대와 오피스텔 102실 등 모두 376세대가 입주할 수 있다. 대구도시철도 2호선 죽전역의 도보거리에 있고, 용산역과도 가까워 더블역세권에 위치해있다. 자차 이용자들도 대구 동서를 가로지르는 달구벌대로와 남북을 잇는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인접해 있다. 청약일정은 8월 3일 월요일에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8월 4일 화요일 1순위 청약, 8월 5일 수요일 2순위 청약을 접수받는다.
전기자동차로 글로벌 스타기업으로 쾌속질주하고 있는 테슬라가 2분기에서 약 1245억 원의 순이익을 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19로 공장이 한 달간 멈춘 적이 있어서 성적이 안 좋을 거라고 전망했다. 이를 보기좋게 반전시킨 것. 테슬라는 지난해 여름부터 4분기 연속 흑자를 냈다. 이로 ‘S&P500’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 S&P500는 국제 신용평가기구인 미국 S&P가 선정하는 우량주 목록이다. S&P500에 들어가면 투자금이 더 몰리고, 그러면 주가가 오를 가능성이 크다. 기술적인 차원에서도 테슬라는 2분기를 통해 자율주행 기술은 한층 고도화됐다. 올해 내 더욱 고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창업자인 앨런 머스크는 “2분기에는 말로 할 수 없는 수많은 도전들이 있었다. 특히 2분기를 지나면서 우리는 더 많은 기술들을 통해 적은 비용으로 적은 시간을 들여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방법들을 알게 됐다. 제품뿐만이 아니다. 공장 또한 더 효율적으로 지을 수 있게 됐다. 이를 텍사스 오스틴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분기 실적에서 자동차 생산에 따른 마진율이 증가했다. 테슬라의 자동차 총마진(매출 빼기 제품제조비용) 은 전체 매출의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