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상주시(시장 강영석)가 SK에코플랜트(舊 SK건설)가 이차전지 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2월 12일 상주시에 따르면, 지난 2월 10일 상주시청에서 상주시와 SK에코플랜트가 ‘상주 이차전지 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상주시는 지난 2021년 SK머터리얼즈그룹포틴이 이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제조공정을 청리일반산업단지에 조성하기 위해 1조 원 이상의 투자계획을 밝히고 건축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협약은 SK머터리얼즈그룹포틴과 SK에코플랜트가 연계 발전이 가능한 인근 지역을 선정해 2030년까지 이차전지 클러스터 산업단지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0만㎡(약 60만 평) 규모는 상주시 전체 농공 및 산업단지의 70%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SK그룹은 밑바탕이 돼 이차전지 관련 제조 기업이 이 단지에 집중 입주할 경우 청리산업단지와 클러스터 산업단지 간 시너지효과까지 창출돼 배터리 및 이차전지소재 메카로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상주시는 이차전지 클러스터 산업단지 조성 연구용역을 추진 중에 있으며 경상북도의 산업단지 지정계획 승인, SPC(특수목적법인) 설립, 조례 제정, 의회 승인 등
지난 2월 6일 ‘SK에코플랜트’가 북미 법인인 ‘BETEK’ 사명을 ‘SK에코플랜트 아메리카스’로 변경하고 북미지역 환경‧에너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고 6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 아메리카스’는 기존 연료전지 사업은 물론 환경‧에너지 분야 사업 확장에 앞장설 계획이다. 이번 사명 변경 역시 북미 현지에서 SK에코플랜트의 입지를 다지고, 기능과 역할을 강화해 환경‧에너지 분야 선진 시장인 북미지역 공략의 첨병으로 삼겠다는 의도를 담았다. SK에코플랜트는 미국 내 상대적으로 높은 전력가격과 낮은 연료 가격을 기반으로 경제성을 확보해 연료전지 공급 시스템 구축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들어 있는 수소 경제 지원책 등을 바탕으로 북미 지역에서 생산한 수소를 암모니아로 전환하는 솔루션 구축도 준비 중이다. 아울러 SK에코플랜트는 자사가 최대 주주인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전문기업 ‘어센드엘리먼츠’를 활용해 미 켄터키주에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건설하는 등 북미 배터리 시장에서 역할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IRA에는 폐배터리 재활용 제품 수혜 대상을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에 사용된 핵심광물이 일정 비율 이상
반도체 소재기업 ‘SK실트론’이 경상북도의 ‘지방교육 혁신을 통한 인재공급체계’ 정책에 대해 구미 5조 5,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2022년에 이미 1조 원의 투자를 하겠다고 밝힌 뒤의 후속 투자다. 경상북도와 구미시는 2월 1일 구미 SK실트론 본사에서 이철우 도지사, 김장호 구미시장,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실리콘반도체 웨이퍼 제조설비 증설을 내용으로 하는 투자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SK실트론의 이번 투자는 2022년에 발표한 투자의 연장선상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오는 2025년까지 구미 국가산업 3단지 42,716㎡(약 13,000천평) 부지에서 2022년에 투자한 1조 원과 2023년에 추가 1조 2,360억 원을 투자하는 등 경북 전역에 모두 5조 5,000억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300㎜(12인치) 실리콘웨이퍼 제조설비를 증설해 일자리 1천개를 창출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경상북도는 기업 투자결정 단계에서부터 대학과 협력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고, 공장이 준공될 시점에 필요인력을 공급해 그들이 정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는 방침을 내놨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앞서 2
12월 23일 SK E&S가 액화수소 사업 자회사 아이지이(IGE)가 국책 금융기관과의 약정을 통해 3,6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IGE는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사업에 대한 프로젝트 파이낸스(PF) 금융 약정을 체결했다. 2021년 3월 액화수소 생산‧판매 등 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된 SK E&S의 자회사다. PF에는 한국산업은행(KDB), 한국수출입은행(KEXIM),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이 대주단으로 참여했다. PF 약정 체결을 계기로 SK E&S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계획은 정상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SK E&S는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를 구축해 내년 하반기부터 액화수소 충전소를 통해 경쟁력 있는 액화수소를 전국에 공급할 계획이다. SK E&S는 “이번 약정 체결로 투자비를 안정적으로 조달할 수 있게 됐다.”며 “액화수소를 차질 없이 생산·공급해 국내 수소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K온이 2조 8,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했다.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은 SK온이 자체 자금 조달에 난항을 겪자 구원투수로 등판해 2조 원을 출자한다고 공시했다. 시장에선 SK온이 자체적으로 투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레고랜드 사태로 인해 급격히 채권 시장이 경색되자 모회사가 나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상장사인 SK이노베이션 주주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SK온은 최대한 외부에서 자금을 확보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1조 원은 12월 중 출자하고 남은 1조원은 2023년에 집행할 예정이다. 나머지 8,000억 원은 한국투자PE 등 재무적 투자자(FI)가 12월 출자하며 2023년에 최대 5,0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SK온에 투자할 가능성을 검토에 들어갔다. SK온은 이번 투자금 확보로 미국 포드, 현대자동차, 폭스바겐 등 고객사의 물량 수주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회사의 성장세가 가속화할 것이라고 SK이노베이션은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그룹의 미래 신성장 사업 중 하나로 꼽히는 SK온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 SK이노베이션의 투자로 성장 동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직접 투자를 통해 중장기 배터리 수요 증가에 선제
SK그룹의 이차전지 법인인 SK온이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생산단지 내에 숙박‧여가 시설 건설을 추진한다. 미국 조지아주 커머스 상업 계획‧구역 설정 위원회(Commerce Planning and Zoning Commission) 정기 회의에서 SK온이 공장 내 22.58에이커 규모 부지 용도를 공장 건설용(M-2에서 상업 시설용으로 전환하는 안건에 대해 논의했다. 오는 9월 19일 열리는 회의에서는 승인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SK온은 지난 7월에 공장 부지 내에 숙박시설을 설립할 수 있도록 구역을 조정해달라는 내용의 서한과 신청 서류를 제출했었다. SK온의 계열사 경영진, 임직원, 고객사, 공급업체 관계자, 장‧단기 비즈니스 방문객 등이 해당 숙박시설을 이용할 예정이며, 일반인에는 공개되지 않는다. 시설명은 ‘행복센터(Happiness Center)’라고 명명됐으며 ▲400석 이상 대규모 회의시설 ▲6개의 중소 회의실 ▲야외 바베큐 공간 ▲정원, 하이킹/ 자연 산책로 ▲개인 VIP‧레지던스 정원 ▲비즈니스 라운지 ▲스파‧피트니스 센터 ▲주차장 등이 함께 들어설 예정이다. SK온은 26억 달러(원화 약 3조 원)를 투자해 조지아주에 배터리 제 1
지난 8월 2일 SK하이닉스(SK Hynix)가 국내 8인치 파운드리 기업인 키파운드리(Key Foundry)의 인수 절차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10월 SK하이닉스는 매그너스반도체 유한회사로부터 키파운드리 지분 100%를 5,758억 원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한 뒤, 인수 절차를 진행해 왔다. 2022년 상반기 동안 SK하이닉스는 한국, 중국에서 이번 인수에 대한 기업결합심사 승인을 진행해 왔다. 키파운드리는 8인치 웨이퍼 기반으로 전력반도체, 디스플레이구동칩,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등 비메모리 반도체를 위탁 생산하고 있다. 지난 2021년 매출액은 6,160억 원을 기록했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8인치 파운드리 자회사인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와 키파운드리의 역량을 활용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 안정화와 국내 시스템 반도체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키파운드리의 신임 대표이사는 SK하이닉스시스템아이씨의 대표를 역임했던 이동재 대표가 맡는 것으로 알려졌다.
말레이시아 지역에서 SK어스온이 처음으로 광구 낙찰에 성공해 광권‧광구 운영권을 확보해 석유 탐사에 나선다. 4월 24일 SK어스온은 말레이시아 국영 석유회사 ‘페트로나스(Pteronas, Petroliam Nasional Berhad)’ 및 말레이시아 사라왁(Sarawak)주의 석유개발회사인 페트로스(Petroleum Sarawak Exploration and Production Sdn., Bhd.)와 광구 생산물 분배계약을 체결했다. 2021년 말레이시아 광구 입찰에 참여한 SK어스온은 사라왁 지역 해상에 위치한 ‘SK 427’ 광구를 낙찰 받았다. 광권은 입찰에 따른 낙찰 등의 방법으로 허가받은 육‧해상의 일정 구역에서 석유 및 가스 등 천연 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목적으로 취득하는 권리다. 해당 광권 취득에 따라 산유국 정부와 광권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들의 대표자를 운영권자라고 한다. ‘SK 427' 광구의 지분 85%를 확보한 SK어스온은 광구의 탐사 및 개발, 생산 등을 책임지고 수행하는 운영권자가 된다. 15%의 지분을 보유한 페트로스와 협력해 본격적인 광구 탐사에 들어가 향후 4년간의 탐사 수행 결과를 토대로 개발 및 생산 여부가 최종적으로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