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면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이 동남아시아 공장의 생산을 중단하고 있다. 미국이 동남아시아에 진출한 중국 태양광 기업들의 '관세 우회로'를 막으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중국 기업들이 철수와 잔류를 놓고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 태양광 1위 업체인 융기 실리콘(Longi Green Energy Technology)은 베트남의 한 시설에서 5개 생산 라인을 모두 중단한 후 이번 주 말레이시아 공장의 활동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기 시작했다고 중국 언론이 보도했다. 융기 실리콘의 설립자 리정궈는 최근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국내 태양광 산업과 공급망을 강화하기로 분명히 결심했다"며 "따라서 문제는 우리가 동남아 공장들을 닫을지, 아니면 그것들을 백업용으로 유지할지 결정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미국이 2022년 캄보디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등 동남아 4개국에서 생산된 특정 태양광 전지와 모듈에 대해 200% 반덤핑 상계 관세를 면제했던 임시 조치가 지난 6일 만료했다. 융기는 올해 태양광 산업이 가격 변화, 무역 정책 조정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고 말했다. 최근 몇 년간 급속한 확장으로 인해 중국 내 태양광 설비 부문의
중국 정부가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R&D)에 60억 위안(원화 약 1조 1,300억 원) 규모의 지원금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가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이번 지원금을 CATL(寧德時代), BYD(比亞迪), 이치(一汽), 상치(上汽), 웨이란(衛藍), 지리(吉利) 등 6개 중국 배터리 및 자동차 관련 기업들에게 지급할 예정이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지원금의 형태와 구체적인 규모 등을 발표하지 않았으며, 관련 기업들은 현재 신청 단계로 정부 심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의 가연성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 수명, 충전 속도 등 여러 방면에서 월등히 뛰어나 ‘꿈의 배터리’로 불린다. 하지만 초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해 주요국의 선도기업들만이 연구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의 주요 전기차 업체들인 니오(Nio), 창안(Changan), BYD 등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착수한 가운데, 광치(Guangqi)는 2026년에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할 계획을, CATL은 2027년 소규모 양산을 시작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중국 정부의 지원금 조성은 중국 배터리 및 전기차 산업의
중국이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한 3,440억 위안(원화 약 64조 6,720억 원 규모의 ‘빅펀드3’ 기금을 조성했다. 1차 펀드부터 이번 ‘빅펀드3’ 기금을 합치면 120조 원이 넘는 규모의 기금이다. 미국‧유럽연합(EU)‧인도‧일본 등 주요국이 내놓은 보조금 규모는 807억 달러(원화 약 110조 원)으로 추정된다. 중국이 조성하는 반도체 펀드 규모는 보조금 규모를 초월한다. 미국의 제재에 맞서 ‘반도체 기술자립’을 하겠다는 시진핑 국가주석의 의지를 피력한다는 것으로 해석되며, ‘반도체 굴기’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으로도 보인다. 지난 5월 27일 중국의 반도체산업 육성 펀드인 ‘국가직접회로 산업투자기금’은 지난 5월 24일 3,440억 위안 규모의 3차 펀드를 조성했다. 펀드 조성에는 중앙정부를 비롯해 중국공상은행, 중국국영은행 등이 참여했다. 최대주주는 중국 재무부이며, 선전, 베이징 등 지방 정부 소유의 투자회사들도 출연했다. 중국의 반도체산업 육성기금은 이번이 3번째로 지난 2015번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한 뒤 반도체산업 육성펀드를 조성해왔다. 1차 펀드 규모는 약 1,400억 위안(원화 약 26조 3,000억 원)이었다. 2019년 2차 펀드
중국의 차량호출 서비스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지난 5월 22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의 우버로 불리는 ‘디디추싱’이 코로나19(COVID-19)와 경기 침체로 실직자가 대거 발생하면서 차량호출 서비스 등록 차량의 급증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디디추싱의 기사로 등록하는 것은 자동차와 운전면허만 있으면 가능하기 때문에 실직자들에게 인기있는 아르바이트 직종이다. 중국 경기침체는 2024년 1분기까지 이어지면서 차량호출 시장은 더욱 치열해졌고 운전자들은 부족한 수입을 채우기 위해 장시간 일하고, 디디추싱 이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에 등록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차량호출 시장은 지난 2023년 연말부터 업계 구조조정에 대한 관측이 나왔다. 민간 기업인 쯔옌 컨설팅에 따르면 중국의 차량호출 시장은 2015년 500억 위안(원화 약 9조 4,060억 원)에서 2022년 2,562억 위안(원화 약 48조 1,963억)으로 7년 동안 31.8% 가량 성장했다. 중국 교통부에 따르면, 2023년 연말 기준 등록된 운전사가 약 660만 명으로 지난 2022년 연말에 거의 30% 증가했으며, 중국 인터넷네트워크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5월 22일 대만 중앙통신이 중국 광저우시가 시속 600㎞의 자기부상열차 운행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 고속열차가 운행되면 광저우에서 상하이까지 약 3시간 정도 소요되며 세계 기록도 세우게 된다. 현재 상하이 푸둥 공항과 시내 구간에서 자기 부상 열차를 운행중으로 최고 속도 시속 430㎞, 운행 속도는 시속 300㎞이다. 전 세계적으로 독일 ICE와 프랑스 TGV 고속철도 운행 속도도 시속 300㎞로 광저우가 발표한 자기부상열차의 속도의 절반 밖에 안된다. 광저우시가 발표한 ‘2035년 종합 교통 계획’은 주장강 삼각주에 허브를 건설하고 광저우-주하이-마카오 구간에 고속철도를 건설하며 광저우-선전간에도 제2 고속철도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 새로 계획된 자기부상열차는 설계 속도가 시속 600㎞ 이상으로 현재까지 육상운송 중 가장 빠른 운송수단이 된다. 가장 근접한 속도는 지난 2015년 일본에서 도쿄-나고야 구간 시험 운영에서 신칸센이 시속 603㎞에 도달한 적이 있다. 이 고속열차 속도라면 1600㎞ 떨어진 상하이와 광저우는 3시간 이내, 2000㎞ 떨어진 광저우-베이징은 약 3.3시간 이내로 단축돼 기존 보다 절반 이상 시간이 줄어든다
지난 5월 17일 중국 금융당국이 경기 부양책으로 1조 위안(원화 약 188조 원) 규모의 ‘초장기 특별국채’를 정식 발행한다고 밝혔다. 관영매체인 중앙TV(CCTV)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30년 만기 400억 위안(원화 약 7조 5,000억 원) 규모의 고정금리 첫 특별국채를 내놨다고 보도했다. 액면 금리는 이날 56개 금융기관의 경쟁 입찰을 통해 결정된다. 특별국채는 5월 22일부터 채권시장에서 거래된다. ‘초장기 특별국채’는 재정적자에 포함되지 않아 재정 지출의 큰 변동을 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 (이하 ‘전인대’) 정부업무대회에서 중국 국무원 리창 총리는 “올해부터 몇 년간에 걸쳐 초장기 특별 국채 발행을 시작하기로 했다.”면서 “올해 1조 위안 어치를 발행한다.”고 말한 바있다. 업무보고에서 명시된 특별국채의 발행 목적은 ‘대형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 투입’과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한 지원’이다. 이번 특별국채 발행은 역대 4번째다. 1번째 특별국채는 1998년 4대 국유은행의 자본 확충을 위해서 발해됐다. 2번째 특별국채는 2007년 중국투자공사 설립 자금 마련을 위해 발행됐다. 3번째 특별국채이자 경기 부양을 위한
라인야후(LY코퍼레이션)가 대만에 설립한 인터넷전문은행 ‘라인뱅크’(LINE Bank)가 외환 서비스를 출시했다. 지난 5월 16일 라인뱅크는 현재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최초로 외국환은행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관련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라인뱅크는 외환 서비스를 통해 미국 달러 결제를 비롯해 달러 예금, 외화 송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향후 다양한 외화 및 자산 관리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빙침이다. 라인뱅크는 지난 2022년 손해보험 상품을 출시한 데 이어 지난 2023년 신용카드와 증권결제계좌 서비스를 선보이는 등 서비스 다각화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5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다는 목표다. 라인뱅크는 지난 2021년 4월 공식 출범했다. 이후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2,100만 명에 달하는 대만 국민 메신저 라인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대만 1위 인터넷은행으로 자리매김했다. 2023년 연말 기준 고객 수는 172만 5,000명으로 시장 점유율은 9% 수준이다. 라인뱅크는 지난 2023년 출범 2주년을 맞아 ‘패스트 파이낸셜 플랫폼’(Fast Financial Platform) 전략을 공개했다. 대만 1위 메신저 라인의 폭넓은 생태계를
중국 2위 부동산업체 완커(萬科・Vanke)가 경영상 어려움과 유동성 압박에 직면해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입장문을 내고 2025년까지 1,000억 위안 (원화 약 19조 원) 규모의 부채를 줄일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15일 중국 경제매체 ‘제일재경’ 등에 따르면 완커는 전날인 4월 14일에 발표한 입장문에서 “총체적 경영 상황에서 볼 때 현재 완커는 확실히 단계적 경영상 어려움에 직면했고, 유동성이 단기적으로 압박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러나 회사는 경영 안정과 부채 감소를 위한 패키지 방안을 마련했으며 이런 단계적 압력은 적절히 해소할 수 있다.”면서 “우선 자구책을 세우고 스스로 리스크를 해소할 능력과 자원에 근거해 모든 진행 중인 사업을 전면 재검토・분류・정리하며 맞춤형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2024년과 2025년 등 2년에 걸쳐 채무 규모가 1,000억 위안(원화 약 19조 원)을 감소하고 부채 리스크를 실질적으로 해소될 것으로 자신하면서 완커그룹의 모든 건설 프로젝트 또한 제때 양질로 인도될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도 입장문에 담았다. 매출액 기준 중국 2위 부동산업체인 완커는 2021년 촉발된 중국 부동산 경기 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