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전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과 인도네시아가 최근 양해각서(MOU)를 맺은 배터리 산업 협력 규모가 98억 달러(약 10조638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0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바흐릴 라하달리아 투자조정청장은 현지 기자회견을 통하여 MOU 체결 내용을 전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으로 12월 1일 공식 출범한 LG화학의 자회사다. LG에너지솔루션은 출범식에서 “2024년 3조원의 매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 측은 지난 18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배터리 산업 협력 MOU 체결식을 열었다. 한편 현대자동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전기 자동차 프로젝트에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2021년 말까지는 연소 엔진 자동차, 2022년에는 전기자동차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가 하노이에 본사를 둔 베트남증권거래소(Việt Nam Exchange) 설립 결정에 서명했다. 베트남 뉴스(Viet Nam News)에 따르면 29일 정부는 베트남 증권거래소 설립을 공식 허가했다. 약 1억 3000만 달러(약 1417억 원)의 정관 자본을 투자한 유한책임회사 형태로 운영한다. 지금까지 베트남에서는 호치민 증권거래소(HoSE, Ho Chi Minh Stock Exchange)와 하노이 증권거래소(HNX)가 개별 운영됐다. 두 거래소에 상장한 회사는 지난해 기준 740여곳으로 시가총액은 1200억 달러(약 130조원)에 달한다. 베트남 증권거래소 설립이 공식 허가됨에 따라, 두 지역의 증권거래소들은 베트남 증권거래소의 계열사(자회사)로 종속된다. 베트남 거래소는 두 증권 거래소의 자본을 100% 보유한다. 구체적으로 HoSE는 일반 주식시장과 기타 증권 상품, HNX는 파생시장과 국채, 회사채 관리 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베트남 증권거래소는 Việt Nam Stock Exchange 또는 Việt Nam Exchange로 표기된다. 업무는 2021년 2월 20일부터 시행된다. 내년에도 베트남 증시에 호재가 많다. 한
안랩(Ahn Lab, 053800)이 통합기술지원 웹사이트인 ‘안랩 ASK'를 오픈하고 고객 소통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안랩 ASK에는 ‘제품군별 기술문서 및 가이드’, ‘제품 관련 자주 묻는 질문(FAQ)', '공지사항 및 보안 동향 정보’ 등 안랩 제품 사용고객을 위한 전문적인 고객지원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추가 문의가 핑료한 고객을 위한 ‘문의 등록’, 내 문의의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내 활동’ 등 사용자 편의를 위한 메뉴도 제공한다. 안랩 ASK에서 제품별 문서 자료와 다양한 상황의 질문과 답변이 축적된 FAQ에서 제품 사용시 문의 사항에 대한 답변도 1차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추가정보가 필요하면 로그인 후 ‘문의 등록’ 메뉴에서 문의 내용을 등록하면 제품의 고객지원 담당자가 자동으로 배정돼 신속하게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내 활동’ 메뉴에서 문의 내용의 해결 진행 상황을 실시관 확인 및 지정해둔 문서의 업데이트 여부도 확인가능 하다. 정진교 안랩 정보전략실장은 "분산돼 있던 제품문의 창구를 일원화해 통일되고 질 높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자 안랩 ASK를 기획했다"라며 "통합 기술지원센터 안랩 ASK로 고객 요구사항에 더욱 빠르게 대응해
피트 부티지지 미국 교통부장관 지명자가 전기자동차 도입 정책을 강화하겠다는 소견을 밝혔다. 피트 부티지지는 인디애나주 사우스밴드의 사장을 역임했고 미국 차기 대통령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구성 중인 행정부의 교통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부티지지는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해 수백만 대의 새로운 전기차를 미국 도로에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공공 충전 인프라를 통해 클린 에너지의 공급과 이를 미국의 모든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바이든 당선인이 최우선 과제로 설정한 ‘기후 위기 극복’ 이슈에 부응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보인다. 바이든 당선인은 대통령 당선 소감에서 자신의 가장 첫 번째 행정명령은 ‘파리협약’ 재가입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이 0인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이를 위해 10년간 1조 7000억 달러(한화 약 1881조 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화석연료 시설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청전에너지 확대에 대한 내용도 제시했다. 바이든 당선인은 최근 부티지지를 공식 지명한 자리에서 "그는 문제를 해결하고 사람들을 한데 모으는 시장의 안목이 있었다"고 힘을 실어주기도 했
복잡하고 번거로웠던 증권 및 펀드 관리가 편리해진다.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된 국내 최초 비상장 주식 통합거래 지원 플랫폼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운영하는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블록체인 기반의 증권 및 펀드 관리 서비스 ‘온보드’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온보드는 기업의 증권 및 펀드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이하 SaaS)다. 두나무의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람다256이 개발한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루니버스’를 이용해 증권 발행 및 변동 내역, 주주명부, 스톡옵션 부여 및 행사 내역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온보드는 증권 및 펀드 관리의 ▲효율성, ▲투명성, ▲안전성을 담보한다. 기업은 엑셀 등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기로 관리해 온 주식 발행 및 스톡옵션 부여 내역을 온보드에 일괄 등록할 수 있다. 최초 등록 후에는 신주 발행, 구주 거래, 스톡옵션 행사 등 정보만 입력하면 블록체인에 자동 업데이트 된 현시점 주주명부와 스톡옵션 현황 파악이 가능하다.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의 특성 상, 증권 발행 이력 및 소유권 이전 여부 등이 투명하게 기록된다. 증권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미국 대표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가 뉴욕 증시에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월 코인베이스가 상장을 준비 중이라는 보도가 나온지 5개월만에 구체적인 사실이 확인됐다. 코인베이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상장을 위한 예비 서류 S-1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SEC의 검토를 거친 뒤 S-1은 효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0월 코인베이스의 기업 가치는 77억 달러(한화 약 8조 4500억 원) 정도로 평가받았다. 코인베이스의 구체적인 자금 조달 계획과 조달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코인베이스의 투자자를 모으는 상장 로드쇼 즈음에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 코인베이스의 상장이 성공한다면 미국 가상자산 거래소 중에는 첫 상장기업이 된다. 현재 SEC의 규제를 가장 잘 준수하는 거래소로 불리는 코인베이스는 가상자산이 금융 제도권 내로 들어가기 위한 노력을 해왔다. 2018년에 키스톤 캐피탈(Keystone Capital), 베노베이트 마켓플레이스(Venovate Marketplace), 디지털 웰스(digital Wealth LLC)를 인수하며 증권사로 등록을 마쳤고 SEC와 금융 자율규제 기관 FNRA(Fin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Kakaobank)가 기업공개(IPO) 주관사로 KB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CS)를 대표 주관사로 선정했다. 공동 주관사는 씨티그룹글로벌마켓 증권이 선정됐다. 지난 11월 카카오뱅크는 기업공개를 위해 증권사들에게 입찰제안요청서(RFP)를 보냈고, 숏리스트엔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KB증권 등의 증권사들이 입찰 경쟁을 벌였다. 11월부터 단행된 유상증자(구주주 대상, 제3자 배정)에서 정해진 카카오뱅크의 시가총액은 9조 3000억 원이지만, 증권가에서는 카카오뱅크의 몸값을 약 2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기업공개에서 KB증권이 주관사로 선정되고 한국투자증권이 탈락한 것에는 주주 관계의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KB증권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이 카카오뱅크의 지분 9%를 보유한 주요 주주로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지만, 카카오뱅크의 주주인 한국투자증권은 상장 주관사 선정에는 불리한 위치에 있게 됐다는 것이 업계의 평이다. KB증권을 상장주관사로 선정하면서 카카오는 카카오페이(Kakaopay)의 기업공개 상장 주관사를 변경했다. 기존의 카카오페이 상장 주관사는 KB증권과 삼성증권이지만, KB증권이 카카오뱅
월마트(Walmart)가 2021년부터 자율주행 배송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월마트는 2021년 아칸소(State of Arkansas)에서 약 18개월 간 완전 자율 주행 차량을 이용해 배송을 시작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스타트업 가틱(Gatik)이 월마트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지원한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가틱은 자율주행체 필요한 센서와 소프트웨어(SW)를 월마트에 납품하고 가틱의 기술이 접목된 자율주행 배송용 박스 트럭은 아칸소주 벤튼빌에서 비공개 테스트 중이다. 테스트 차량은 약 70,000mile(약 112,654km)의 거리를 주행했고 이 기술을 통해 2021년에 운전자 없는 배송 트럭 운행을 시행할 계획이다. 아칸소주에서 선보일 자율주행은 트럭은 고객이 주문을 취소할 경우 지정된 픽업 위체에 제품을 반납하고, 이를 수거하는 용도로 쓰인다.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되면 루이지애나(State of Louisiana)의 뉴올리언스(New Orleans)를 연결하는 장기 노선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도 있다고 밝혔다. 가틱(Gatik)의 가우탐 나랑(Gautam Narang)은 공동 창업자 "아칸소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율주행 배송 비공개 테스트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