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이강현)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위치한 론타르(Lontar) 재단으로부터 인도네시아 전통 인형극용 인형 ‘와양(Wayang)’ 6,000여 점을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론타르 재단에서 열린 기증식에는 ACC 이강현 전당장을 비롯해 론타르 재단 존 맥그린(John H. McGlynn)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행사는 ‘무카무카무 컬렉션’ 개요 및 진행 경과 설명, 론타르 재단 존 맥그린 이사장 축사, ACC 이강현 전당장 감사 인사, 기증 증서 전달 순으로 진행됐다. 와양은 가죽이나 나무 등으로 만든 인형이다. 와양에 달린 가느다란 막대를 이용해 사람이 조종하는 방식으로 주로 공연된다.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띠며 와양 인형극은 힌두교와 불교 신화 등을 기반으로 축제와 의식에서 공연된다. 이번에 기증된 와양은 미국 출신 수집가가 40여 년간 인도네시아에 거주하며 수집한 것으로 해당 수집가가 2022년 숨진 이후 비영리재단인 론타르 재단이 관리해왔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아시아문화박물관은 2017년 네덜란드에서 수증한 누산타라 컬렉션이 대략 1만점 중반에 이른다. 여기에 이번에 6,000여 점을 더 추가했다.
근현대 아시아의 민주화와 인권, 여성, 이주를 주제로 한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학술발표회와 전시회가 한자리에서 열려 주목된다. 서강대 동아연구소(소장 강희정)는‘Asia in Motion: 근현대 아시아인들의 평화와 인권을 위한 분투’를 주제로 한 학술발표회를 29일 오후 2시 ACC(국립아시아문화전당) 라이브러리파크에서 개최한다. 행사는 서강대 동아연구소와 ACC가 추진 중인 ACC 라이브러리파크 신규 아카이브 전시 콘텐츠 개발의 중간 보고회를 겸한‘아카이브 선보임 전시’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날 학술발표회엔 서강대, 서울대, 한국외대 출신 연구자 5명이‘라이브러리파크 컨텐츠 연구사업 경과와 전망(강희정, 서강대)’,‘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의 벽: 필리핀의 불완전 민주화 운동의 명암(엄은희, 서울대)’,‘평등을 향한 인도의 인권투쟁: 악습, 차별, 소외(박금표, 한국외대)’,‘저항하는 이란의 사자들: 이란 여성운동의 흐름과 궤적들(구기연, 서울대)’,‘근대 아시아와 중국인의 동남아 이주(김종호, 서강대)’에 관한 주제발표를 한다. 지정 토론자인 전북대 전제성, 전의령 교수는 라이브러리파크 공간 개선에 따른 신규 아카이브 전시 콘텐츠 개발사업의 방향과 전망을 제
아시아로 뻗어가는 ‘신남방-신북방 정책’ 역사적인 의미는 뭘까? 국립아시아문화전당서는 11월 4일 역사학자인 서울대 권오영 교수와 함께 한반도 해상교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외교정책의 의미를 역사학적, 고고학적으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일반 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11월 4일 오후 7~9시 아시아문화전당 문화정보원 B3 극장3에서 ‘거리두기 좌석제’로 진행된다. 최근 한국의 외교정책이 아시아로 확장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일본에 치중되어 있던 우리의 외교전략이 ‘신남방-신북방 정책’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 일본에 치중되어 있던 한국의 외교전략이 다양화됨을 의미하며 통상분야에서의 폭넓은 확장을 의도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전략을 추진하기에는 한국 사회의 역사학적, 고고학적 지식이 매우 부족함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바닷길을 통한 해상교류에 대한 이야기는 유럽의 지중해에서 중국의 동부 연해로 이어진다는 이야기를 비판 없이 수용하여 한국의 위상은 찾아보기 어렵다. 통일신라의 장보고에 대한 관심 역시 역사학과 고고학계에서는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장보고의 해상활동은 유럽과 중근동, 인도와 동남아시아를 거쳐 중국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