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결제원이 운영하는 은행권 공동 인증 서비스 ‘뱅크아이디’가 은행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다. ‘뱅크아이디’는 지난 2018년 은행연합회 주도로 시작된 ‘뱅크사인’ 관련 업무를 금융결제원이 지난 2021년 이관 받아 새로 출시한 블록체인 및 분산ID 기반 인증 서비스다. 기존 뱅크사인의 경우 이용률이 저조해 출시 4년 만인 작년 9월 서비스를 완전히 접었다. 뱅크아이디도 개별 은행들의 금융인증서 출시 영향으로 이용률이 떨어지다 보니, 전신인 뱅크사인의 길을 따르게 됐다. 자난 9월 1일 우리은행은 10월 30일부로 뱅크아이디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우리은행이 10월 말에 서비스를 종료함에 따라 뱅크아이디를 이용 중인 금융사는 ▲경남은행 ▲기업은행 ▲부산은행 ▲산업은행 ▲신한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 ▲케이뱅크 ▲전북은행 ▲광주은행 ▲제주은행 ▲웰컴저축은행 등 12개로 줄게 된다. 남은 곳은 지방은행들이 대부분이며 5대 시중은행 중에선 신한‧농협은행만 남게 됐다.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선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카카오뱅크를 비롯해 토스뱅크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뱅크아이디’가 은행권 공동 인증 서비스로 시작했음에도 참여율이 저조한 이유는 각 은행별로 금융인
은행권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독자 구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서비스가 사실상 유명무실화될 위기에 처했다. 기존 은행권이 비대면 대출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업권별 공용 플랫폼이 성공한 사례가 없던 것과 함께 은행들이 불참을 선언한 영향이 주요했다는 분석이다. 금융결제원은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핀테크 업체 선정을 위해 민간협의회 구성을 마쳤다. 민간 전문가 9명을 섭외해 ▲보안 검증 ▲대환 알고리즘 ▲은행 계약 현황 여부 ▲수수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할 예정이다.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한 은형권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해 의견을 조율 중이다. 영업중인 19개의 은행 중 3곳이 반대의견을 냈지만 수수료 문제 및 빅테크 중속 우려에 따라 독자적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 될 것이란 의견이 대세다. 은행 자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 접근성도 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문제점은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쟁력으로, 기존의 서비스들은 성과가 좋지 못했다. 보험업계의 ‘보험다모아’, 금융투자업계의 ‘펀드슈퍼마켓’ 등이 공용 플랫폼이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은행권에서도 공용 지급결제 시스템 ‘뱅크월렛’이 지난 2020년 서비스를 중단했고, 은행연합회가 지난 2018년 총
"모바일 사원증으로 출입 인증합니다." 지난 18일 금융결제원이 2020년 하반기부터 모바일 사원증을 발급하고 출입과 인증 수단으로 사용한다고 밝혔다. 금융결제원은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모바일 공무원증이 도입하면서 2020년 하반기부터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 사원증 발급 계획을 밝혔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된 신원정보를 이용해 쉽게 기관을 출입하고 아이디나 비밀번호 없이도 곧장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소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블록체인 분산 ID 기반으로 발급되 모바일 사원증은 금융결제원 직원 소유의 스마트폰에 분산ID 기반 디지털 신분증을 발급받아 출입과 인증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모바일 사원증은 금융결제원 오프라인 출입인증과 온라인 서비스 이용시 ID와 패스워드 기입을 대체하는 신원인증 용도로 사용되고 전자결제 시스템 접속에도 사용된다. 이르면 6월달부터 모바일 신분증은 지문인증 등 생체인증으로 구동해 출입 게이트의 통신장치에 제시해 기관 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박정현 금융결제원 미래인증전략팀장은 "오는 6월말 혹은 7월초 분산ID 기반 모바일 사원증을 적용할 예정이다. 인프라 기술은 블록체인 플랫폼 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