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은행권, 독자적 대환대출 플랫폼 구축 나서…변수는 ‘공공화’

대출시장 독점 중인 은행권, 굳이 비대면을?
은행권 ‘공공화’ 가능성 변수로

 

은행권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독자 구축하기로 결정하면서 서비스가 사실상 유명무실화될 위기에 처했다.

 

기존 은행권이 비대면 대출에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업권별 공용 플랫폼이 성공한 사례가 없던 것과 함께 은행들이 불참을 선언한 영향이 주요했다는 분석이다.

 

금융결제원은 대환대출 플랫폼 사업에 참여할 핀테크 업체 선정을 위해 민간협의회 구성을 마쳤다.

 

민간 전문가 9명을 섭외해 ▲보안 검증 ▲대환 알고리즘 ▲은행 계약 현황 여부 ▲수수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할 예정이다.

 

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한 은형권도 대환대출 플랫폼에 대해 의견을 조율 중이다.

 

영업중인 19개의 은행 중 3곳이 반대의견을 냈지만 수수료 문제 및 빅테크 중속 우려에 따라 독자적 대환대출 플랫폼이 구축 될 것이란 의견이 대세다.

 

은행 자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해 접근성도 해결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문제점은 대환대출 플랫폼의 경쟁력으로, 기존의 서비스들은 성과가 좋지 못했다.

 

보험업계의 ‘보험다모아’, 금융투자업계의 ‘펀드슈퍼마켓’ 등이 공용 플랫폼이었지만 성과는 미미했다.

 

은행권에서도 공용 지급결제 시스템 ‘뱅크월렛’이 지난 2020년 서비스를 중단했고, 은행연합회가 지난 2018년 총 50억 원을 투자해 만든 인증 서비스 ‘뱅크사인’도 저조한 이용률로 2021년 8월 중 서비스를 중단한다.

 

게다가 은행권은 이미 대출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굳이 비대면 대출대환 시장에 진입할 이유가 없다.

 

이자 경쟁에서도 인터넷전문은행에 열세여서 독자 플랫폼을 만들어도 사용 빈도가 낮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변수는 은행권 플랫폼이 ‘공공화’ 가 거론되고 있다.

 

은행이 중심이 아닌 금융권 공공플랫폼의 형태로 나아가면서 최대한 많은 업권들을 포용하는 형태의 플랫폼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은행권 독자 플랫폼이 핀테크나 빅테크와 경쟁에서 비등하게라도 나가려면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 등 2금융권까지 포괄해야 한다는 논리로 일부 2금융권도 이에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앞서 금융결제원이 지난 6월 공공플랫폼 구축과 관련한 수요조사를 진행했으나 의견 차로 인해 무산됐다.

 

은행연합회와 다른 금융협회의 협업이 필요한데, 지금까지 이뤄진 사례가 없다. 금융위가 나서지 않으면 현실화가 어려울 전망이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