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2월 13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서 제17차 한-아세안센터 연례 이사회를 개최했다. 이번 이사회에서는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정부 고위 관료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아세안센터의 2024년 사업을 평가하고 2025년 사업 계획 및 예산을 논의했다. 2025년은 한-아세안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해이자 아세안이 향후 20년의 비전을 담은 ‘아세안 공동체 비전 2045’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는 해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말레이시아는 ‘포용성과 지속가능성(Inclusivity and Sustainability)’을 가치로 내걸었다. 이에 발맞춰 한-아세안센터는 양국의 미래 세대, 기자, 여론 형성층 등 다양한 대상을 포괄하는 신규 프로그램들을 선보여 포용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ESG를 포함한 지속가능성을 높인 사업들을 이번 이사회에서 논의하고 최종 승인을 받았다. 주요 사업으로는 서울 중심부 한국프레스센터 1층에 아세안 문화관광 갤러리(서울 아세안 홀) 신규 개관을 추진해 대한민국 국민의 아세안 문화관광 자원에 관한 관심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센터는 아세안과 긴밀한 협력을 하고 있는 대화상대국들의 아세안센
“전세계 패션 브랜드들도 벤치마킹한 필리핀 직조는 역시 아름답네요.” 필리핀 대사관은 2024년 12월 17일 화요일 오후 3시 서울 인사동 마루아트센터 2층 오미갤러리에서 열리는 ‘필리핀 직조 전시회(Threads of Culture: 필리핀 직조(HABI))’를 열었다. 한국과 필리핀 수교 75주년을 기념하는 이 행사의 개막식에는 마리아 대사뿐만 아니라 전 필리핀 대사를 역임한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을 비롯한 국내외 인사들이 참석했다. 개막식에서 마리아 테레사 디존-더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는 “필리핀 직조 문화의 풍부한 전통과 예술적 가치를 한국에 소개하며, 양국 간 문화적 이해와 교류를 증진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재신 사무총장도 한-필리핀 수교 75주년을 축하하면서 발전한 필리핀 직조문화에 대한 우수성을 찬사하면서 전시회의 의미를 강조했다. 주한 필리핀 대사관, 필리핀의 직조 및 직물 기업, 지역 공동체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이번 전시회는 필리핀의 전통 직조 문화인 하비(Habi)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는 필리핀 전통 직조 문화를 대표하는 9개 팀이 참여했다. 또한 필리핀의 대표 직물인 아벨(Abel),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12월 20일 ‘2024 신진학자육성지원사업 아세안 현지조사 세미나’를 열었다. 한국동남아학회와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와 공동 주최하는 이번 세미나는 연구 주제별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며 신진학자 9명이 현지조사 성과를 공유했다. 동 행사는 신진학자, 지도 교수, 그리고 한국동남아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한-아세안센터에서 진행했다. 한국동남아연구소 20주년 기념포럼이기도 한 이 행사는 ‘초대학적 연구 중심의 전성시대와 그 유산’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 국내외 대학의 석-박사 과정에 있는 신진학자들은 △동남아시아의 정치 역학, △대내외 외교 전략,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민족적 정체성과 네트워크라는 공통 주제 아래 각자의 현지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토론했다. 한국동남아학회장을 맡고 있는 전북대학교 전제성 교수와 강원대학교의 김형준 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아산정책연구원 이재현 박사, 연세대학교 김형종 교수, 그리고 덕성여자대학교의 채현정 교수가 자문했다. 2024 신진학자육성지원사업은 아세안 분야의 국내 차세대 연구자 양성과 아세안 국가 기관과의 연구 교류 및 협력을 통해 학문적 이
“제주서 동남아 지역으로 상상여행 해보세요.” 마리아 테레사 비 디존-데 베가 주한 필리핀 대사가 제주 서귀포시에서 열린 ‘한-아세안 올레 제막식’에서 의미 있는 축사를 했다. 특히 올해 한-아세안 관계에 뜻깊은 진전을 회고했다. 올해 초 한-아세안센터의 창립 15주년를 맞아 한-아세안센터에 모인 일,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비엔티안에서 열린 제 25차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한 일들을 되새겼다. 개인적으로 제주도를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방문했다는 마리아 대사는 “이 발전하는 파트너십에 세계 불가사의 중 하나인 제주도의 숨막히는 아름다움 속에서 또 하나의 이정표를 추가한다. 한-아세안 가족이 커졌다. ‘한-아세안 올레’다”라고 강조했다. 마리아 대사는 한-아세안 올레의 탄생 비화도 소개하면서 감사했다. 그는 “약 1년 전 에릭 테오 주한 싱가포르 대사가 이 프로젝트를 처음 제안했을 때 전폭적으로 지지해준 주한 아세안 위원회 동료들과 김 사무총장께서 이끄시는 한-아세안센터,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여준 제주특별자치도 관계자, 제주올레재단, 아세안재단의 협력과 지원에 다시 한 번 감
“한-아세안 올레는 35년 깊은 우정을 닮은 길이다.” 8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내 주상절리 인근 올레 8코스에서 '한-아세안 올레' 명명 및 제막식을 가졌다. 이 명명 및 제막식은 ‘한-아세안 대화관계 35주년’과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로의 격상을 기념하여 제주올레 8코스를 ‘제주올레 8코스: 한-아세안 올레’로 명명하는 행사다. 제막식에는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오영훈 제주도지사, 서명숙 올레재단 이사장, 오순문 서귀포시장,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 및 배우 류승룡 등이 참석했으며, 기념 공연과 기념 벤치 및 표지판 제막이 진행되었다.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제주올레는 한국의 대표 트레킹 코스로서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보여준다. 이 제주올레는 지난 35년간 서로 관계를 이어온 한국과 아세안 간의 깊은 우정과 닮아 있다”고 개회사 모두를 열었다. 이어 “이러한 의미를 되살려 오늘 이 자리에서 ‘제주올레 8코스: 한-아세안 올레’를 소개하려고 한다. 한-아세안 올레는 한국의 주요 랜드마크로 자리잡아 아세안에 한국의 관광 유산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아세안 관광지에 한-아세
제주에 ‘한-아세안올레’길이 생긴다. 제주올레 8코스가 새 이름을 더 갖게 된다. 한-아세안센터는 제주도청, 사단법인 제주올레와 함께 제주올레 8코스를 ‘제주올레 8코스: 한-아세안 올레’로 명명하고 11월 8일 제막식을 연다. ‘아세안 위크 네번째 프로그램’으로 진행되는 ‘제주올레 8코스: 한-아세안 올레’ 제막식은 제주 서귀포시 제주 올레 8코스에서 열린다. 서울 강남에 한국-이란을 잇는 ‘테헤란로’가 생긴 것처럼 ‘아세안과 제주 사이’의 연결고리가 한층 단단해지는 것이다. ‘제주올레길’은 총 437km의 27개 코스로 이뤄졌다. 2007년에 1코스가 개방된 이래 전국에서 ‘올레꾼’이 찾아오는 한국 대표 걷기좋은 길의 대명사가 되었다. 단순히 한국인들만이 아니라 제주를 찾은 외국인들도 이 길을 걸으며 전세계 문화유산이 된 풍경에 취한다. 제주올레 8코스는 제주도의 푸른 바다를 따라 걷는 ‘바당(바다의 제주말) 올레 코스’다. 특히 8코스는 제주 아세안홀(Jeju ASEAN Hall, 아세안 쉼팡)이 위치하는 길이다. 2009년 첫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이자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제주도에 설립되었다. 제주 아세안홀은 한-아세안센터, 제주도청, 국제평화
지역적 성장의 실현: 조호르-싱가포르 특별경제구역(JS-SEZ)에서의 사업기회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은 조호르 주(JS-SEZ) 투자청(Invest Johor)과 함께 투자 세미나를 개최했다.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10월 28일 열린 세미나에서는 '말레이시아 조호르(JOHO)주의 발전현황 및 조호르 주 특별경제구역(SEZ)에서의 새로운 투자기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투자청, 딜로이트, OCBC은행 및 메이뱅크(MAYBANK) 등이 발표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지역적 성장의 실현’이라는 주제로,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다토 모하마드 잠루니 칼리드(Mohd Zamruni Khalid)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의 축사와 다토 온 하피즈 가지(Onn Hafiz Ghazi) 조호르 주 수상(Chief Minister of Johor)의 기조연설로 시작되었다. 잠루니 대사는 축사에서,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또 하나의 중요한 가교역할을 해서 기쁘다.”라고 말했다. 다토 온 하피즈 가지 조호르 주 수상은 기조연설에서, 총리의 ‘조호르 지역은 말레이시아의 동력’이란 발언을 소개하며, 싱가포르와 특별경제자유구역을 만들어 12월초에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10월 21~23일 3일간 과학기술컨벤션센터(ST Center)에서 ‘2024 한-아세안 스타트업 이노베이션 위크’ 피칭 대회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아세안 지역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유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18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특히 올해 한-아세안센터 설립 15주년을 맞아 ‘한-아세안 스타트업 이노베이션 위크’는 예년과 다른 아세안 참석 기업을 위한 역량강화 요소를 선보인다. 피칭 대회와 더불어, 김종윤 야놀자클라우드 대표 등 한국 대표적인 유니콘 CEO 초청 강연(22일)과 서울 소재 스타트업 지원 센터 투어(23일)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대회에는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관과 아세안 중소기업조정위원회(ACCMSME: ASEAN Coordinating Committee on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의 추천을 통해 선발된 30개의 초기 단계 스타트업이 참가한다. ▲인공지능,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후 기술, ▲핀테크, ▲교육, ▲모빌리티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국내 액셀러레이터와 벤처캐피털을 대상으로 피칭을 진행할 예정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10월 2일(수) 인도네시아 서자바의 수도 반둥(Bandung)에서“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관광지 스토리텔링: 영상을 활용한 효과적인 관광 홍보 우수사례 공유” 세미나를 개최한다. 본 행사는 인도네시아 관광창조경제부(Ministry of Tourism and Creative Economy, MoTCE)와 협력하여 진행되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광 콘텐츠 제작 전문가와 업계 종사자들이 교류하는 자리이다.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디지털 관광마케팅과 관광활성화 전략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양국 간 우수 사례 공유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 및 네트워킹의 장을 제공할 예정이다. 본 세미나는 영상 콘텐츠를 관광 홍보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며, 전문가 발표와 방송 제작 후보지 시찰 및 현지 촬영 관련 주요 정보 공유 등의 내용으로 진행한다. SBS의 장경수 부국장, HAJI Factory의 송진선 대표, EBS <세계테마기행>의 양혜정 팀장, 대진대학교의 한우정 영화영상학과 교수, 국제 영화제 수상자 이반 한도요(Ivan Handoyo) 감독과 부디 쿠르니아완(Budi Kurniawa
“동남아시아 식물의 생태와 인간과의 관계를 보려면 숲을 보라”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9월 7일(토)부터 12월 1일(일)까지 광주광역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창조원 복합전시 5-3관에서 ‘아세안 파빌리온 2024’를 개최한다. 아세안 파빌리온은 아세안 10개국의 문화관광 자원을 홍보하고, 아세안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한-아세안센터가 주최하는 문화관광 쇼케이스다. 올해 전시에는 아세안의 대표적인 헤리티지 공원과, 10개국 국화를 표현한 미디어 아트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풍부한 생물다양성과 생태관광자원을 선보인다. ‘숲에서 숲으로: 아세안의 녹색 유산’이라는 제목으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는 생물다양성과 공존을 주제로 동남아시아 식물의 생태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의미를 전달한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전 세계 육지 면적의 3%에 불과하지만, 세계 동식물종의 18%가 서식하고 있으며 글로벌 환경단체 컨저베이션 인터내셔널(Conservation International)에서 선정한 생물다양성 핫스팟 36곳 중 4곳과 생물다양성 부국 3개국이 위치해 있다. 생물다양성 핫스팟은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가치가 높지만 현재 극심하게 훼손되었거나 장차 사라질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KASEAS Conference 2024)에 거의 100명이 참석했어요.” 김동엽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장이 제18대 한국동남아학회장으로 연례학술대회 마지막날 단독후보로 출마해 선출되었다. 김 원장은 당선 축하와 함께 소감을 묻는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우선 학술대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부산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거의 100여명이 참석했다. 총 25패널이 참가했다. 총 발표수는 69개이고 한일공동 17개다. 3일내내 참석하고 마지막날 총회에 참석한 이들이 60여명(투표 참가자 55명)이었다. 이는 모두 전제성 17대 회장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다”며 말했다. 예년 1박2일이었던 일정도 3일간 열린 것도 처음이었다. 학술대회 주제는 다양했고, 한-아세안협력사업, 한-아세안 ODA(개발원조), 한-아세안 협력기금 섹션도 눈에 띄었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 김영선 전 인도네시아도 참석했다. 김 원장은 “외교부의 김동배 아세안국장이 ‘한-아세안 정치 경제’ 섹션의 발제 토론을 했다. 국립외교원을 비롯한 KF아세안문화원 정부기관도 관심을 가져주었다. 한-아세안센터는 지난해 김해용 사무총장에 이어 올해도 김재신 사무총장이 점심-저녁을 냈다
“견고한 한-아세안 파트너십을 위해 청년 리더들이 모입니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포용적이고 견고한 한-아세안 파트너십 구축: 디지털화 및 기후변화 협력에 대한 청년 리더십에 귀 기울이다”를 주제로 7월 31일부터 8월 7일까지 서울과 올해 아세안 의장국인 라오스의 비엔티안에서 ‘한-아세안 청년 네트워크 워크숍’을 개최한다. 이 워크숍은 한국과 아세안의 청년들의 교류 활성화 및 상호 이해 제고를 위해 2012년부터 한국과 아세안 회원국에서 주요 글로벌 이슈를 주제로 매년 개최되어 왔다. 이번 워크숍에는 한국과 아세안의 대학(원)생 총 50명이 참가한다. 한국 대학(원)생과 국내에서 유학 중인 아세안 대학(원)생은 공개모집을 통해, 아세안에서 공부하고 있는 아세안 대학(원)생은 주한 아세안 10개국 대사관의 추천을 받아 선발되었다. 7월 31일부터 8월 3일까지 진행되는 한국 프로그램은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SNUAC)와 공동 주최한다. 8월 3일부터 7일까지 진행되는 라오스 프로그램은 라오스 정부기관인 라오스청년연합(LYU)과 협력하여 진행한다. 참가자들은 지속가능성, 기후변화, 디지털화를 비롯하여 한-아세안 관계 등 주요 주제에 대한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