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소장 강희정)는 2025년 7월 4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Global Asia 1960(글로벌 아시아 1960)’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미-소 양 진영으로 세계가 갈라졌던 냉전기 아시아인들이 경험한 ‘시간’과 ‘공간’은 어떤 모습이었고, 누가 이를 만들었는가? 새로 탄생한 아시아의 독립국가들은 급변하는 세계에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축했을까? ‘글로벌 아시아 1960’은 냉전기 아시아인들의 사회와 삶을 연결하여, 지역 간 공통점과 상호연결성을 메타내러티브로 구성하기 위한 본 연구소의 첫 시도다. 동아연구소는 창설 이래 아시아의 정치-역사-경제-문화적 변동과 세계적 위상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시간과 공간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1960년대 아시아’를 주제로 냉전의 경험과 양상, 행위자들과 역학관계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로써 대결과 갈등의 냉전으로만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시아 각 지역이 공유하는 경험의 세계로 냉전의 거대 서사를 제안할 가능성을 열어보고자 한다.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총 5개국 학자 8명이 4개의 주제별 패널로 나누어 발표를 한다. 패널마
냉전 기간 아시아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공통의 서사를 짚어보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린다.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는 오는 7월 4일 금요일, ‘Global Asia 1960(글로벌 아시아 1960)’을 주제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동아연구소는 다년간 급변하는 국제 정세 안에서 아시아의 정치적,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역할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거두어 왔다. 강희정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소장은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냉전 기간 아시아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공통의 서사를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시간과 공간이 교차하는 1960년대 아시아의 거대 서사를 구성한다”고 강조했다. 세션은 10시 30분 강희정 동아연구소 소장의 환영사에 이어 세션 1 ‘근대화되는 국가’에는 김일년(이화여대)의 좌장으로 하재영(청화대)-나타폰 짜이찡(수안사난타랏차팟대학교), 세션2 훈육되는 국민에서는 김영진(성균관대) 좌장으로 정일영(서강대)-매튜 필립스(SOAS 런던대), 세션3은 김종호(서강대) 좌장으로 심두보(성신여대)-탄텡피(싱가포르 중화총상공회), 세션4에는 공간화되는 소수자로 현명호(동북아역사재단) 좌장으로 김민환(한신대)-히사시 시모조(고베대) 가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소장 임지현)와 서강대 동아연구소(소장 강희정), 서강대 디지털역사연구소(소장 정면)가 ‘아시아, 그리고 역사 없는 사람들(Asia and the People without History)’ 공동 국제학술대회를 연다. 6월 8일 서강대학교 다산관 지하 101호에서 9:30~18:30까지 열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접경지역과 변방의 소수민족과 이주민, 그리고 한국에 정착한 중국계 이주민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본다. 공동주최자는 다년간 급변하는 국제정세 안에서 아시아와 그 구성원의 정치적,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역할에 대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내왔다. Asia and the People without History Borderlands of China had been the main battleground where the multiple empires and small kingdoms contended for control over human and natural resources for centuries. When the Western colonial empires with modern cartography a
냉전 이후 아시아의 독재화와 군대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와 정치외교학과 BK21 교육연구팀은 공동으로 11월 27일 11월 27일(오후 4~6시) 서강대 정하상관에서 동남아 석학강좌를 개최한다. Zoom ID는 847 4672 5139다. 이번 석학강좌에서는 아우렐 크루아상(Aurel Crossaint) 독일 하이델베르그 대학교 정치학 교수가 ‘냉전 이후 아시아의 독재화와 군대(Autocratization and the Military in Asia since the Cold War)’를 주제로 강연한다. 아우렐 크루아상(54) 교수는 독일 생으로 하이델베르그 대학의 경제 및 사회과학부 정치학 교수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정치 구조와 정치 과정 비교연구학자다. 대표 저서로는 The Dictator’s Endgames: Coups, Repressions and Military Loyalty Shifts in Anti-Incumbent Mass Protest (Oxford, forthcoming), Routes to Reform: Civil-Military Relations and Democracy in the Third Wave (공저,
역시 시야가 넓었다. 그리고 인사이트가 웅숭깊었다. 지난 10월 20일 김홍구 前 부산외대 총장은 서강대 동아연구소 ‘월간 태국’ 두 번째 초청 강연자로 나섰다. ‘왜 태국인가: 태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들’은 깊이와 울림이 있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는 ZOOM으로 참여한 부산외대 학생들의 소감문 받았다. [편집자 주] 지난 10월 20일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가 주관하는 ‘2023-2024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초청강연회’에서 ‘왜 태국인가: 태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들’을 주제로 부산외국어대학교 김홍구 前 총장님이 강연하셨다. 김홍구 前 총장님은 부산외국어대학교 태국어 학과 교수이자 1세대 동남아 학자다. 학생들의 언어능력뿐만이 아니라 지역적 지식을 키우셨다. 이렇듯 동남아시아학에 특화된 부산외국어대학교는 필자들에게 중요한 목표를 세우는 데 도움을 준 곳이다. 부산외국어대학교 아세안연구원 동남아창의융합(미얀마학과) & 국제개발협력과인 필자 박한솔은 차세대연구자로서 아세안과 한국을 잇는 국제학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필자 조우리는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아세안학부 태국어학과로 지역학 수업을 통해 태국에 대해 관심을 키워왔다. 우리 두 사람은 이 같은 목
“지금 태국 국왕은 어느때보다 강하다. 모든 기준은 왕실 생존이 1순위다.” 김홍구 전 부산외국어대 총장은 내로라하는 태국 전문가다. 그는 태국을 이해하는 핵심 키워드로 ‘국왕’을 꼽았다. 5월 총선 이후 혼란과 ‘3당 합당’ 같은 연립정부 구성과 피타 전진당 대표의 ‘총리 선출 좌절’도 어느때보다 강한 왕권에서 비롯되었다는 것. 10월 20일 서강대학교 다산관 DB에서 서강대 동아연구소의 ‘월간태국’ 두 번째 강연을 했다. 강연자는 김 총장, 주제는 ‘태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들’이었다. 이 강연은 9월 22일 서정인 전 아세안 대사의 “탁신 재등장한 태국, 정권-정치 더 불안해졌다”라는 첫 강연을 배턴터치했다. ‘탁신’에 관전포인트를 둔 서 대사에 비해 ‘왕실’에 초점을 맞췄다. 결은 좀 달랐지만 결론은 비슷했다. 김 총장은 왕권과 쿠데타, 왕실모독제와 ‘MZ세대’, 비례투표 강화 배경과 피타 현상, 태국투자가 부진한 한국기업, 한국 불법노동자 1위 태국, 한국-태국 상호인식 개선 등을 짚었다. “서 대사가 첫 강연에서 ‘노른 자위’를 다뤘다. 그래서 겹치는 부분도 있다. 저는 ‘근본 현상’을 살펴보겠다”며 마이크를 잡은 김 총장. ‘태국전문가’다운 내공을
“국왕이 있어 정권 불안정해도 정치는 안정...탁신 재등장 이후 둘 다 불안해졌다.” 서정인 전 아세안 대사가 22일 서강대 동아연구소 ‘월간태국’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자(사회 현시내, 서강대 동아연구소)로 나섰다. 주제는 ‘격변의 태국, 태국의 현재와 미래’다. 서 대사는 이근 서울대 교수의 페이스북을 인용해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지점’이라는 제목을 붙였다고 소개했다. 서 대사는 외교부 동남아 과장을 거쳐 일본을 가서 3년간 일본어된 동남아 책들을 섭렵했다. 이후 태국 공사참사관으로 “2010년 2월~5월, 3개월간 반정부시위로 92명의 젊은이들의 죽음을 현장에서 목격했다. 젊은이들의 죽음에도 불구하고 ‘좌절’하는 모습도 봤다”고 회고했다. 외교부 동남아 과장, 심의관, 및 국장 및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까지 20여년 이상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업무를 맡았던 외교관인 그는, 태국을 “아세안 2대 경제대국이자 메콩 주도국이자 중진국 함정에 빠진 나라”로 평가했다. 그가 선정한 태국 ‘격변기’의 세 가지 키워드는 ‘민주화’와 ‘경제발전’과 ‘사회변동’이었다. 민주화의 경우 “국왕을 원수로 하는 민주주의” 구조라는 것이다.
서강대 동아연구소 ‘월간 태국’이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으로 서정인 고려대학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을 공개했다. 서정인 전 주아세안 대사는 외교부 공보과장 및 동남아과장, 남아시아태평양국장, 역임했다. 이후 아세안 대사, 태국 공사참사관에서 최근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까지 20여년 이상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업무를 했다. <한-아세안 외교 30년을 말한다>(2019), <아세안의 시간>(2019) 단행본 공동 편집 및 특별기고를 했으며, 정기 간행물 외교지 기고 및 아시아 경제, 부산일보 고정 칼럼을 비롯해 매경, 한국 등 일간지에 동남아 및 아세안 관련 기고를 했다. 현재 서정인 대사는 고려대 아세안 센터 연구위원, 아세안-동아시아 경제연구소(ERIA) 이사, 아세안안보포럼 전문가 그룹(ARF EEPs) 일원이며 카카오스토리에 아세안 편지를 쓰고 있다. 월간 태국’ 초청강연회 시리즈 첫 번째 강연 일시: 2023년 9월 22일 금요일 오후 4시 강연 제목: 격변의 태국: 태국의 현재와 미래 강연자: 서정인 (고려대학교 아세안 센터 연구위원) 사회: 현시내(서강대 동아연구소) 장소: 서강대학교 다산관 DB
서강대 동아연구소가 ‘한-태국 수교 65주년 초청 강연’ 시리즈를 기획했다. 동아연구소 <월간 태국>은 한국과 태국 간의 관계, 동남아시아와 전 세계 속의 태국의 위치, 그리고 태국이 당면한 문제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태국이라는 나라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획했다. 초청 강연 강사는 서정인 고려대학교 아세안 센터 연구위원(2023년 9월 22일), 김홍구 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10월 20일), 김소연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교수(12월 22일), 채현정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인류학 전공 조교수(2024년 2월 2일)다. 전 주아세안 한국대사인 서정인 연구위원은 ‘격변의 태국: 태국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부산외대 총장을 역임한 김홍구 교수는 태국정치와 불교미술의 자타공인 전문가다. 그는 ‘왜 태국인가? 태국을 이해하는 키워드들’를 짚는다. 김소연 교수는 ‘태국 현지에서 바라본 메콩지역의 지정학적 갈등’, 채현정 조교수는 ‘국경 정책 교역하는 삶: 태국 북부 치앙라이 국경의 다중성과 교역 실천’의 시리즈를 이어간다. 2014년 쿠데타 이후, 그리고 2020년 MZ세대가 주도한 대규모 민주화 운동 이후 태국의 현 정세는 혼란
“아세안 대사 시절 ERIA와의 인연이 다시 이어지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서정인(61) 전 주아세안 대사가 아세안·동아시아경제연구소(ERIA) 이사로 선임됐다. 서 대사는 아세안익스프레스와의 통화에서 “ERIA가 아세안 싱크 탱크로서 아세안 공동체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 나름의 역할을 하려고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대표적인 아세안 전문가 중 하나다. 2015년 주아세안 대사를 지낸 뒤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을 맡았다. 테츠야 와타나베 ERIA 이사장은 6일 “아세안 경제 통합 심화 작업에 서 전 대사와 함께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6년 6월까지다. ERIA 이사회에는 아세안 10개국 외에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뉴질랜드, 호주 등 16개국 인사가 각국 이사로 임명돼 활동한다. 서 전 대사는 권태신 전 OECD 대사 후임으로 한국 이사에 선임됐다. ERIA는 2007년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공식 출범한 아세안 싱크탱크다. 본부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다. 아세안의 농업, 산업, 에너지, 보건 문제를 연구해 아세안 사무국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다. 2015년 유럽연합(EU) 수준의 경제통합을 목
<키워드 동남아>(2022년)를 단숨에 읽었다. 또 서평을 위해 자투리 시간에 몇 번 더 읽었다. 30개의 주제로 읽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문화, 정치다. 각 분야별 주제들을 딱딱하지 않고 쉽게 풀어 썼다. 일간지 연재 글이라서 그런지 글이 임팩트도 있다.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동남아를 제일 잘 표현한다는 '다양성 속 통일(unity in diversity)'이라는 말이 떠올랐다. 동남아시아 역사, 문화, 정치의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면서도 그 지역적 정체성이 잘 드러나 이 지역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했다. ■ 신윤환 교수의 서강대 후배 동료-제자 의기투합...동남아 문화 길라잡이 톡톡 요새 국내에서 저출산-고령화 대책의 일환으로 동남아 도우미를 활용하자는 방안이 공론화되고 있는 시점에 동남아 문화를 이해하는 길라잡이 역할도 할 수 있겠다. 신윤환 서강대 명예교수의 <동남아 문화 산책: 신윤환의 동남아 깊게 일기>(2008) 이후에 읽을만한 동남아 관련 교양서다. 신윤환 교수의 서강대 후배 동료들과 제자가 의기투합해 쓴 책이다. 선배와 후배의 책을 같이 읽어보면 더 재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양쪽을 모두 아는 나야 이렇게 재미 삼아 비교
서강대 동아연구소가 태국 치앙마이 대학교 사회과학대(Faculty of Social Science)와 MOU를 맺었다. 출발은 지난 겨울 동아연구소의 강희정 소장과 현시내 연구교수가 관계자들을 만난 시점이다. 이후 지속적으로 연락을 이어왔다. 두 대학교는 학자 및 학생 교류, 공동 연구 프로젝트 운영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부분이 충분하다는 부분에 동의하고 양해각서에 6월 14일 맺은 MOU를 맺었다. 치앙마이 대학은 1964년 수도 방콕 이외의 지방에 설치된 태국 최초의 국립대학교이다. 태국 북부 최대의 대학으로 국제적인 수준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국제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의 파트너를 물색하던 와중에 동아연구소가 사회과학대학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서강대 동아연구소는 1981년 설립되었다. 2019년에는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한-아세안 상생과 번영을 위한 사회·문화 지식 기반 구축” 과제를 수행 중이다. 지난 5월 캄보디아 크메르학 센터와의 MOU, 태국 탐마삿 대학 사회행정학부와의 교류 등 메콩지역 연구 및 교육기관과의 교류 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