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14일 ‘스텔라이브’와 ‘브레이브그룹’이 업무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버츄얼 유투버 그룹 ‘스텔라이브’가 소속된 동명의 기업 ‘스텔라이브’(Stellive)와 일본의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 브레이브그룹(Brave Group)이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글로벌적인 협력에 나선다. 브레이브그룹은 자사 스튜디오를 활용해 스텔라이브의 3D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 한국과 일본, 양국을 포함해 글로벌 사업 제휴에도 협력해 나간다. 첫 협력 사업으로 오는 5월 21일 ‘아야츠노 유니’의 유튜브 채널에서 진행되는 생일 기념 3D 콘서트를 브레이브그룹에서 지원 사격에 나선다. 브레이브그룹은 버튜버를 중심으로 음악, IP사업, 애니메이션 등의 라이선스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이다. e스포츠, XR 사업 등 여러 엔터테인먼트 영역에 걸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스텔라이브는 한국의 버튜버 프로덕션으로 유명 스트리머 강지(본명 정도현)가 대표를 맡고 있다. 소속 버튜버는 6명으로 치지직을 중심으로 인터넷 방송 및 음악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해 나가고 있다. 스텔라이브의 정도현 대표는 “이번 협업은 한국 버튜버 시장을 성장시켜 글로벌 팬 분들과 보다 긴밀하게 커뮤니케이션할
지난 2월 15일 인터넷 방송인 ‘마뫄’가 네이버 이모티콘 ‘마뫄티콘’을 네이버 OGQ 마켓에 출시했다. 지난 2022년 6월 카카오에서 이모티콘 ‘뫄마 아니고 마뫄’을 출시한지 2년 만이다. 이로써 마뫄는 카카오(Kakao)와 네이버(Naver)의 양대 포털 사이트에 이모티콘을 출시한 스트리머가 됐다. ‘마뫄’는 대한민국 최초 MCN(Multi Channel Network)인 ‘샌드박스 네트워크’ 에 소속되어 있으며, 스트리머 이춘향을 중심으로 탬탬버린, 삐부와 함께하는 LOL 예능 콘텐츠 ‘힐링캠프’등을 진행하는 종합게임 스트리머다. 인터넷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머, BJ, 유투버 중 카카오톡에 이모티콘을 출시한 대표적인 인물은 우왁굳 및 왁타버스, 김블루, 강지를 비롯한 스텔라이브, 김재원 등이 있다 스트리머 마뫄는 지난 2023년 12월 트위치(Twitch)의 한국 철수 이후 주력 방송 플랫폼을 네이버가 신규 런칭한 ‘치지직’으로 변경하기로 발표했다.
지난 1월 24일 IT매체 테크크런치는 온라인 방송 플랫폼 트위치(Twitch)가 ‘파트너 플러스 프로그램(Partner Plus Program)’을 업데이트하면서 수익 분배 정책을 변경헀다고 보도했다. 오는 5월부터 시작되는 ‘플러스 프로그램’(Plus Program)을 통해 트위치는 파트너를 대상으로 기존 파트너 플러스 프로그램의 70대 30 수익 분배에서 60대 40 수익 배분을 추진한다. 트위치는 기존의 상한선이 스트리머의 수입과 성장 기회를 제한하고, 인센티브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했다고 인정했다. 이에 이번 업데이트는 새로운 60대 40 수익 배분의 자격 기준을 낮출 뿐만 아니라, 중간 등급을 신설해 스트리머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명확한 길을 제시한다는 설명이다. 트위치 관계자는 "우리는 스트리머가 더 높은 수익 분배를 받는 것이 최우선 과제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파트너 플러스 프로그램을 초기 형태로 출시했다."고 전했다. 이어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려면 정말 큰 규모의 스트리머가 돼야 했는데, 이번 업데이트로 인해 큰 변화가 생겼다.”고 덧붙였다.
유희왕(Yu-Gi-Oh)가 세상에 나온지도 25주년이 넘었다. 2022년 1월에 출시한 카드 배틀물인 유희왕 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은 OCG, TCG와는 또 다른 마스터 룰(Master Rule)의 유희왕을 즐길 수 있게 해주었다. 하지만, 오래된 역사만큼 유희왕은 다양한 소환과 덱 종류가 존재하고, 이는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마스터 듀얼이 처음 출시 했을 때 게임을 찾는 스트리머들 중 많은 이들이 마스터 듀얼을 떠난 이유기도 하다. 그런 스트리머들을 위해 적극적으로 ‘듀얼 교육’을 해주는 스트리머가 있다. 유희왕GX에서 참스승의 표본인 ‘크로노스 데 메디치’처럼 시청자들과 스트리머들의 덱을 봐주거나 듀얼하는 법을 알려주기도 한다. 그야말로 듀얼리스트들의 선생, 프로페서다. 오늘 만나볼 사람은 인터넷 방송인 ‘칠신’이다. Q. 본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트위치에서 유희왕 마스터 듀얼의 전문 중계 및 해설로 활동하고 있는 칠신이라고 합니다. Q. 칠신(나나카미)이란 닉네임은 어떻게 정하게 된 건가요? 제가 7이라는 숫자를 좋아해서 자연스럽게 관련된걸로 만들려다가 신을 붙여서 만들었습니다. Q. 유희왕에서 스트리머
인터넷 방송인 소원아와 월킹이 오는 5월 11일 목요일 오후 9시부터 유희왕 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을 통해 이벤트 매치를 겨룬다. 이번 이벤트 매치는 양자가 각각 매치에 겨룰 덱을 선정하고 매치별로 선정한 덱을 한번씩 사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매치별로 승자에게 상금이 배분되며, 마지막 대전은 좀 더 높은 대전료를 책정해 총 15만 원의 상금이 이번 이벤트 매치에 책정됐다. 소원아와 월킹은 인터넷 방송 플랫폼인 트위치(Twitch)에서 방송을 진행하는 인터넷 방송인이며 주로 유희왕 카드 게임을 주력 콘텐츠로 삼고 있다. 2022년 발매한 마스터 듀얼을 통한 온라인 게임 매치를 보여주고 있지만, 오프라인 카드 대전 역시 콘텐츠로 삼고 있다. 이번 이벤트 매치의 금제 테마는 상대의 덱을 제외하는 ‘루닉’과 턴의 구분 없이 융합을 통해 몬스터를 특수수환하는 ‘티아라멘츠’가 선정됐다.
인터넷 방송인 ‘미스터리박스’가 이벤트 대회를 개최한다. 트위치(Twitch) 스티리머(Steamer) 겸 유튜버(Youtuber) ‘미스터리박스(Mr.Lee’s BOX)’가 시청자 참여 이벤트를 연다. 시청자 참여 이벤트로는 5회차이며, 기존의 미버거 대회에서 보다 풍족한 ‘미치킨’ 대회로 준비됐다. 대회는 코나미(KONAMI)의 유희왕: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에서 개최된다. 시청자들을 룰렛으로 선별해 미스터리박스와 듀얼을 한 뒤 미스터리박스에게 승리하면 맘스터치의 후라이드 치킨을, 패배하면 싸이버거 세트를 선물받게 된다. 생방송에서 전체 시청자와 트위치 구독자를 번갈아 추첨해 대전자를 선별한다. 참여 룰로 금제와 방송인의 덱도 정해져 있다. 이벤트전에서 금지된 테마군과 카드는 ▲스프라이트 ▲루닉 ▲이시즈 ▲티아라멘츠 다. 제한 룰로는 우선 완전 내성 카드의 공격 표시를 두는 것이 있다. 발금령을 발동한 No.86 론고미언트나 No.59 백 더 쿡의 경우 공격표시로 둬서 공격력으로 최소한 파괴할 수단을 두도록 해야 한다. 또한, 방송을 통해 패를 확인한 후 마인드 크래쉬나 금지령을 사용하는 치팅 행위 역시 금지된다. 미스터리박스가
인터넷 방송인 니아땅이 온라인 유희왕 대회를 준비한다. 트위치(Twitch) 스티리머(Steamer) 겸 유투버(Youtuber) 니아땅이 니아땅 유튜브 구독자 1,000명을 기념해 유희왕 마스터듀얼 대회를 준비한다. 코나미(KONAMI)의 유희왕: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al)은 지난 2022년 1월 27일 처음 출시된 온라인 카드 게임이다. 대회 신청은 니아땅 공식 팬카페에서 받으며 2월 8일까지 받는다. 대회는 2월 11일 토요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대회 금제도 준비되어 있다. 우선 루닉 테마들이 금지이며, 데스피아와 낙인 테마가 금지됐다. 또한, 후완다리즈 테마가 금지되어 있다. 그 외에 자세한 사항은 공지사항을 참조하면 된다.
카드(Card)를 주요 소재로 한 배틀물은 트레이딩 카드 게임(TCG)용 카드를 팔기 위해 카드로 초현실적 배틀을 벌이며, 그 규칙을 작중의 등장인물들을 통해 세세히 설명한다. 1990년대 이후 매직 더 게더링(Magic: the gathering) 이 장르의 시초로 통하지만, 카드배틀물을 유행시킨 건 유희왕(Yu-Gi-Oh)으로 볼 수 있다. 2016년 11월 출시한 유희왕 듀얼링크스(Yu-Gi-Oh! Duel Links)와 2022년 1월 출시한 유희왕 마스터 듀얼(Yu-Gi-Oh! Master Duel)은 카드배틀물인 유희왕을 게임으로 즐길 수 있게 해주었다. 오늘 만날 사람은 유희왕 게임을 주 콘텐츠로 삼는 듀얼리스트(Dualist)이자 인터넷 방송인 미스터리박스다. Q. 본인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트위치에서 방송하고 있는 버츄얼 방송인 미스터리박스라고 합니다! Q. 미스터리박스란 닉네임은 어떻게 정하게 된 건가요? 사실 별 뜻 없었습니다. 그냥 머리속에서 생각난 단어가 미스터리박스 였는데, 어감도 괜찮다 싶어서 그냥 이걸로 하자! 라고 생각했습니다. 뭐, 뜻을 붙히자면 상자 안에는 무엇이 있을지 언제나 궁금하잖아요? 그래서, 매일매일 오
트위치(Twitch)에서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는 스트리머(Streamer) 나나양이 손글씨 폰트를 출시했다. 폰트는 손글씨를 폰트로 만들어주는 온글잎(Ownglyph)에서 배포된다. 인터넷 방송 플랫폼 트위치의 파트너 스트리머인 나나양은 2016년부터 첫 방송을 시작한 한국계 캐나다인이다. 현재는 인터넷 방송인인 지누(J1nu)가 설립한 픽셀 네트워크(대표 김진혁)에 소속되어 있다. 나나양 손글씨 폰트를 출시하면서 나나양은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 폰트를 무료이며, 용도 제한 없이 모든 곳에 사용이 가능하다고 공지했다.
인터넷방송(Internet Broadcasting)이 유투브(Youtube)와 트위치(Twitch)를 통해 이제 새로운 파급력을 가진 매체로 자리매김 했다. 인터넷 방송의 콘텐츠도 게임, 토크, 요리, 노래, 먹방 등 다양해졌고, 이에 방송인을 직업으로 삼고 전문 방송인이 장래희망으로 삼는 시대가 됐다. 오늘 만나볼 인터넷 방송인 ‘채리리(Chaeriri)’는 전업 인터넷 방송인들 사이에서 ‘취미 인터넷 방송인’이자 스트리머(Streamer)면서 유투버(Youtuber)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Q. 채리리님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채리리: 안녕하세요, 취미로 게임 방송을 하고 있는 채리리라고 합니다. 유명하지는 않아서 절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겠지만, 잘 부탁드립니다! Q. 채리리라는 닉네임의 뜻과 정하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채리리: 닉네임 뜻은 아무 의미 없어요. 닉네임은 제 본명인 이채은과 비슷한 햄인 ‘리챔’을 하려고 했는데, 상품명은 나중에 바꿔야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리’를 넣은 채리리로 했습니다! 채리, 채리리, 채리리리 중에서는 채리리가 제일 낫더라고요. 닉네임을 정할 당시에 뭔가 ‘리’라는 글자를 넣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Q.
지난 5일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해외금융계좌에서 들어오는 소득에 대한 세무신고의 적정성을 담보하고 과세신고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입금액 합이 5억 원을 초과하는 자에 대한 신고의무를 두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는 해외 방송 플랫폼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유튜버와 스트리머 등 인터넷 방송인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터넷 방송인들은 수익을 자진 신고하게 되어있다. 고소득 유튜버가 상당수 있지만 그동안 유튜버는 기타 자영업자로 분류돼 정확한 수입을 파악할 수 없었다. 국세청이 과세코드를 신설했지만, 여전히 개인 유튜버들이 자진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세 당국이 수익을 파악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이 때문에 유튜버 등에 대한 과세신고의 투명성을 제고해야 하다는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양 의원은 현행법상 '연도의 매월 말일 중 어느 하루'의 보유 계좌잔액이 대통령령(5억원)으로 정한 금액을 초과하는 자로 명시된 신고조항을 '당해연도 입금액' 합이 5억원을 초과하는자로 구체화해 개정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는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일부개
트위치가 e-스포츠 플랫폼의 클로즈 베타를 공개했다. 트위치는 방송 제작자가 토너먼트를 조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e-스포츠 대회 운영 플랫폼인 ‘Versus by Twtich’의 클로즈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Versus by Twtich’는 e-스포츠 주최자, 선수, 시청자를 고려해 설계한 대회 툴로서 대회 주최자가 빠르고 쉽게 대회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을 통해 선수 및 시청자 커뮤니티와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클로즈 베타 버전은 대학 e-스포츠 리그, 게임 개발자 및 트위치 라이벌즈, 베타 자격을 얻은 스트리머만이 제한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기존 선정된 베타 테스트 인원 이외에도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된 스트리머의 신청이 있을 때 이를 선별적으로 허용할 계획이다. 트위치의 e-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꾸준하게 이어져 왔다. 대표적인 예시로 e-스포츠와 엔터테이먼트를 결합한 트위치 라이벌즈(Twitch Rivals)다. 한국에서는 트위치 라이벌스 레인보우 식스 대회를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