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동남아학회의 연례학술대회와 동남아시아연구한일공동학술대회가 국립부경대 인문사회경영관에서 지난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개최되었다. 올해 대회의 대주제는 분쟁과 분열의 세계질서 속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이 보여주는 연결성과 포용성을 검토해보는 것이었다. 전쟁과 폭력과 극단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 세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사례들을 통해 나름의 대응력과 지혜를 찾아보려는 도전적인 주제를 택했다.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은 한국동남아학회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보실 수 있다. https://www.kaseas.org/seminar 올해 대회는 규모와 구성 면에서 예전과 다른 몇 가지 특이점을 보였다.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하였고, 관계기관의 참여 수준이 격상되었고, 국제교류는 더욱 확장되었다. 대회 주제만이 아니라 대회 구성에서도 연결성과 포용성을 보여준 것이다. 여러 경로로 참가 소감을 전해 들은 아세안익스프레스 박명기 대표가 학술대회의 의미를 이야기해달라 청하였기에, 이에 호응하여 한국의 동남아 학계에 관심을 갖고 성원을 보내주시는 독자들과 지난 학회 소식을 나누고자 한다. ■ 34년 학회 사상 최대 패널 25개-발표문 85편...인도네시아-일본 학자도 참여 '풍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KASEAS Conference 2024)에 거의 100명이 참석했어요.” 김동엽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장이 제18대 한국동남아학회장으로 연례학술대회 마지막날 단독후보로 출마해 선출되었다. 김 원장은 당선 축하와 함께 소감을 묻는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우선 학술대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부산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거의 100여명이 참석했다. 총 25패널이 참가했다. 총 발표수는 69개이고 한일공동 17개다. 3일내내 참석하고 마지막날 총회에 참석한 이들이 60여명(투표 참가자 55명)이었다. 이는 모두 전제성 17대 회장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다”며 말했다. 예년 1박2일이었던 일정도 3일간 열린 것도 처음이었다. 학술대회 주제는 다양했고, 한-아세안협력사업, 한-아세안 ODA(개발원조), 한-아세안 협력기금 섹션도 눈에 띄었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 김영선 전 인도네시아도 참석했다. 김 원장은 “외교부의 김동배 아세안국장이 ‘한-아세안 정치 경제’ 섹션의 발제 토론을 했다. 국립외교원을 비롯한 KF아세안문화원 정부기관도 관심을 가져주었다. 한-아세안센터는 지난해 김해용 사무총장에 이어 올해도 김재신 사무총장이 점심-저녁을 냈다
“코로나19 불구, 설명회가 중단없이 이어져서 기쁘다.” 전동연의 소장이자 한국동남학회 회장인 전북대 정치외교학과 전제성 교수가 제6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의 성공 주최와 설명회의 유튜브의 공개를 하면서 소감을 밝혔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해 처음에는 온라인으로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오히려 이 때문에 전국 각지의 청중 참여가 가능해진 것 같다. 지금까지 설명회가 중단 없이 이어져서 기쁘고, 앞으로도 계속 개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북대 동남아연구소(이하 전동연)가 한국동남아학회, 서강대 동아연구소와 공동으로 지난 2월 1~2일 이틀간 개최한 제6회 동남아지역동향설명회를 유튜브에 공개한다. 전동연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동남아 각국의 동향을 강의 동영상으로 유튜브에 게시했다. 이후 2021년부터는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 설명회를 개최한 뒤 녹화본을 별도 편집하여 유튜브를 통해 공개해왔다. 유튜브로 공개된 설명회는 동남아 지역에 대한 정보를 확산하고 대중의 이해를 높이는 데 적잖이 기여했다. 이 같은 유튜브 공개는 전동연의 중요한 연례 학술 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의 설명회도 한국에서 동남아 위상이 올라간 만큼 관심도 크게
“한국동남아학회(KASEAS)와 한국태국학회(KATS)가 새롭게 협력을 시작한다.” 전제성 한국동남학회 회장(전북대 정치외교학과)이 올해 12월 21일 한국외국어대(HUFS)를 찾았다. 한국태국학회와 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를 책임지고 있는 신근혜 학장을 만나기 위해서였다. 전 회장은 “20년만에 한국외국어대를 찾았다. 신근혜 학장이 따뜻해 맞아주었다. 그 자리에서 한국동남아학회와 한국태국학회의 협력, 전북대와 한국외대의 동남아연구소 교류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는 서로 소식 공유, 학술회의 공동개최, 외교정책 리뷰, 지역연구지원정책 제안, 한-아세안학술교류사업, 학문후속세대 육성 등 함께 할 수 있는 일이 다양하게 논의되었다. 전 교수는 “아시아언어문화대학장실에서 인근 식당과 카페로 옮겨가며 지난 사연들도 나누고 서로 바라는 바도 이야기했다. 그리고 과거를 딛고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가기로 다짐했다”고 전했다. 이어 “전국의 대학에서 동남아연구소라는 이름의 연구소가 있는 곳은 한국외대와 전북대(JISEAS) 뿐이라서 동질감을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눈여겨볼 것은 “한국동남아학회-한국베트남학회-한국태국학회 삼각협력의 새시대가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는 뭔가?”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는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인도네시아 현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소개하는 방대한 출판물인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를 지난 9월 8일 출간한 바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는 후속 행사로서 12월 14일 부산외국어대학교 금샘소극장에서 70여명의 한국 및 인도네시아 주요 인사들을 초빙해 ‘조코위가 꿈꾸는 인도네시아’ 북콘서트를 개최했다. 본 행사에는 장순흥 부산외국어대학교 총장, 간디 술리스티얀토(Gandi Sulistiyanto) 전 주한 인도네시아대사, 조태영 전 주인도네시아 대사, 젤다 울란 카르티카(Zelda Wulan Kartika) 부대사, 고곳 수하르워토(Gogot Suharwoto) 교육관,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장이 참석했다. 또한 박정훈 부산대학교 교수, 김예겸 부산외국어대학교 인도네시아협력원장 등이 참석해 조코 위도도 대통령에 관한 열띤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 간디 술리스티얀토 전 주한 인도네시아대사는 “일상적으로 인도네시아 국민들은 조코 위도도 대통령을 친근하게 조코위(Jokowi)라고도 부른다. 조코위는 인도네시아 역사상 최초의 직선제 민간 대통령이라는 상징적인
한국동남아학회 한국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가 12월 15일 오후 4시 서강대학교 다산관 209B호에서 열린다. 전동연의 2023년 마지막 지역설명회이기도 하다. 한국동남아학회 동남아연구소의 월례발표회는 개인연구자 발표와 더불어 전북대, 서강대, 부산외대, 서울대 소재의 동남아지역 연구소와 결합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되어 왔다. 2023년의 마지막 월례발표회를 전동연이 함께 개최하게 되었다.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인 2024년을 앞두고, 전동연 전제성 소장이 “한국동남아연구소 설립 20주년: 우리는 무엇을 기념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발표했다. 전 소장은 설립 20주년 기념식 관련 논의를 주도하고, 전동연의 김현경 객원연구원이 토론으로 참여한다. 이번 지역설명회-월례발표회는 온오프라인 동시에 진행되며, 온라인 참석의 경우 행사 당일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줌 회의에 접속하실 수 있다.
전북대 인문사회관서 열린 25일 동남아학회학술대회(8월 25~26일) 전체회의에서는 박사명(강원대) 교수 사회로 ‘한국과 인도네시아 연대구상: 새로운 동반자 관계를 위하여’가 다뤄졌다. 올해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이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ASEAN) 내 한국과 유일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전체회의에서는 지난 6월 26일 서울 신라호텔 영빈관 루비홀서 외교부와 주한인도네시아 대사관, 한국동남아학회가 주최한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기념 포럼’ 내용을 중심으로 리뷰이자 토론이 이어졌다. 구보경(부산외대 연구원), 김형종(연세대), 고영경(고려대), 정정훈(서강대 동아연구소)이 패널리스트로 참여했다. 송승원(한국외대), 김이재(인천교대), 김지훈(인하대) 등도 토론에 뛰어들었다. ■ 구보경 “한국-인도네시아, 문화-안보-인적교류 확대...시장경제와 민주주의 공유” 구보경 연구원은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11월 11일 발표했다. 이전 정부 신남방정책의 성과를 기반으로 국방, 해양, 보건 등 8대 중점과제로 구체화되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 가운데 2017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했고, 올해
“묵묵히 지역학 연구를 하는 동남아학회 회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뉴질랜드와 미얀마 대사를 역임한 외교관 출신이다. 특히 아세안과의 인연은 2011년 미얀마가 개방되는 시기에 부임했다. 사무총장으로 ‘2023 동남아학회학술대회’를 한-아세안센터가 후원하는 것도 ‘한국-아세안 협력과 연대’라는 주제에 대한 깊은 공감 때문이다. 그는 “동남아 유학생이 8만명에 육박한다. 이주자도 6만명에 이른다. 한-아세안센터는 한국-아세안 진전하는 관계에 노력중이다. 동남아학회와 협력하는 것도 ‘협력과 연대’에 대한 동감해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이제 고개를 들어 보면 커피숍, 음식점 등에 아세안 문화가 스며들어 있다. 방송에서도 아세안 관광지나 여행 소개가 늘 볼 수 있다. K-POP도 아세안국가가 사랑한다. 한류와 아세안류가 서로 스며들어 있다. 정부도 내년 한-아세안 35년을 맞아 레벨업을 준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그 기반에는 50~60년대 진출한 기업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연구해온 교수와 학자들이 있다. 과거 아세안 국가들이 부유했다. 오죽하면 ‘동남아순회공연을 하고 돌아왔다’는 가수 소개도 있었다. 미
“한국-아세안 연대를 위해 무엇을 할까?” 전제성 한국동남아학회장이 25일 전북대 인문사회관서 개막한 '2023동남아학회학술대회'에서 ‘한국-아세안 연대’에 화두를 던졌다. 전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올해는 새 정부가 한-아세안연구대상(KASI)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한 해다. 이를 계기로 동남아 전문가로서 우리가 꿈을 꾸는 한국과 동남아의 연대란 어떠해야 하는지 이야기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의 대주제는 ‘한국-아세안 연대’다. 그는 “기본적으로 한국과 아세안 연대는 옳고 환영할 만하다. 지난 정권의 신남방정책이 그랬듯이 저희가 그동안 주장했던 것이었다. 이번 대회에서 진솔한 토론이 이어지고 외교정책에 반영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마침 올해는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수교 50주년을 맞이했다. 그래서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계를 사례로 한-아세안연구대상을 비평을 해보겠다. 인도네시아서 신청하고 자비로 참석한 이들에게도 환영한다”며 인도네시아 말로 환영하는 말을 보탰다. 그는 “이들이 있어 이번 학술대회는 나름대로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로 커지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국의 동남아연구를 이끄는 주요 대학 연
“한국과 동남아, 협력과 연대 가속페달을 밟겠습니다.”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가 8월 25일(금)과 26일(토) 이틀간 전북대 인문사회관에서 열린다. 올해는 새 정부가 ‘한-아세안연대구상(KASI)’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 시작한 해다. 이를 계기로 동남아 전문가로서 꿈꾸는 한국과 동남아의 연대란 어떠해야 하는지를 이야기를 자리를 마련했다. 특히 올해는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수교 50주년을 맞이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관계를 사례로 한-아세안연대구상을 비평도 계획중이다. 인도네시아에서 참여를 신청한 학자도 있어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학술대회로 커졌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의 동남아연구를 이끄는 주요 대학 연구소들이 함께 연대했다. 전국 대회를 구성했다. 패널들도 알프레드 왈라스에서 난민문제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채롭다. 전통적으로 이어지는 신진학자 패널과 대학원생 패널도 준비했다. 한아세안센터와 여러 대학 연구소들이 행사 비용을 분담해 학술대회가 수월하게 진행된 점도 긍정적이다. 전북대는 2008년 봄에 어어 15년 만에 한국동남아학회를 다시 유치했다. 개회식은 25일 오후 1시에 열린다. 양오봉 전북대학교 총장이 환영사,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
한국동남아학회가 15개 연구분과위원장의 위촉을 마쳤다. 전제성 제 17대 한국동남학회장은 “제가 공약했던 국가별, 주제별 연구분과위원회 결성을 위한 첫 과정으로 위원장 위촉이 완료되었다”고 말했다. 제17대 한국동남아학회장으로 선출된 전제성 회장은 세 가지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가장 먼저 꼽은 것이 국가별-주제별 연구위원회를 조직하여 학회의 포괄성과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어 법인 운영체계를 정립하여 조직 통합을 완수와 한-아세안협력기금을 수주하여 한-아세안학술교류사업을 부활하는 것이었다. 연구분과위원장 위촉을 보면 필리핀연구위원장은 김동엽(부산외국어대), 싱가포르연구위원장은 김종호(서강대), 베트남연구위원장은 김용균(서울대)이다. 인도네시아동티모르연구위원장은 김형준(강원대), 말레이시아브루나이연구위원장은 황인원(경상국립대), 태국라오스연구위원장은 채현정(덕성여대), 미얀마캄보디아연구위원장: 김희숙(전북대), 아세안연구위원장: 이재현(아산정책연구원)이다. 또한 동남아이주난민연구위원장은 김지훈(인하대), 동남아경제경영연구위원장은 고영경(고려대), 동남아보건복지연구위원장은 백용훈(단국대), 동남아문화유산연구위원장은 정정훈(서강대)이다. 동남아개발협력연구
올해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이다. 인도네시아는 아세안(ASEAN) 내 유일한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동남아국가 중 유일한 G20 회원국이자 아세안의 선도국가다. 2022년 G20 의장국이자 2023년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지역 및 글로벌 현안 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신윤환-전제성-김창범-김경현 강연 시리즈 준비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에서 한-인도네시아 50주년 수교 기념으로 인도네시아 정치외교 강연시리즈를 3월부터 진행한다. 제1회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정치외교 세미나 시리즈 첫 순서로 3월 31일 정하상관 309호서 신윤환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가 ‘한-인도네시아 관계 50년: 숨겨진 이야기들’을 강연한다. 신 교수는 전 서강대 동아연구소장으로 전 한국동남아연구소 이사장, 전 한국동남아학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논문 및 저서로 ‘한국의 동남아연구:반성적 회고’ ‘동남아문화산책:신윤환의 농남아 깊게 읽기’ ‘인도네시아의 정치경제: 수하르또 시대의 국가, 자본, 자본’ 등이 있다. 신윤환 서강대학교 명예교수와 전제성 전북대 교수, 전 주인도네시아 한국 대사로 외교 현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