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칼럼] “동부권 소외론”을 넘어 “전남대통합발전”의 길로
내년 6월 전남도지사 선거를 앞두고, 주철현 의원(여수갑)이 제기한 ‘동부권 소외론’에 신정훈 의원(나주화순)이 “갈라치기 선동”이라며 강하게 반박하면서 지역 정치권을 흔들고 있다. 여수·순천·광양 등 동부권의 오랜 박탈감을 전면에 내세운 주철현 의원의 발언은, 전남 전역이 인구 감소와 산업 구조 변화라는 공통의 위기 상황 속에서 동부권 정서를 자극한 “새로운 지역주의”라는 역풍도 동시에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논란의 본질은 단순히 ‘동부권 소외론’의 타당성에 있지 않다. 이 논쟁은 전남의 균형통합발전을 어떻게 정의하고, 어떤 방식으로 실현할 것인가라는 보다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테이블 위에 올려놓았다. 동부권 정서와 신정훈의 선택 “우리는 늘 뒷전이었다” “도정은 멀어졌고, 산업은 늙어갔다” 순천과 여수, 광양 시민들이 느껴온 정서다. 주철현 의원이 제기한 ‘동부권 소외론’은 바로 그 정서 위에 놓여 있다. 전남 도지사 선거를 앞두고 이 정서는 눈에 보이는 정치적 자산처럼 보였다. 주철현 의원은 9월 전남지사 출마 선언 직후 “24년째 서부권 도지사라서 동부권이 많이 침해되고 있다”고 말했다. 19일엔 "김영록 도지사의 서부권 중심의 정책 제안은 전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