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도의 땅’ 인도네시아에서는 한국인을 ‘오랑꼬레아’라고 부른다. 일제감정기 인도네시아에 첫발을 디딘 최초의 한국인은 독립운동가 장윤원이다. 이후 한인기업으로 진출해 1세대 개척자들, 한국학교를 만들고 인도네시아를 제2의 조국으로 생각하면 일했던 5만여명의 오랑꼬레아. 채인숙 시인과 함께 적도의 오랑꼬레아를 만들어온 과거와 현재, 그리고 더불어 나아갈 미래를 만나는 다큐멘터리가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수교 이전의 역사부터 수교 이후 발전기, 현재의 협력 모습과 앞으로의 나아갈 방향 등을 담았고, 현지에서 살고 있는 한인사회 주역들의 이야기가 포함된 특별 미담 사례 다큐멘터리이다. 채인숙 시인은 "2023년 올해는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국교 수립 50주년을 맞이한 해로 새로운 감회에 젖는다. 한국과 인도네시아, 두 나라에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는 오랑 꼬레아는 어디서 역사가 시작되었고,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찾아가 보겠다"며 인도네시아 한인사 100년사를 집필한 경험을 소개했다. 이어 신성철 데일리 인도네시아 대표와 함께 찾아간 것은 인도네시아에 최초 정착한 독립명명가 장윤원 선생의 발자취였다. 한국기업 인도네시아 개척은 197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한인니문화연구원이 제 81회 열린강좌로 ‘시로 만나는 인도네시아’로 채인숙 시인의 시 낭독회 『여름 가고 여름』’를 열었다.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맞아 인도네시아 한인회의 한인니문화연구원이 기획한 이 행사는 7월 8일 한인회 문화회관 1층에 있는 한인니문화연구원에서 진행되었다. 연구원은 채인숙 시인의 시 낭독회의 사진을 밴드를 통해 공개했다. 채인숙 시인은 23년째 인도네시아 거주하고 있다. 『여름 가고 여름』(민음사, 2023)은 시인이 등단한 지 8년만에 발간한 첫 번째 시집이다. 후덥한 열대의 기후를 온전히 담고 있는 시집에는 4개의 장으로 나뉘어 총 52편의 시가 담겨 있다. 8000일을 한 계절 속에서 살아낸 시인의 흔적이다. 그리움이 스콜처럼 쏟아지는 시들, 인도네시아의 열대 식물과 습기에 빠져든다. 타국에서 느꼈던 외로움을 버틸 수 있게 한 것이 시라는 고백한 시인은 시 낭독회를 통해 인도네시아의 교민들과의 시와 공감하는 시간을 가진 것이다. 시인은 2015년 오장환 신인문학상에 ‘1945, 그리운 바타비아’ 외 5편의 시가 당선되어 문학활동을 시작했다. 라디오와 TV 다큐멘터리 작가로 일하다가 1999년 인도네시아로 이주했다. 현재까지
인도네시아에 거주하고 있는 채인숙 시인이 등단한 지 8년만에 첫 번째 시집을 발간했다. 시집의 제목은 ‘여름 가고 여름’(민음사, 2023)으로 제목에서부터 후덥한 열대의 기후를 온전히 담고 있다. 시 공간도 시인이 사는 인도네시아다. 시인은 페이스북에 “시집이 나왔다. 첫번째 개인 시집이다. 그냥……..후련하다”고 썼다. 하지만 이어지는 문장에는 타국에서 느꼈던 외로움을 버틸 수 있게 한 것이 시라고 고백한다. “스무살부터 지금까지 순정을 잃지 않고 해 온 유일한 일은 시를 쓰는 것이다. 나를 붙들고 점령해 온 유일한 것. 시를 쓰는 내가 있었기에, 모든 소식으로 부터 고립되고 소외되었던 이국의 시간을 나는 짐짓 우아하게 견딜 수 있었다.” 23년간 이국의 땅에서 고립된 시를 써왔다는 고백이다. 그리고 그를 ‘우아하게 견딜 수 있게’한 것은 시에 대한 추억과 열망이었다는 것. 시집 첫 시의 ‘디엥고원’의 첫 문장은 “열대에 찬 바람이 분다”이다. 속절없이 여름이 반복되는 나라에서 부는 열망의 바람이다. “여름이 오고 여름이 갔다”는 시구처럼 시 안에는 ‘소리를 죽여 혼자 우는 자바의 물소’나 ‘깜보자 꽃송이’, ‘자바의 검은 돌계단’ 같은 인도네시아를 느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