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제2경제대국 태국에서 재태 공공기관 및 한인단체, 언론, 기업 등 민간과 공공부문을 포괄하는 협력 플랫폼 구축 행사인 ‘팀 코리아 네트워크의 날’이 11월 28일, 방콕 칼튼호텔 서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박용민 주태국대사를 비롯해 코트라, 산업인력공단,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외 12곳의 공공기관, 한인단체, 국제기구 근무자, 문화원, 교육원, 한태상공회의소, 세계한인무역협회, 지상사, 현지진출기업, 관련 학계 등의 대표자 70여 명이 참석했다. 한태 양국간 경제교류 심화라는 목표 하에 그간의 활동상황을 공유하고 협업기회 도출을 위한 참석자들의 발표와 토의가 잇따랐다. 박용민 주태국대사는 오프닝 스피치를 통해 “향후 이번 행사를 포함해 다양한 재태 산업경제 관련한 기관 및 단체들의 경제협력 네트워킹 지원을 강화하고, 태국 측 카운터 파트너와의 가교 역할 심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창관 아시아비전포럼 연구위원은 태국이 한국기업의 동남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지로서 갖는 지정학적 위치와 산업경제 인프라 역량에 대해 발표했다. 김용성 코트라 방콕 무역관장은 글로벌 뉴비즈니스를 위한 세계적 트렌드와 한국에서의 사례, 그리고 태국 산업사회의 주요혁신
KOTRA가 ‘로켓스타트 사업’을 통해 글로벌 수출 스타트업 육성에 나선다. 2018년부터 4년째 진행 중인 ‘로켓스타트 사업’은 ‘아마존 글로벌셀링 한국’과 함께 아마존(Amazon)을 통해 297개 수출 스타트업을 배출했고, 아마존 입점 1년 내 기업별 평균 수출액이 1000만 원에 이른다. 20201년에는 총 6회, 매 회당 40개 사를 선정해 총 240개 사를 참가시킬 예정이다. KOTRA(코트라, 사장 권평오)가 ‘아마존 글로벌셀링 한국’과 함께 미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활약하는 국내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로켓스타트 사업’을 실시한다. 참가기업은 아마존의 입점 집중교육과 아마존 매니저와의 일대일 컨설팅을 통해 제품 홍보 마케팅비 일부 지원도 받을 수 있다. KOTRA는 올해부터 스타트업의 의견을 반영해 아마존 입점 실습 교육을 늘렸고, 가상계좌를 만드는 법, 전략적 상품 페이지 구성법, 검색광고 형성법, 아마존 FBA(Fulfillment by Amazon) 활용법 등을 교육받는다. KOTRA 권평오 사장은 “코로나19로 온라인 시장의 급속한 성장이 전 세계적 추세인 만큼 국내 기업의 해외 전자상거래 입점부터 물류·마케팅 지원에 대한 수요가 꾸
전세계가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해 노력함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전기자동차의 동려원인 2차전지 또한 유망 산업분야로 주목받는 가운데, 중국 내 주력 2차전지로는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전지가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2차전지는 전기자동차, 모바일 IoT 기기,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에너지 산업의 핵심 동력원이며, ‘납산축전지’, 니켈-카드뮴 전지(NiCd), 니켈 수소 축전지(NiMH), 리튬 이온 전지(Li-Ion) 등으로 분류된다. KOTRA에 따르면, 중국은 주로 납산전지와 리튬 이온 전지가 2차전지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납산축전지지 생산국이면서, 소비국이며 수출국이다. 특히, 지속적인 기술 도입과 해외 각국의 투자로 중국 납축전지 주요 제품은 글로벌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납산축전지는 높은 안전 신뢰성과 낮은 비용으로 자동차와 산업용 이륜차, 대형 에너지 저장 등 분야에서 광범위게 안정적인 수요가 나오고 있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납축전지 생산량은 세계 비중에서 약 45%로 1위를 기록했으며 뒤이어 미국(32%), 일본(13%) 순으로 생
KOTRA(사장 권평오)가 17일부터 사흘간 베트남 호치민에서 한국 중소·중견기업의 시장진출을 돕고 있다. KOTRA는 베트남 프리미엄 소비재전에 맞춰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한국관을 마련했다. 해외무역관이 우리 기업을 대신해 오프라인 전시회에 참가하는 동시에 비대면 마케팅을 함께 추진하는 등 하이브리드 방식을 도입했다. 현지 바이어들은 우리 기업의 영상·샘플을 활용해 품목을 미리 확인하고 온라인 상담을 신청했다. 전시회 현장에서는 KOTRA가 샘플을 활용해 바이어 문의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기업과 베트남 바이어의 후속·심층 화상상담도 조율 중이다. 특히 KOTRA는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기업이 전시회에 참가하도록 적극 독려했다. 지사화사업 고객 11개사를 비롯해 3개 사회적기업과 2개 수출중단기업이 함께했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베트남 비즈니스 문화를 고려할 때 파트너를 다각적으로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하이브리드 전시·상담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은 모델로 더욱 각광받을 것이다”고 밝혔다.
코트라(사장 권평오)가 태국산업연맹(Federation of Thai Industries, 회장 수판 몽콘수리)과 공동으로 3일 ‘아세안의 디트로이트’라고 불리는 태국에서 한국기업의 현지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링 아시아 2020’ 행사를 개최했다. 자동차, 전기·전자 분야에서의 한-태 글로벌 파트너링 세미나와 1:1 상담회 그리고 참가기업 로드쇼를 병행한 이번 행사는 태국 현지의 타이서밋 등 52개 글로벌 기업과 태국 진출을 희망하는 건화이앤지 외 46개 한국 회사들이 참가한 가운데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포럼 형태로 진행됐다. 태국의 자동차부품협회와 전기차협회 및 유관기업들이 태국의 자동차 및 부품 산업동향과 협력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도시바, 에릭슨, 한솔테크닉스 등 현지 진출 글로벌기업들은 태국의 전기·전자 산업동향 및 협력방안에 대해 설명했다. 한국 소재기업의 사무실과 행사 현장 참가자들을 연결하는 글로벌기업-국내기업 간 1:1 화상상담도 실시됐다. 한국 자동차 부품제조사의 DB 맵핑자료 홍보와 참가 국내기업의 홍보영상 등이 상연되는 로드쇼도 열렸다. 이날 코트라 방콕무역관 김현태 관장은 개회사를 통해 “태국을 중심으로 한 아세안지역 기
KOTRA(사장 권평오)가 우리 기업과 함께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에 나섰다. KOTRA 마닐라무역관은 27일 ‘에스디(SD) 바이오센서’, 주필리핀대한민국대사관과 공동으로 필리핀 보건부에 코로나19 진단키트 1만 세트를 전달했다. 필리핀 외교부 청사 로비에서 개최된 이번 기부식에는 KF94 마스크 60만장, 코로나19 워크스루 진단부스 7개, 얼굴 가림막 1천장도 전달됐다.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는 8만명이 넘으며 사망자도 2000명에 달한다. SD바이오센서가 기부한 분량은 5천 세트로 30만명 이상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번 기부로 K-방역의 우수성을 필리핀 시장에 알리고 국가 이미지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효근 SD바이오센서 대표는 “팬데믹 초기에는 진단업체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신뢰도 높은 현장진단 검사키트를 개발해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에서 물류·통관을 지원한 고상훈 KOTRA 마닐라무역관장은 “한국산 진단키트에 대한 문의를 꾸준히 받고 있다”며 “우리 진단키트 제품을 더욱 홍보해 K-방역 용품이 보다 많이 필리핀에 진출하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들의 비즈니스 환경을 바꿔봅시다.” 주베트남 대한민국대사관(대사 박노완)은 한국 진출기업들의 비즈니스환경 개선과 사업기회 발굴을 위해 코트라, 코참 등과 협업하여 6월 30일 베트남 외교부 미딩청사에서 ‘MEET KOREA 2020’을 개최한다. 한국 기업과 대규모 투자 상담회가 될 행사에는 박노완 주베트남 대사와 베트남 외교부 수석 차관의 축사가 이어진다.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경제·노동 담당과 한인상공인연합회(코참), 코트라(KOTRA), 코이카(KOICA), 한국관광공사, 대한상공회의소 등 관련 기관 지역 대표들이 토론에 참여한다. 베트남 측에서도 외교부는 물론 투자계획부, 문화체육관광부, 교육훈련부, 노동보훈사회부, 산업통상부 관계자와 총리실 경제자문단이 참여할 예정이다. 베트남 63개 모든 지방정부 최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방성에 대한 애로(혹은 건의)를 전달하고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확보하실 수 있는 매우 귀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두 나라 간 민간교류 활성화 방안을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ㅇ 일 시 : 2020년 6월 30일(화) 8:30 ~ 16:00 ㅇ 장 소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 권평오)가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에 78개 스타트업을 선발했다. KOTRA가 운영하는 글로벌점프300은 해외진출에 근접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시행하는 스케일업 및 글로벌 창업 지원사업이다. 2020년 2월부터 참가기업을 모집해 서류 심사와 동영상 심사를 거쳐서 78개 기업을 선발했다. 선정된 기업들은 분야별로 인공지능(AI) 분야 21개, 빅데이터(Bigdata) 분야 9개, 교육‧핀테크 분야 7개, 바이오헬스케어 6개다. 78개 기업 중 57개 사는 이미 5억 원 이상의 투자를 받은 경력이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글로벌점프300은 스타트업의 중점 분야를 수출, 투자유치, 글로벌 창업으로 구분해 진행하고, 해외 진출 로드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일대일 매칭을 통해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한다. KOTRA는 오는 5월 중순부터 글로벌점프 300 2차 기업 모집을 시작한다.
지난해 베트남이 양자 및 다자간 FTA에 적극 참여하는 정책을 펼쳐 역대 최대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서 발표한 '2020 베트남 통상정책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베트남의 수출액은 2642억 달러(약 312조 2315억 6000만 원), 수입액은 2531억 달러(약 299조 1135억 8000만 원)를 달성했으며, 무역수지는 111억1845만 달러(약 13조 1397억 8421만 원) 흑자로, 역대 최대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주요국별 수출금액은 각각 613억 달러(미국), 414억 달러(중국), 204억 달러(일본), 197억 달러(한국)로, 한국은 베트남의 4대 수출국가로 자리매김했다. 2019년 1월 베트남을 포함한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가 정식 발효됐다. 현재 CPTPP 회원국은 총 11개국으로 호주, 브루나이, 캐나다, 칠레, 일본, 말레이시아, 멕시코, 뉴질랜드, 페루, 싱가포르 및 베트남으로 구성돼 있다. 올해는 EU와 FTA를 발효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베트남은 2019년 6월 30일 EU-베트남 FTA를 정식 체결하고 현재 현지 법률과의 합치를 위한 법
대한무역투자공사(KOTRA)에 따르면, 캄보디아 외국인 투자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1994년 투자법(Law on Investment)가 제정된 이후 캄보디아 투자개발위원회(Council of the Development of Cambodia)에 신고된 금액을 기준으로 통계를 기록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캄보디아의 투자법에 따른 누적 투자금액에서 동아시아권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대일로를 표방한 중국이 152억 달러(약 18조 1700억 8000만 원)로 1위, 신남방정책을 펼치는 한국이 46억달러(약 5조 4997억 6000만 원)로 2위를 기록했다. 3위와 4위는 영국과 말레이시아로 각각 27억 8200만 달러(약 3조 3261억 5920만 원)와 27억 1800만 달러(약 3조 2496억 4080만 원)를 기록했고, 일본이 20억 9070만 달러(약 2조 4996억 4092만 원)로 5위를 차지했다. 해외 투자는 승인된 투자 프로젝트(QIP: Qualified Investment Project) 제도가 도입되면서 투자자에 대한 과실송금, 투자기업에 대한 비국유화, 투자기업 제품에 대한 비가격 통제 등
2020년도 베트남은 아세안(ASEAN) 의장국이다. 그리고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1987년 ‘도이머이’(개방) 정책 이후 매년 6~7%대 초고속 성장을 해왔다. 2018년도 기준 베트남 100대 기업 중 현지 민간기업은 39%으로 31%인 베트남 100% 국영기업을 넘어섰다. 이처럼 베트남은 민간부문을 활성화하는데 전력하지만 사회의 부정부패를 개선해 투명성 및 경영환경 개선을 제고도 큰 목표다. 대한무역투자공사(코트라)는 2020년을 맞이하여 심수진 베트남 하노이무역관이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2020년 베트남 주요 이슈에 관한 카드뉴스를 발행했다. ■ 베트남, 경제-사회적 현안을 조율하는 아세안 선도국 격상 베트남은 1987년 도이머이 정책을 실시한 이후로, 다자간의 FTA 체결 등 국제사회에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펼쳐왔다. 최근에는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돼가면서 중국을 대체할 제조기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2020년도 베트남은 아세안(ASEAN) 의장국으로 발탁되었다.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평화유지 활동 센터(AAPTC)의 의장국 수행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명실상부 베트남의
베트남 ICT산업 현장 탐방 일정을 마치고 학생들로부터 소감을 들을 수 있었다. 반응은 대개 비슷했다. 첫째로 베트남 하노이시의 모습은 오토바이가 너무 많다는 것을 빼고는 한국의 도시와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정도로 발전해 있다고 말했다. 둘째로 베트남 ICT 수준이 이렇게 높은 줄 몰랐다. 우리의 기술 수준을 많이 따라 잡은 것 같다는 반응이었다. 셋째로 이 분야에 종사하는 젊은 친구들이 자신감도 높고 영어를 잘 한다는 점에 놀라워했다. 한 학생은 “ICT분야에서 베트남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한국 가면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싶다”고 말했다. 넷째로 “하노이에서 젊은이들을 만나보니 여유가 있고 표정이 밝다. 자기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시할 줄 아는 것이 매우 인상적이었다”는 소감이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번 방문을 통하여 베트남 ICT산업에 대한 이해를 깊게 했다. 앞으로 베트남과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자신이 앞으로 어떤 일을 할 것인지에 대해 적지 않은 성찰과 다짐을 했다. 인솔교수는 “이번 프로그램의 성과에 200% 만족한다”고 기뻐하였고 그 성과에 대해 높은 평가를 해 주었다. “장래 한국의 ICT산업을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