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콜롬비아의 역사를 재해석한 실감형 및 미디어 아트 작품이 전시된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는 기획전 ‘시간을 여는 시간’전(展)을 2025년 1월 24일까지 디지털 공공외교 체험 전시 공간인 KF XR갤러리(서울 중구 소재)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과거 이야기가 현재 혹은 미래에 역사로 기록되고 기억될 때 나타나는 가상성(Virtuality)에 주목해 기획됐다. 전시에서는 ‘과거’, ‘현재’, ‘미래’가 일방향적이고 통시적인 개념이 아닌 공존 가능하고 대화를 통해 교감할 수 있는 대상으로 재해석했다. 또한 한국과 콜롬비아를 중심으로 각국의 역사적 순간과 그에 대한 동시대적 통찰을 실감형 및 미디어아트로 표현한 작품도 소개된다. 콜롬비아-한국계 작가 △갈라 포라스 김(Gala Porras-Kim), 한국작가 △구범석 △김세진 △룸톤(ROOMTONE) △디폴트(DEFAULT) △유상현 △헛 것(HUT-GUT)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상호작용예술 연구개발, 콜롬비아 작가 △세르히오 브롬버그(Sergio Bromberg) △이레네 레마(Irene Lema) 등이 전시에 참여해 증강현실(AR), 가상현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는 ‘KF 한베청년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6월 16~25일까지 10일간 베트남 청년 공무원 30명을 한국에 초청한다. 이번 방한단은 황 꾸억 록(Hoàng Quốc Long) 베트남 내무부 청년국장을 비롯해 내무부 청년국, 국제협력국 등 내무부 소속 청년 공무원 및 푸 이엔성, 디엔 비엔성 등 각 지방성 소속 청년 공무원 총 30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청년, 신생기업, 지능형도시, 농업, 환경, 교육 등 다양한 주제로 구성된 방한일정에 참여한다. 서울창업허브, 서울광역청년센터, 서울시 농업기술센터 및 농협중앙회 등을 방문해 한국의 청년‧신생기업 지원정책과 농촌 및 지방 농산물 시장의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배운다. 그리고 세종시청과 국토연구원에서 지능형도시와 지역 균형발전 정책 및 시행 현황을 청취할 예정이다. 부산에서는 분리수거 및 재활용 의무화 등 베트남의 환경보호 정책기조를 고려하여 탄소중립지원센터와 부산환경공단 자원순환협력센터 생곡매립장을 방문해 한국의 자원순환 현황에 대해 알아보는 기회를 가진다. 또한 아세안 10개국의 문화를 소개하는 KF아세안문화원도 방문한다. ‘KF 한베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가 운영하는 KF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11월 23일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2014년 12월에 개최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후속 성과사업으로 외교부가 건립한 KF아세안문화원의 아세안 맞춤 교육 프로그램의 전국적 확대와 산림청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과 연계한 한국 국민 대상 아세안에 대한 이해 제고 프로그램 활성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요 협약 내용은 ▲ 아세안 관련 맞춤형 문화 및 교육‧체험 프로그램 운영 ▲ 교육 등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 사용 협조 ▲ 기관 사업 및 운영 프로그램 홍보 등에 대한 상호협력 등으로, 동 협약은 KF아세안문화원 이인혁 원장과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김명종 소장이 서명했다. 이인혁 KF아세안문화원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KF아세안문화원은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에서 운영하는 ‘국립아세안자연휴양림’(경기도 양주 소재)과의 협력 사업을 통해 더 많은 우리 국민들께 아세안 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 거주하는 아세안 국가 출신분들과도 함께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나아가 KF아세안문화원 프로그램
삼성전자를 유치한 베트남 응우옌 안 뚜언(Nguyen Anh Tuan) 박닌성 당서기가 한국을 최초로 방문한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는 11월 8일(수)부터 12일(일)까지응우옌 안 뚜언 박닌성 당서기와 수행 대표단을 ‘KF 한-베 미래지향교류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에 초청한다. 한국 방문하는 인원은 총 18명이다. 박닌성 당서기를 포함하여 타 만 흐엉(Ta Manh Hung) 보건의료부 산하 의약품관리국 부국장, 부 반 충(Vu Van Chung) 기획투자부 해외투자국 부국장, 르 딴 동(Le Thanh Dong) 하띤성 위원회장 등 중앙 정부 및 지방성 주요 인사들도 함께 대표단을 구성하였다. 응우옌 안 뚜언 당서기는 한국 방문이 처음이다. 한국에 머무는 동안 박닌성에 진출해 있는 삼성전자와 올해 10월 박닌성에 공장을 준공한 앰코테크놀로지(Amkor Technology)를 방문한다. 또한 지난해 박닌성을 방문했던 이철우 경북도지사, 올해 베트남 북부 5개 지방성(박닌성, 타이빙성, 타잉화성, 하이즈엉성, 흥옌성)과 도시 개발 협력을 하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의 이한준 사장을 예방한다. 베트남 박닌성에는 삼
“2023년 마지막 요리교실 11월 테마는 필리핀, 미얀마, 베트남 요리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지난 9월 1일(금)부터 시작해 진행 중인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의 마지막 11월 프로그램을 11월 3일(금)부터 18일(토)까지 매주 금, 토요일에 운영할 예정이다.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요리를 체험해 보는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은 ‘아세안 여행 시 현지에서 꼭 먹어 보아야 하는 음식’을 테마로 진행하고 있다. 매주 테마 국가가 하나씩 있는데, 11월에는 필리핀, 미얀마, 베트남 등 총 3개 아세안 회원국 음식을 선보일 예정이다. 올해의 마지막 ‘아세안 요리교실’은 △ 필리핀(11월 3일(금)-4일(토))의 판싯(볶음면)과 할로할로(빙수), △ 미얀마(11월 10일(금)-11일(토))의 오노 카욱쉐(코코넛 커리 국수)와 까흐늬예낑(미얀마식 떡), △ 베트남(11월 17일(금)-18일(토))의 과일젤리 디저트와 반짱느엉(라이스페이퍼피자) 순으로 진행된다. 반짱느엉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나혼자 산다’를 비롯한 다양한 대중 매체에 등장해 대중의 많은 관심을 받은 바
“불고기, 잡채, 삼색전을 배워 직접 만들어보니 너무 좋아요.”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KF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추석 명절을 앞두고 9월 21일 KF아세안문화원 3층 요리체험실에서 아세안 이주여성을 위한 한식 요리교실을 열었다. 부산광역시 금정구 및 부산진구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아세안 국가 출신 이주민 여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지역 주민 호응과 함께 진행 중인 ‘2023 아세안 요리교실’과 연계한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부산 지역 내 아세안 회원국 출신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무료로 진행한 이번 한식 요리교실에는 베트남, 필리핀, 태국 등에서 온 이주여성들이 참여해 추석을 앞두고 한국 식문화를 이해하고 즐기는 뜻깊은 시간이 되었다. 이들은 한국에서 명절 음식과 잔치 음식으로 자주 등장하는 불고기, 잡채, 삼색전을 배워 직접 만들어 보았다. KF아세안문화원 관계자는 “우리 국민은 아세안 요리를, 한국에 사는 아세안 이주자들은 한국의 명절 음식을 배우면서 한-아세안 쌍방향 문화 교류의 기회가 되고, 서로 더욱 친밀감을 형성할 계기가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 프로그램을
“독자 67만 명을 보유한 여행 유튜버 채코제가 인도네시아서 뜬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아세안문화원은 KF아세안문화원 유튜브 채널을 통해 ‘KF아세안문화원이 알려주는 힙한 아세안!’ 영상 시리즈 시즌2를 9월 15일부터 순차로 선보인다. ‘KF아세안문화원이 알려주는 힙한 아세안!’ 영상 시리즈는 지난해 제작된 시즌1에 이어, 한국 국민을 포함한 유튜브 이용자들의 아세안 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마련되었다. 올해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인도네시아 단독 콘텐츠 ‘도전 인니마블’이 포함되어 있다. 이 영상에서는 인간 부루마블 콘셉트로 인도네시아를 소개하고 있다. 그 밖에 아세안 출신자의 추억이 담긴 아세안의 이색 음식을 소개하는 ‘추억식당’, 현지인 추천 가격대별 ‘찐꿀템’ 기념품을 소개하는 ‘왓츠 인 마이 캐리어? (What’s In My Carrier?)‘까지 총 3편의 영상을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시리즈에는 구독자 67만 명을 보유한 여행 유튜버 채코제(Channel Korean Jay)가 메인 MC로 참여한다.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등 아세안 회원국 여행 콘텐츠 제작 경험이
“인도네시아 여행시 맛보는 나시고랭을 직접 배워봐요”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9월 1일(금)부터 11월 18일(토)까지 매주 금, 토요일에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을 운영한다.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요리를 배우는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은 ‘아세안 여행 시 현지에서 꼭 먹어 보아야 하는 음식’이라는 테마로 진행된다. 매주 1개 테마 국가를 선정해 소개한다. 9월 한 달간은 총 4개 아세안 회원국의 음식을 먼저 선보이게 된다. △ 인도네시아(9월 1~2일)의 나시고랭(볶음밥)과 템페조림(두부조림)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동남아시아식 비건 메뉴다. △ 말레이시아(9월 8~9일)의 나시르막(코코넛밀크밥), 버버차차(과일 디저트)가 2주차에 직접 만들어 볼 음식이다. △ 캄보디아(9월 15~16)의 요리로 현지에서 즐겨 먹는 크메르 커리와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는 차 뜨러꾸언(공심채볶음)을 3주차에 소개한다. △ 싱가포르(9월 22~23일) 요리로는 치킨파인애플볶음밥과 무르타박(밀전병)을 경험해본다. 무르타박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 ‘배틀트립’에서도
“이것이 블랙핑크가 입은 싱가포르 작가 실험적인 현대 패션입니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이 싱가포르의 아시아문명박물관(ACM, Asian Civilisations Museum)과 협력하여 오는 8월 10일(목)부터 10월 29일(일)까지 ‘런웨이 싱가포르 #SGFASHIONNOW’ 전시를 개최하여 싱가포르의 실험적인 현대 패션을 선보인다. 전시회는 블랙핑크-지드래곤 등 K-POP 가수들의 의상을 디자인한 바 있는 더 셀비지스(The Salvages), 2NE1 씨엘(이채린)가 입은 작품도 전시되어 눈길을 끈다. 싱가포르 패션 브랜드 벨프디자인(Baëlf Design), 스톨른(Stolen)과의 아티스트 토크도 마련된다. ■ 아시아문명박물관 시리즈, 부산 아세안문화원 갤러리서 최대 규모 전시 이번 전시는 아시아문명박물관의 ‘#SGFASHIONNOW’ 전시 시리즈의 세 번째 프로젝트로, 같은 이름의 전시가 2021년과 2022년에 싱가포르 현지에서 열린 바 있다. 아시아문명박물관은 싱가포르 국립문화유산위원회(National Heritage Board) 산하의 국립 박물관이다. 아시아
“여기가 발리인가? 인도네시아의 여유로운 ‘농끄롱’ 문화 보고싶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이 오는 6월 3일(토)부터 4일(일)까지 이틀간 부산 소재 아세안문화원에서 ‘2023 아세안 마켓’을 개최한다. ‘아세안 마켓’은 2019년 한-메콩 정상회의의 부대행사로 진행된 ‘2019 메콩바자’에 대한 호응에 힘입어 시작되어 올해로 5회차를 맞이한 국내 아세안 대표 축제다. 올해 ‘아세안 마켓’은 한국과 아세안 10개국의 적극적인 문화교류를 촉진하는 동시에,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응원하고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다. 현장에는 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기념 특별관, 문화체험존, 푸드존, 마켓존, 주한 아세안 대사관 부스 등 풍성한 프로그램 총 43개가 마련되어, 아세안을 보다 가깝고 흥미롭게 이해할 수 있는 축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농끄롱을 들어봤나?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기념 특별 프로그램을 한 자리에 올해는 인도네시아의 ‘농끄롱(Nongkrong) 문화’를 주제로 인도네시아 특별관을 운영한다. 농끄롱이란 소위 ‘칠링(chilling)’한다는
“<또다른 얼굴들: 한국과 아세안의 가면>展 보러오세요”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에서 운영하는 KF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4월 26일(수)부터 27일(목)까지 이틀간 한국 및 아세안 회원국들의 주요 인사를 초청하여 △ <아세안 디지털 문화체험존> 개막식과 △ <또다른 얼굴들: 한국과 아세안의 가면>展 개막식, 그리고 △ <2023 한-아세안 유관기관 공공외교 워크숍>을 개최한다. 행사에는 이종국 KF 교류이사, 간디 술리스티얀토(Gandi Sulistiyanto) 주한인도네시아대사, 다툭 림 주에 진(Datuk Lim Juay Jin) 주한말레이시아대사, 신재현 부산시 국제관계대사, 모하메드 잠주리 아브 가니(Mohd Zamzuri Ab Ghani) 말레이시아 관광문화예술부 차관보, 피티 스리상남(Piti Srisangnam) 아세안재단 이사장, 팅 웨이 진 케니(Ting Wei Jin Kennie) 싱가포르 아시아문명박물관장이 참석한다. 또한 서정인 前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대사, 김지성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 황기식 부산국제교류재단 사무총장, 이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가 운영하는 아세안문화원(ACH)은 6월 3~4일 이틀 간 ‘2023 아세안 마켓’을 연다. 올해 마켓에는 아세안 푸드, 커피, 주스 등 먹거리들이 다채롭게 준비될 예정이다. 쟁쟁한 맛집들이 팝업으로 들어온다는 소식에 벌써부터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시장이 여는 6월 3일 토요일에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저녁 9시까지 야시장을 오픈한다. 지난해 경우 아세안 10개국의 볼거리, 먹거리, 즐길거리를 한 자리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아세안문화원의 시그니처 공예장터 ‘아세안 마켓’이 7월 2,3일 이틀간 열렸다. 아세안 국가 출신 이주민들의 공예품 판매 부스와 소상공인 부스가 인기를 끌었다. 아세안 국가 대사관을 포함, 총 30여개의 부스를 운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