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보고 미국의 반도체 기업들의 진출이 이어지고 있다. 인도 정부의 인센티브 정책에 힘입어 글로벌 기업들의 인도행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지난 7월 30일 CNBC는 미국 반도체 설계 전문 기업(팹리스)인 AMD가 인도 벵갈루루 지역에 향후 5년간 4억 달러(원화 약 5,411억 6,000만 원)을 투자해 반도체 디자인센터를 건립한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지난 6월 28일 ‘세미콘인디아 2023’에 참석한 AMD 마크 페이퍼마스터(Mark Papermaster) CTO가 확인해주었으며 향후 3,0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발언했다. 한편 ‘세미코인디아 2023’에 참석한 인도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는 “인도의 강점은 숙련된 엔지니어가 많다는 점.”이라며 “상당수의 기업들이 인도 시장에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AMD 뿐 아니라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마이크론도 인도에 투자할 계획이다. 어프라이므 머터리얼즈는 지난 6월 벵갈루루에 4억 달러를 투입해 엔지니어링 센터를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론은 구지라이트에 8억 2,500만 달러를 투입해 D램과 낸드 등 반도체 테스트 및 조립 시설
중국의 IT기업 화웨이(Huawei)에 대해 첫 거래 승인 기업이 나왔다. 미국 반도체기업인 인텔(Intel)가 AMD(Adavanced Micro Devices)다. 이들 두 기업은 주력 거래업체인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허가를 승인받았다.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반도체 공급망 제재를 시작한 이후 수출 허가를 받은 첫 사례다. ◆ AMD와 인텔의 거래 승인, 미국 기업 승인 때문? 공급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알려지진 않았다. 지난 9월 15일을 시작으로 미 상무부는 미국 기술이 사용된 반도체를 블랙리스트에 등재된 중국 기업에 공급해야 할 경우 당국의 허가를 받도록 해 사실상의 공급을 차단했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기업은 미국 기업인 인텔이 손꼽혔다. 인텔은 컴퓨터용 CPU 관련 반도체 분야의 글로벌 리딩 기업으로 서버용 CPU의 시장 점유율은 95%에 육박한다. 그 중 40%의 매출이 화웨이에서 발생한다. 화웨이의 2019년 반도체 구매액은 208억 달러(한화 약 24조 4400억 원)로 세계 3위였다. 즉, 미국이 인텔과 AMD에 허가를 내준 것은 미국 기업의 수익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인텔 코리아는 “일부 품목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