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이 에스토니아에 처음 지어지는 소형모듈원전(SMR) 사업에 참여한다. 루마니아와 스웨덴에 이어 삼성물산의 3번째 유럽 SMR 프로젝트다. 지난 4월 2일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4월 1일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에너지 미션 컨퍼런스’에서 에스토니아 민영 원자력발전 기업인 페르미 에네르기아와 현지 SMR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SMR 건설을 위해 현지 에너지・원전 전문가들이 모여 2019년 설립한 회사다. 지난 2024년 2월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에서 동쪽으로 약 100㎞ 떨어진 지역 두 곳을 사업 예정지로 공개했다. 이곳에 비등형(원자로 안의 물을 끓인 증기로 터빈을 돌리는 방식) 경수로를 개량한 300㎿ 규모의 ‘BMRX-300’을 지을 예정이다. BMRX-300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의 합작사인 GE히타치에서 개발한 소형모듈원전(SMR)으로 2035년 상업 운영이 목표다. 삼성물산은 사업 구조 수립과 비용 산정, 부지 평가 등 개념설계부터 기본설계(FEED)에 이르기까지 사업 초기 단계부터 참여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향후 이어질 EPC(설계・조달・시공) 최종 계약에서 유리
미국 원자력 및 에너지 기술 기업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가동될 소형모듈형원자로(SMR) 건설을 공식화했다. 지난 2월 25일 홀텍은 ‘미션 2030’(Mission 2030) 프로그램을 출범시키고, 미시간주 팰리세이즈 원전 부지에 SMR-300을 건설해 2030년 상업운전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SMR-300은 300㎿급 가압경수로(PWR) 방식의 소형 원자로로, 기존 800㎿급 팰리세이즈 원전과 함께 운영될 예정이다. 1971년 가동을 시작한 ‘팰리세이즈 원전’은 경제성 문제로 2022년 5월 폐쇄됐지만 홀텍이 발전소를 인수해 재가동을 추진 중이며, 2024년 1월 미 에너지부(DOE)로부터 15억 2,000만 달러(원화 약 2조 1,800억 원) 규모의 대출 지원을 확보해 운영자금에 투입하고 있다. 홀텍-현대건설의 소형모듈형원자로(SMR) 프로젝트는 현대건설이 2030년까지 10GW 규모의 ‘SMR-300’을 구축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참여하는 프로젝트이며 미시간 ‘팰리세이즈 원전’이 첫 번째 사례가 된다. 홀텍은 원자로 해체와 사용후핵연료 저장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해왔지만, 원자로 건설은 이번이
태국이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을 위해 법 정비에 나선다. 태국의 에너지 규제 당국과 원전 관련 기관이 협력해 연구를 진행해 2030년대 후반 도입을 목표로 SMR 사업에 박차를 가한다. 11월 24일 방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태국 에너지규제위원회(Energy Regulatory Commission, 이하 ERC)는 이달부터 SMR 사업 수행을 위한 법 제반 조사를 시작한다. 현지 원자력평화사무소(Office for Atoms for Peace)와 규제 연구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은 태국 전력청이 주도한다. 태국 정부는 앞서 국가 에너지 계획(2024~2037년)에 SMR을 포함시키고 300㎿ 규모 SMR 2기를 설치하고 2036~2037년 가동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태국이 SMR에 주목하는 이유는 전력 수급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현재 태국은 천연가스를 활용한 전력 생산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그동안 자국 가스전을 통해 수요를 충족해왔으나 매장량이 점차 고갈되면서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하다. 캄보디아와 석유 생산 협력도 난항을 겪으면서 양국은 2024년 연초 영유권 분쟁 중인 타이만에서 석유 자원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