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카카오뱅크,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 출시

4가지 케이스의 답변으로 신뢰도를 판단

 

지난 12월 8일 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 Daniel)는 안전한 금융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I 스미싱 문자 확인’ 서비스는 카카오뱅크 앱에서 의심 가는 문자를 복사・붙여넣기 하면 ▲스미싱 위험이 높은 문자 ▲안전한 문자 ▲단순 스팸 문자 ▲판단이 불가능한 문자 등 4가지 케이스의 답변을 받을 수 있어 해당 문자의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하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 고객이라면 9일부터 모바일 앱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URL이 포함된 휴대폰 문자를 전송하고 앱 설치를 유도해 금융정보 등을 탈취하는 전기통신금융사기 수법 중 하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7월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사이버위협동향’에 따르면 2022년 37,000 건에 불과했던 스미싱 탐지 건수는 2023년 50만 건, 2024년 6월 89만 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카카오뱅크는 신분증 촬영 및 인식, 안면 인증, 무자각 인증 등 금융 인증・보안 솔루션 자체 개발을 통해 기술은행으로서 금융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 왔다.

 

뿐만 아니라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악성 앱 탐지 서비스’, ‘지연이체 서비스’, ‘입금계좌 지정 서비스’ 등 금융사기 피해 예방 서비스도 다각도로 운영해오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업한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는 본인도 모르게 개통된 휴대전화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추가 개통을 차단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카카오뱅크는 ‘명의도용방지 서비스’ 출시 이후 지난 11월까지 누적 이용 건수만 약 120만 건을 넘어서는 등 범죄 피해로부터 고객을 선제적으로 보호했다고 밝혔다.

 

또한 ‘악성 앱 탐지 서비스’는 휴대폰에 악성 앱 설치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 솔루션이다.

 

고객에게 악성 앱 설치 여부를 팝업으로 보여주고 고객이 직접 삭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서비스다.

 

카카오뱅크는 이 외에도 이용자가 설정한 일정시간 이후에 이체를 실행시키는 ‘지연이체 서비스’, 지정한 입금계좌로만 이체할 수 있는 '입금계좌 지정 서비스' 등 금융사기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4년 9월 출시한 ‘여신거래 안심차단 서비스’도 출시 약 두 달 만에 약 25,000여 명의 고객이 이용하고 있다.

 

금융사기 탐지・방지 등 우수한 혁신 기술을 보유한 핀테크 기업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카뱅 관계자는 “스미싱은 불법대출 등 직접적인 금융 사기와 연관이 높은 만큼 실시간으로 검증해 예방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라며 “모바일금융 시대에 이용자들이 안심하고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포토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