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S그룹이 미국 델라웨어주에 스타트업 투자 전문 법인을 설립한다. 세무신고 등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선택이다.
GS그룹은 이미 GS퓨처스, GS벤처스 등 투자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번 신설 법인도 기존 회사들과 역할은 비슷하다.
델라웨어는 기업 입장에서 세법이 유리해 국내외 많은 대기업들이 법인 설립지로 택하는 지역이다.
지난 4월 1일 ㈜GS는 델라웨어주에 스타트업 및 벤처투자 전문 법인 ‘GS인피니티’(GS Infinity)를 설립했다.
GS인피니티는 ㈜GS가 지분율 100%를 보유하는 형태로 설립 초기로 투자 방식과 대상 등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
㈜GS 관계자는 “출자 규모와 현지 담당자는 대외비이며 투자계획은 아직 수립되지 않았다”면서 설립 목적을 “신기술 도입 및 혁신 추구”라고 밝혔다.
GS그룹은 이미 GS퓨처스와 GS벤처스 등을 통해 글로벌 각지에 투자하고 있다.
GS퓨처스는 허태수 GS그룹 회장 취임 직후인 2020년 설립돼 실리콘밸리 등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단행해왔다.
지금까지 투자한 사례만 약 70여건이며 금액은 1억 2,000만 달러(원화 약 1,739억 원)에 이른다.
지난 2022년에는 대기업 지주사 최초로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GS벤처스를 설립했다.
GS벤처스는 Seed ~ Series B 단계에 있는 국내 기업 및 이스라엘・동남아 기술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대표이사는 GS그룹 오너 4세인 허준녕이 맡고 있다.
GS그룹이 이미 글로벌 투자사를 보유했음에도 델라웨어에 별도 법인을 설립한 이유는 세무상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라는 입장이다.
㈜GS 관계자는 “세무신고의 편의성 때문에 별도로 델라웨어에 법인을 만들었다.”며 “다른 그룹들도 이런 방식을 활용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델라웨어주는 미국에서 가장 발전된 세법과 회사법을 가진 주로 유명하다.
2020년 기준 포춘 500대 기업 중 67.8%(339개사)가 법인을 둘 정도로 기업들이 선호하는 지역으로 애플, 아마존, 알파벳 등 세계적인 기업들의 법인이 인구 100만명에 불과한 델라웨어주에 몰려 있다.
8.7%라는 낮은 법인세를 통해 델라웨어는 법인 등록을 주의 산업으로 키워냈다.
다만 회사가 이곳에서 사업을 하지 않으면 법인세를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델라웨어에 등록된 법인은 지주회사 형태이며 법인을 설립한 뒤 다른 지역에서 사업을 한다.
델라웨어는 또 무형자산에도 과세하지 않으며, 법인 설립도 저비용으로 빠르게 가능하다.
대주주 의결권 3% 제한이 없으며 이사회 구성도 자율이기 때문에 1인 이사회가 가능한 셈이다.
또 이사가 내린 경영상 판단에 대해 사후적으로 책임을 묻고 회사에 끼친 손해를 배상하도록 요구하는 조항이 델라웨어주 회사법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