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이 건조한 필리핀 최신예 호위함이 지난 18일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싣고 필리핀으로 출항했다. 현대중공업은 18일 오후 울산 본사에서 필리핀 해군의 2600톤급 최신예 호위함인 ‘호세리잘(Jose Rizal)’함의 인도 출항식을 갖고, 필리핀 수빅항으로 출항시켰다. 호세리잘함은 필리핀 해군의 노후 함정 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발주된 선박으로 4500해리(8300km)이상의 긴 항속거리를 보유해 장기간 원해 경비 업무가 가능하다. 또, 최대 속력 25노트(약 46km/h)로 운항할 수 있으며, 필리핀 해군 최초로 유도탄 및 어뢰를 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함정은 코로나19로 전 세계적으로 인력 및 물자의 이동이 극히 제한되면서 인도 연기가 우려됐으나, 당초 인도 예정시기인 9월보다 4개월이나 일찍 인도됐다. 한국 해군은 이날 출항식에 성남함을 배치해 환송에 나선 것은 물론, ‘덕분에 챌린지’의 일환으로 ‘생큐’(Thank You)를 뜻하는 기류(깃발·기드림)를 게양하는 등 호세리잘함의 안전항해를 기원했다. 특히 현대중공업은 6.25전쟁 참전국인 필리핀에 보은하는 의미에서 마스크 2만개, 방역용 소독제 180통, 손 소독제 2000개, 소독용 티슈
생활 방역이 익숙해지는 요즘, 일상 속 쉼표가 되어주는 여행이 더욱 간절해진다. 코로나가 종식된 후 가장 하고 싶은 일로 대다수가 여행을 꼽는 만큼, 필리핀 관광부는 코로나로 인해 지쳤던 마음을 해소할 만한 필리핀의 즐거운 축제를 소개한다. 코로나 사태가 마무리된 후, 한 해 동안 수 십 개의 다양한 축제들이 열리는 축제의 나라 필리핀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쌓였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은 어떨까? 10월 - 마스카라 페스티벌 Masskara Festival 필리핀에서 열리는 축제 중 가장 즐거운 축제를 꼽는다면, 단연 ‘마스카라 페스티벌’이다. ‘마스카라 페스티벌’은 대중을 가리키는 ‘매스 (mass)’와 스페인어로 얼굴을 뜻하는 ‘카라 (cara)’의 합성어로 필리핀 원주민의 민족 회복성을 기념하는 행사이다. 바콜로드 시의 대표적인 축제인 마스카라 페스티벌은 올해 10월 5일부터 26일까지 3주간 진행될 예정이며 특히 25일은 마스카라 축제의 메인 행사인 스트릿 댄싱 경연대회와 해가 진 뒤, 전구로 장식된 마스크를 착용하고 퍼레이드를 하는 일렉트릭 등 다양한 행사가 준비되어 있다. 11월 - 히간테스 페스티벌 Higantes Festival ‘히
올해 제1호 태풍인 ‘봉퐁’(Vongfong)이 12일 필리핀 인근에서 발생해 북상하고 있다. 13일 기상청에 따르면, 봉퐁은 전날 오후 9시경 필리핀 세부 동쪽 해상에서 발생했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중심기압 992헥토파스칼(hPa), 최대풍속 23m/s의 소형 태풍이다. 올해 제1호 태풍 봉퐁(VONGFONG)은 마카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말벌을 의미한다. 봉퐁은 현재 필리핀 세부 동북동쪽 약 570km 부근 해상에서 4km/h의 느린 속도로 서진 중이다. 15일 오전까지 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북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봉퐁은 필리핀 육상을 지나는 과정에서 세력이 다소 약해질 전망이지만, 18일 오전 9시 타이완 타이베이 동쪽 약 720km 부근 해상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다시 세력을 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제농구연맹(FIBA)은 한국시간 12일 홈페이지를 통해 'FIBA Basketball World Cup 2023'의 날짜가 8월 25일부터 9월 10일로 확정되었다고 발표했다. 2023 FIBA 농구 월드컵은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에서 공동 개최된다. FIBA의 농구 월드컵이 공동 개최되는 것은 사상 처음이다. 조별리그는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에서 나뉘어 열리며 8강과 준결승, 결승 경기는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에서 진행된다. 2013 FIBA 농구월드컵의 예선은 2021년 1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되며, 80개 국가 대표팀이 경쟁을 펼친다. 월드컵 본선 출전국은 32개국이다. FIBA는 2019년 중국 대회부터 농구월드컵 본선 진출국을 24개국에서 32개국으로 확대했다.
필리핀 최대 방송사 ‘ABS-CBN’가 정부의 명령에 따라 5월 5일부터 방송 송출을 중단했다. AFP등의 외신에 따르면 필리핀 정부는 ABS-CBN의 사업권 재심의 앞두고, 25년간 사업허가해왔던 방송에 대해 ‘기한 만료’ 내세워 중단 명령을 했다. 필리핀 통신위원회는 5일 “‘ABS-CBN’의 사업 허가 기간이 4일 만료됐고, 의회에 제출한 방송 사업권 갱신 요청이 아직 통과되지 않았다.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모두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코로나19가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진행 상황 등을 알려왔던 주요 방송사가 송출 중단되면서 필리핀 국민의 재난 관련 정보 접근성도 현저히 떨어지게 됐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마약과의 전쟁’에 비판적인 보도를 한다는 이유 등으로 ABS-CBN에 대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해왔다. 그리고 공공연히 사업권을 연장해주지 않겠다고 말해왔다. 지난해 12월에는 “ABS-CBN의 계약이 끝날 예정이다. 나 같으면 팔아버리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필리핀의 방송 사업권 허가와 갱신 권한은 의회가 갖고 있다. 지난해 5월 중간선거를 거치며 두테르테 대통령의 지지 세력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했다. ABS-CBN은 필리핀 전국에서 70개
해양경찰청(청장 김홍희)은 파푸아뉴기니 인근 해상에서 침몰한 한국선적 원양어선 선원을 전원 구조한 필리핀 선사 ‘트랜스 퍼시픽 저니 피싱 그룹(Trans-Pacific Journey Fishing Group)’에 감사장을 수여한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달 21일 오전 10시 48분께 한성기업의 참치 원양어선 ‘림 디스커버러호(부산선적, 1,016톤, 참치선망, 승선원 24명)’호가 남태평양 파푸아뉴기니 라바울항에서 조업지로 이동 중 암초와 충돌해 침몰했다. 해양경찰청은 사고해역에서 가까운 호주, 파푸아뉴기니의 구조센터(MRCC)에 긴급구조 연락을 취했으며, 이에 연락을 받은 필리핀 선사 ‘트랜스 퍼시픽 저니 피싱 그룹(Trans-Pacific Journey Fishing Group)’이 인근에서 조업 중이던 자사의 원양어선을 현장에 급파하고 현장 구조상황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했다. 사고어선에서 소형작업선으로 탈출해 구조를 기다리던 선원 24명(한국인 9명, 외국인 15명) 모두 현장에 도착한 필리핀 원양어선에 의해 신속히 구조됐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우리 국민이 멀리 외국에서 위험 속에 처해 있어 긴박하고 안타까운 상황에 필리핀 원양어선의 적극적인
"힘든 시기 역시 필리핀의 미소로 어려움을 극복하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필리핀 루손섬의 봉쇄령이 이달 말까지로 연장된 가운데, 필리핀 관광부에서 코로나19 극복 캠페인 영상을 공개했다. 현재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 검사키트 개발 등 다각적 노력들이 진행되는 가운데, 필리핀 정부가 이같은 공통의 대책 외에 고생하는 의료인 등을 격려하고 한국 등 지구촌 이웃들을 위해 필리핀의 미소와 풍경을 전하는 미디어콘텐츠를 배포해 눈길을 끈다. 필리핀 관광부는 바이러스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의료인, 군인, 경찰 등에 감사를 표하고 서로 도와가며 어려움을 극복하자는 취지로, ‘Nothing can take our smile away (어떠한 어려움도 우리의 미소를 앗아갈 수 없다)’는 제목의 영상을 8일 공개했다. ‘힘들수록 웃으며 어려움을 이겨내자’라는 필리핀 정신을 담은 이번 영상은 코로나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필리핀 국민들의 친절함과 따뜻함을 전세계에 알리고 있다. 필리핀 관광부 베르나데트 로물로 푸얏 장관은, “필리핀 국민들의 환한 미소와 친절함은 이미 전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요즘과 같은 힘든 시기 역시 필리핀
"신남방 시장 진출하는 한국 중소-중견기업 지재권을 보호하라." 특허청(청장 박원주)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권평오)는 신남방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 중소·중견기업의 지재권 보호를 위한 각종 지원시책을 내놓았다. 우선 코트라 주관 해외 전시회나 바이어와의 상담회, 사절단(온라인 포함) 등을 통해 해외에 진출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진출 국가 내 유사상표 검색 서비스가 무료로 제공된다. 기업에 현지 상표 확보의 필요성을 알리고 잠재적 분쟁에 대해 선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신청 기업은 국내에서 사용 중인 상표를 해당 국가에서도 사용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받아볼 수 있다. 현지에 유사한 상표가 없어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면, 기업은 각국에 위치한 IP-DESK를 통해 출원까지 빠르게 지원받을 수 있다. 반면, 동일 또는 유사하여 분쟁 가능성이 있는 현지 등록상표가 발견되는 경우, 기업은 상표 변경 출원을 통해 분쟁을 예방하거나 특허청의 분쟁대응 지원사업을 연계 활용하여 대처할 수도 있다. 본 서비스는 신남방 11개국 진출 기업을 대상으로 우선 실시되며, 특허청은 추후 참여 기업의 수요와 의견을 반영하여 이를 확대·보완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