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여행시 맛보는 나시고랭을 직접 배워봐요”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은 9월 1일(금)부터 11월 18일(토)까지 매주 금, 토요일에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을 운영한다. 아세안 10개 회원국의 요리를 배우는 ‘2023 아세안 요리교실’은 ‘아세안 여행 시 현지에서 꼭 먹어 보아야 하는 음식’이라는 테마로 진행된다. 매주 1개 테마 국가를 선정해 소개한다. 9월 한 달간은 총 4개 아세안 회원국의 음식을 먼저 선보이게 된다. △ 인도네시아(9월 1~2일)의 나시고랭(볶음밥)과 템페조림(두부조림)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동남아시아식 비건 메뉴다. △ 말레이시아(9월 8~9일)의 나시르막(코코넛밀크밥), 버버차차(과일 디저트)가 2주차에 직접 만들어 볼 음식이다. △ 캄보디아(9월 15~16)의 요리로 현지에서 즐겨 먹는 크메르 커리와 남녀노소 모두 좋아하는 차 뜨러꾸언(공심채볶음)을 3주차에 소개한다. △ 싱가포르(9월 22~23일) 요리로는 치킨파인애플볶음밥과 무르타박(밀전병)을 경험해본다. 무르타박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미운 우리 새끼’, ‘배틀트립’에서도
“제가 라오스 출신 최초, 몽족으로는 첫 LPGA 우승자입니다.” 메건 캉(Megan Khang, 미국, 25)이 지난 28일(한국시간) 캐나다 밴쿠버의 쇼너시 골프 앤드 컨트리클럽(파72)에서 열린 LPGA 투어 CPKC 여자오픈(총상금 250만 달러) 최종일 연장전에서 우승했다. USA TODAY 28일자 ‘스포츠’면에 따르면 연장전 승부에서 한국의 고진영을 꺾은 메건 캉은 우승상금 37만 5000달러(약 4억 9762만 5000원)와 LPGA투어 생애 첫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그는 “부모님은 8~10살 때 라오스에서 빠져나왔다. 아버지는 자동차 수리점을 한다. 어머니는 유치원 교사를 하고 있다. 나는 몽-아메리칸 1세대”라고 자신을 소개한 후 “우리는 아메리칸 드림 속에 살고 있다. 이번 우승은 우리 가족의 승리”라고 기뻐했다. 메건 캉은 다섯 살에 아버지한테 골프를 배웠다. 열네 살 때 미국 여자프로골프 예선을 통과해 2012년 US 여자오픈에 출전했다. 2016년 데뷔한 메건 캉은 7년 만에, 그리고 191번째 대회에서 첫 우승을 따냈다. ■ 아버지는 라오스 난민, 딸은 최초의 몽족 LPGA투어 선수 메건 캉은 이름 표기가 ‘KHANG’이라서
“동남아시아서는 여전히 권위주의가 대세다. 인도네시아와 태국은?” 전북대 인문사회관서 열린 25일 동남아학회학술대회(8월 25~26일) 고려대 아세안센터 패널에서는 서정인(고려대) 전 주아세안대사 사회로 ‘동남아시아 정치현안’을 발표했다. 신재혁, 한준영(고려대)는 ‘두려움과 권위주의에 대한지지: 인도네시아 실험연구’, 길정아(고려대) 박정훈(서강대)은 ‘이슬람주의와 민주적 지지의 다차원성: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우 길영아는 ‘태국의 세대 정치: 2030 세대의 미래전진당’을 다뤘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2023년 7월 현재 11개국 가운데 4개국인 동티모르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만 민주주의로 분류된다. 나머지 일곱 개국은 민주주의 후퇴로 본다. 직접 선거, 복수 정당, 야당 허용 등이 기준이다. 중산층과 자본가가 성장하면서 경제가 성장하면 민주주의 가능성이 더 커진다는 것이 근대화이론이다. 왜 2022년 1인당 국민총생산(GDP) 4788달러-4164달러 비슷한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은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로 갈릴까? 왜 근대화이론은 동남아에서 적용하기 어려울까? ■ 싱가포르는 경제수준이 높지만 민주주의 국가는 아니다? 왜 신재혁 정치학과
“저희들이 미래의 아세안 전문가들입니다.” 한국동남아학회 ‘2023연례학술대회가 열린 전북대 인문사회관에 반가운 손님이 찾았다. 바로 고려대 아세아센터 아세안센터의 ’CMK 아세안 스쿨 1기‘ 학생들이었다. 8명의 패기가 살아있는 젊은 연구자들은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의 개회식부터 동남아 전문가와 학자들의 학술 발표와 토론 현장을 참관하면서 생생한 경험치를 쌓았다. 이들은 현대차 정몽구재단과 운영 주체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Korea University ASEAN Center, KUAC)의 ‘CMK 아세안 스쿨 1기’였다. 이들은 12일부터 20일까지 9박 10일 일정으로 인도네시아에 있는 아세안 사무국과 주아세안대한민국대표부, 태국에 있는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 등을 방문하며 다양한 강연을 들었다. 그리고 23일 수료를 마친 15명 중 8명이 동남아학회 학술대회를 참관했다. 참관한 학생은 사진 왼쪽 상단끝부터 최수빈(한국외대), 정예진(고려대), 박한솔(부산외대), 박성수(한국외대), 강민주(고려대), 이혜란(한국외대), 구하린(전북대), 백승연(한국외대)이었다.
“묵묵히 지역학 연구를 하는 동남아학회 회원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뉴질랜드와 미얀마 대사를 역임한 외교관 출신이다. 특히 아세안과의 인연은 2011년 미얀마가 개방되는 시기에 부임했다. 사무총장으로 ‘2023 동남아학회학술대회’를 한-아세안센터가 후원하는 것도 ‘한국-아세안 협력과 연대’라는 주제에 대한 깊은 공감 때문이다. 그는 “동남아 유학생이 8만명에 육박한다. 이주자도 6만명에 이른다. 한-아세안센터는 한국-아세안 진전하는 관계에 노력중이다. 동남아학회와 협력하는 것도 ‘협력과 연대’에 대한 동감해서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이제 고개를 들어 보면 커피숍, 음식점 등에 아세안 문화가 스며들어 있다. 방송에서도 아세안 관광지나 여행 소개가 늘 볼 수 있다. K-POP도 아세안국가가 사랑한다. 한류와 아세안류가 서로 스며들어 있다. 정부도 내년 한-아세안 35년을 맞아 레벨업을 준비 중”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그 기반에는 50~60년대 진출한 기업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묵묵히 연구해온 교수와 학자들이 있다. 과거 아세안 국가들이 부유했다. 오죽하면 ‘동남아순회공연을 하고 돌아왔다’는 가수 소개도 있었다. 미
“하노이 외교대 학생들과 번역 콘텐츠 개발·문화 교류 강화하겠다.” 부산외국어대학교(총장 장순흥) 특수외국어사업단은 지난 8월 17일 아세안연구원과 협력하여 베트남 하노이 외교대학교 초청 ‘콘텐츠 번역 및 제작 프로젝트’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베트남 하노이 외교대학교(Diplomatic Academy of Vietnam)는 베트남 외교부 산하의 대학으로 베트남 내 유일한 외교 분야 대학교다. 특수외국어사업단에 따르면 하노이 외교대 학생 12명을 초청하여 8월 13일부터 3박 4일간 부산외대 재학생 5명과 함께 부산외국어대학교에서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번역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베트남 학생들은 ‘베트남 학생이 소개하는 한국’이라는 주제로 영상 콘텐츠로 촬영-제작하고, 한국 학생들이 한국어 자막을 삽입하여 영상물을 완성하였다. 국내외 대학, 연구소 연계를 통한 연구 활성화 차원에서 참여 학생들 및 아세안연구원과 이를 공유하는 발표회도 했다. 영상물은 향후 부산외국어대학교 특수외국어사업단 공식 유튜브(YouTube) 채널에 업로드될 예정이다. 캠프에 참여한 부산외대 베트남어과 2학년 차혜원 학생은 “베트남 학생들의 열정과 적극성을 보았다. 본 프로그램을
스레타 타비신(Srettha Thavisin, 60) 프아타이당(Pheu Thai Party)의 총리 후보가 22일 국회 투표에서 태국의 제 30대 총리로 선출되었다. 네이션지에 따르면 “의회에서 필요한 374표보다 훨씬 높은 482표를 얻었다. 반대표는 165표였고, 81명의 국회의원은 기권했고 19명은 불참했다”고 전했다. 스레타가 총리 투표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것은 152명의 상원의원들로부터 표를 얻은 것이 결정적이었다. 2017년 군부가 개정한 헌법에 따라 상원의원 250명을 군부가 임명했다. 현재 지난 12일 1명이 사임해 249명이 됐다. 반대표를 던진 의원들은 지난 총선에서 제 1당으로 올랐지만 지난 7월 13일 8개당 연합 총리 선출 투표에서 과반을 못해 좌절한 피타 림짜른랏(Pita Limjaroenrat, 42)의 전진당(MFP) 의원들이 대부분이었다. 지난 7월 총리 선출 투표에서는 군부가 지명한 250명(249)의 상원의원 중 13명만이 그에게 투표했다. 피타 총리 선출 좌절의 주요인이었다. 태국 헌법은 총리가 되려면 상-하원 전체 의원 749명의 과반인 375명 이상의 지지가 필요했다. 피타는 실제 지지는 323명에 그쳤다. 이후 전진
“더이상 연기는 없다. 이번에는 확실히 태국으로 돌아가겠다.” 더 네이션 20일자에 따르면 “탁신 친나왓(Thaksin Shinawatra) 전 총리가 19일 BBC와의 인터뷰에서 반드시 태국으로 돌아간다. 더 이상의 연기는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탁신 수상의 막내딸 패통탄 친나왓(Paetongtarn Chinawatra)도 19일 아침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통해 “22일 오전 9시 방콕 돈므앙 공항에서 아버지를 만날 것”이라고 공개한 일정을 재확인했다. 탁신 전 수상은 2008년 8월부터 15년째 해외 망명 중이다. 탁신의 귀국일은 공교롭게 태국 의회가 차기 총리를 선출하는 날과 일치한다. 이에 대해 탁신은 “완 무하마드 누르 마타(Wan Muhamad Noor Matha) 국회의장이 지난주 투표 일정을 잡기 전에 잡힌 귀국 계획이다. 두 사건 사이의 연관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8월 21일은 그의 막내딸인 패통탄의 생일이다. 탁신은 프아타이당(Pheu Thai Party) 총리 후보인 스레타 타위신(Srettha Thavisin, 60)이 태국의 차기 총리가 되기에 충분한 표를 얻을 자신이 있느냐는 질문에 “물론”이라고 간단히 답했다. 74세의 탁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