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서학개미'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예탁원에 따르면, 한국 투자자들은 2020년 1600억 달러(한화 약 178조 원) 규모의 해외 주식을 매매했다. 이는 역대 최대였던 2019년의 409억 달러(한화 약 45조 2476억 원)의 4배에 달하는 규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급락한 주식시장에 등장한 ‘서학개미’는 해외 주식을 위주로 거래하는 투자자를 말한다. 서학개미는 처음 등장한 1분기에는 기술주 위주의 대표주식을 매매했다. 애플과 테슬라, 구글의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가 순매수 상위 포트포리오를 채웠다. 일부 도전적인 소위 ‘불개미’들은 원유 ETN에 4331만 달러(한화 약 479억 원)을 베팅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를 하기도 했다. 2분기에는 낙폭과대주로 시선을 옮겨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이나 항공사인 델타 항공 등을 매수했다. 나스닥 지수가 회복한 3분기에는 과도한 유동성으로 이전과 같이 주식을 저가에 매수할 시대가 지나면서 투자 전략도 정교해지기 시작했다. 테슬라와 애플 등 시장 주도주에 대해 투자하면서도 미국장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으로도 시선이 옮겨갔다. 한국에선 중국 주식에 20억 6535만 달러(한화 약
지난 11월 27일 로이터통신과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스페인 은행 BBVA와 방코 데 사바델(Banco de Sabadel)의 합병 협상이 인수가격에 대한 의견 차이로 결렬됐다. 사바델 측은 이날 스페인 증권감독 당국에 성명을 보내 “이사회가 BBVA와의 합병 협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통지했다. BBVA도 별도의 성명에서 “사바델과의 합병 관련 대화가 합의를 도출하지 못해 중단됐다.”고 밝혔다. 사바델은 수개월 동안 다른 은행과의 합병 의사를 표명해 왔고, BBVA와의 합병은 코로나19(COVID-19) 팬데믹으로 궁지에 몰린 스페인 은행권 통합에 있어 중대한 이벤트가 될 것으로 여겨졌다. 사바델의 기업가치는 23억 유로(원화 약 3조 303억 원), BBVA는 245억 유로(원화 약 32조 2,802억 원)로, 양사가 합병하면 스페인 대출, 예금, 뮤추얼펀드 시장의 약 20~25%를 차지하는 거대 은행이 탄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BBVA는 지난 11월 3번째 주 미국 사업부를 미국 금융 지주회사 PNC 파이낸셜서비스 그룹에 116억 달러(원화 약 12조 8,000억 원)에 매각하면서, 사바델 인수는 여러 가지 옵션 중 하나라고
코스피(KOSPI)가 27일 2,633.45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26일)보다 7.54포인트(0.29%) 오른 2,633.56에 거래를 마치며 사상 최고치 행진을 이어갔다. 전날 기록한 종가 기준 최고치(2,625.91)를 하루만에 갱신한 것이지만 25일 기록한 장중 최고치인 2,642.26를 넘어서진 못했다. 코스피는 지난 23일 처음으로 2,600 선을 넘어가며 2년 10개월 만에 종전 최고치를 갱신했다. 25일에는 잠시 조정에 들어가며 16.22포인트(0.62%) 하락했지만 26일에 24.37포인트(0.94%) 오르며 사상 최고치 경신 행진을 이어갔다. 27일에도 장초반에 하락세가 있었지만 이를 극복하고 상승으로 마감하며 11월 들어서 16% 넘게 상승했다.
VN-증시가 1년여 만에 1000포인트를 넘어섰다. 현지 미디어 아세안 데일리뉴스에 따르면 지난 26일 호치민증권거래소의(HoSE)의 VN-지수(VN-Index)는 전날보다 6.03포인트(0.60%) 오른 1005.97에 장을 마감하면서 올해 종가 기준 최고치를 달성했다. 거래량은 4억9355만주, 거래대금은 10조2936억동(약 4910억원)에 달했다. 상승 종목은 203개며, 하락한 종목은 216개다. 이 같은 상승장은 호치민 개미들의 맹활약 덕분이었다. 장 초반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994.91포인트까지 하락해 약세를 보이던 중 오후장에서 호치민 개미들이 풍부한 현금 자금을 쏟자 상승세로 반등했다. 호치민증권거래소의 대표적인 30개 종목으로(시가총액 상위 30개 종목) 구성한 VN30지수는 3.53(0.37%) 오른 964.16 포인트로 마감했다. 상승 종목은 19개, 하락 종목은 7개다. 외국인투자자들은 이틀 연속 순매도했다. 가장 많이 매도한 종목은 철강업체 화팟그룹과 HD은행 등이다. 10대 시가총액 종목에서는 빈홈스(-0.96%), 비나밀크(-0.54%), 화팟그룹(-1.4%)을 제외하고 모두 상승했다. 이 중 가장 많이 오른
코스피(KOSPI)가 사상 최고치인 2600을 돌파한 지 2일만에 다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24.37포인트(0.94%) 더 오른 2,625.91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난 24일 기록했던 종전 최고치인 2,716.76을 2일만에 갈아치운 것이다. 다만 장중 고점은 전날 기록한 최고치인 2,642.26을 넘어서지 못했다. 지수는 전날 장보다 4.19포인트(0.16%) 오른 2,605.73에 개장해 장 초반 2,600선에서 등락하다가 오후 들어 상향 곡선을 그렸다. 코스닥은 전날보다 9.41포인트(1.09%) 오른 874.53에 마감했다. 지수는 전날 장보다 3.48포인트(0.40%) 오른 868.60에 출발해 혼조세를 보인 뒤 강세로 전환했다.
코스피가 2년 10개월만에 고점을 갱신해 2600을 돌파했다. 지난 23일 코스피 지수는 22일 보다 49.09포인트(1.92%) 치솟으며 2602.59에 장마감을 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2018년 1월 29일 기록했던 종가 기준 최고치 2598.19 포인트를 2년 10개월만에 갱신한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300명 선을 맴도는 가운데 외국인들의 강한 매수세와 기업 실적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코스피 대형주를 중심으로 강세가 지속됐ek. 반도체 대장주로 손꼽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시총 1위, 2위에도 불구하고 각각 4.33%와 3.31%의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주식개미들 사이에서 ‘6만 전자’라고 불리던 삼성전자 역시 주가가 상승하면서 7만원 선을 가시권 뒀다. 11월 초에 삼성전자는 5만 6000원 선으로 내려오기도 했지만, 15 거래일만에 20% 상승세를 보여줬고 23일 종가 기준 6만 7500까지 주가를 끌어올렸다. SK하이닉스 역시 주당 10만원 고지에 들어서며 ‘10만 닉스’로 불리기 시작했다. 또한 원화 강세로 인해 외국인들이 한국 증시 투자 환경이 좋아지면서 자금이 몰린 것이 주요했다. 서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 에스볼트 에너지 테크놀로지(SVolt Energy Technology, 蜂巢能源)가 독일에 배터리 공장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에스볼트 에너지 테크놀로지(이하 에스볼트)가 20억 유로(한화 약 2조 6432억 원)을 투자해 독일 남서부 자를란트주에 배터리, 배터리 모듈, 배터리 팩 등을 생산하는 공장을 2곳에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스볼트는 중국 완성차 업체 창청자동차(长城汽车) 동력 배터리 사업부에서 2018년 2월 분사해 독립 법인을 세운 것이 시작이다. 위베헤른에 건설 예정인 배터리 공장은 2023년 말에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며, 매년 30~50만 대 전기차에 동력을 제공하는 24GWh 규모의 배터리를 생산할 방침이다. 배티러 모듈과 배터리 팩 공장은 호이스바일러에 건설해 2022년 중반에 생산에 돌입하며 고용효과는 2000 명으로 예상된다. 에스볼트는 이 외에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총 76GWh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 3개를 건설해 2025년까지 전 세계 80억 유로(한화 약 10조 5980억 원)을 투자해 100GWh의 생산능력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중국에서 살아나지 않으면 닛산은 끝장이다." 일본 닛산 자동차가 중국 시장에 사활을 건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닛산 자동차는 중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결정하면서 2021년 생산능력을 30% 확장하고, 중국에서 출시할 신종 모델들을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미국과 일본 시장에서 부진한 닛산은 3분기에 443억 엔(한화 약 4689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에 닛산은 10월 중순에 열린 이사회에서 마코토 우치다 회장이 직접 “중국이 중요한 시장이다. 중국에서 노력하지 않는다면 닛산은 끝장이다”라는 말을 남기며 중국 시장 공략에 집중할 것을 다짐했다. 우선 중국에 출시할 신규 모델은 순수 전기차(EV)를 제외한 신규 모델은 자체 하이브리드(HV) 기능인 이파워(e-power)를 탑재한다. 또한 장쑤성 창저우와 후베이성 우한에 공장을 신설하고 생산능력을 30% 증가한 200만 대 규모로 확대하고, 순수 전기차인 아리야(Ariya)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재 닛산에서 추정중인 적자 규모는 4700억 엔(한화 약 5조 564억 원)로 예상하고 있으며, 2021년 영업이익률을 2%로 회복하겠다는 방침이다 2020년 10월 닛산의 중국 시장 신차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