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이 미국의 파트너가 되길 원한다” “동남아는 중국 파트너 국가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8일(미국시간) 정치자금 모금행사에서 “베트남 조만간 방문하겠다”고 밝혔다.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곧(shortly)’이라는 표현으로” 베트남 방문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머지않은 방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바이든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을 공고하게 다지기 위한 행보로 분석했다. 미국은 2007년 베트남과와 국교를 정상화했다. 이후 미국은 베트남을 향해 우호 손짓을 계속해왔다. 특히 미국-중국 갈등 이후 더욱 빨라지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11월 베트남을 환율관찰대상국에서 제외했으며, 올해 4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방문했다. 지난달에는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이 베트남을 찾았다. 그는 “미국은 베트남을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발전에 있어 주요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미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을 담당하는 긴밀한 경제 파트너"라고도 표현했다. 바이든은 지난 9일 반도체와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양자정보기술, 특정 인공지능 시스템 등 3개 분야에
주 필리핀한국대사관이 9일, 중국 해경의 필리핀 해경선박에 대한 물대포 공격 사건에 우려를 표시하는 성명을 대사관 페이스북에 발표했다. 성명은 “주필리핀 한국대사관은 남중국해의 평화, 안정, 규칙에 근거한 질서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 해역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동들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중요한 국제 해상교통로인 남중국해에서 UNCLOS를 포함한 국제법 원칙에 근거한 항해와 상공 비행의 자유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성명에 대해 최원기 국립외교원 교수는 페이스북에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과거 한국정부의 ‘침묵외교’ 기조의 탈피를 의미하는 작지만 중요한 진전이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국제법과 규범에 기초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힘에 의한 현상변경’을 단호히 반대한다는 한국 인태전략의 정책기조가 이제 구체적인 외교적 발언과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남중국해에서 중국과 필리핀 해경이 물대포까지 동원하며 빚어진 갈등은 중국과 서방 간 설전으로 확대되고 있다. 8일 미 국방부는 성명을 통해 로이드 오스틴 장관이 길베르토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장관과 전화 통화를 갖고 미국과 필리핀 간의 상호방위조약 문제
“2024년 2월 인도네시아 대선, 신(神)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까.” 인도네시아의 차기 대통령 선거가 6개월로 다가왔다. 2024년 2월 14일이면 2억 8000만 명의 인구대국 4위 인도네시아를 5년동안 이끌어갈 새 지도자가 선출된다. 2014년 이후 조코위(Joko Widodo, 62) 대통령이 9년 동안 인도네시아 정치를 이끌어왔다. 지지율도 여전히 70%대로 고공행진이다. 하지만 이제 대통령궁은 새 주인을 위해 채비에 들어갔다. 조코위 집권 연합은 현재 7개 정당과 함께 한다. 의회 의석의 81%를 장악했다.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헌법상 3연임이 불가하다. 조코위는 출마를 못한다. 그의 임기는 내년 2월 대선을 치르고 이후 새 대통령이 취임하는 10월까지다. 정치미디어 포린 폴리시(foreignpolicy)는 지난 5월 기획에서 “인도네시아 선거에는 정책이 거의 없다. 과두정치 집단과 당의 보스들이 누구를 지지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일종의 확장된 인기 콘테스트”라고 벤 블렌드(Ben Bland) 채텀 하우스(Chatham House) 아시아 태평양 프로그램 책임자의 말을 인용했다. 이 기획의 주요 포인트는 간자르 프라노워(Ganjar Pranowo,
아세안 10개국 아트북과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하는 팝업스토어가 뜬다. KF(Korea Foundation,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김기환) 아세안문화원(부산 해운대구 소재)이 오는 8월 10일부터 31일까지 3주간 ‘2023 아세안 책방’을 서울 프로젝트렌트 올드타운점(성동구 성수이로3길 18-1)에서 개최한다. ‘2023 아세안 책방은 한국 최초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필리핀 세부, 싱가포르, 태국 방콕의 아트북페어 감독들과 협업하여 아세안 10개국의 아트북과 라이프스타일을 소개하는 팝업스토어로 운영된다. 아세안 10개국의 27개 출판사가 참여해 국가별로 대표 도서 10권을 선정했다. 각국의 추천도서 총 43권을 선보이게 된다. 특히 올해는 한-인도네시아 수교 50주년 및 한-태국 수교 65주년을 기념해 젊고 ‘힙한’ 역동적 아세안을 보여줄 예정이다. 그간 한국에도 잘 알려진 아세안의 관광, 음식, 전통문화 콘텐츠보다 한 발 더 나아가, 아세안의 2030 세대 문화 및 대중적 라이프스타일을 경험하는 콘텐츠를 소개하는 것. 국가별 대표 도서로 선정된 10권은 주로 환경, 디자인, 공존, 교통 등의 이슈를 다루며 현시대를 살아가는 창작
필리핀 국세청(BIR)은 소득세와 VAT 의무를 삭감하기 위해 가짜 영수증을 구입하는 합법적인 기업과 관련된 가짜 거래로 인해 중앙 정부가 최소 3,700억 페소(원화 약 8조 7,912억 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말했다. 필리핀 국세청(BIR)은 적어도 지난 20년 동안 베트남에서 1조 3,000억 페소(원화 약 30조 8,880억 원) 상당의 위조 영수증이 발행되었다고 밝혔다. BIR의 추정에 따르면 중앙 정부는 위조 영수증으로 인해 최소 3,700억 페소의 세수 징수를 박탈당했다. 수익계산법은 25%의 소득세율과 12%의 부가가치세(VAT)를 합산해, 위조 영수증으로 인한 손실 수익을 계산했다. BIR 로메오 D. 루마구이 주니어(Romeo D. Lumagui Jr.)주니어 커머셔너는 현재 가짜 거래로 인해 기소된 회사 중 일부가 곧 정부와 합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로메오 커머셔너는 “기업들이 납부할 시기는 기업에게 달려 있지만 국세청에 관련된 사건은 거기에 있다. 그들이 세금을 납부할지 여부는 기업들에게 달려 있지만 우리는 이미 많은 방안을 가지고 있다.”면서 “우리는 합리적인 징수 방안을 찾고 있다. 확실한건 올해 안에 징세가 있을 것
중국이 캄보디아 남서부에 위치한 리암 해군기지(Ream Naval Base)에 항공모함을 접안하기 위해 건설 중인 부두가 완공 임박했다. 파이낸셜타임즈(Financial Times)의 7월 24일자에 따르면 “완공된 리암 해군기자는 중국이 30년간 이용하는 협약을 맺었다”고 전했다. 춤 소치트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은 ‘VOA 크메르’에 공사가 곧 완료될 것이라고 확인했지만 “완공일은 모른다”고 말했다. 리암 해군기지가 위치한 항구도시 시아누크빌은 중국 자본이 대거 투입, 중국의 영향력이 매우 큰 도시다. 인구 1650만명의 캄보디아는 중국의 전략적 경제적 중요 국가로 여겨져왔다. 미국 한 군사 전문가는 남중국해(South China sea)에서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 중국이 말라카해협의 전략적 항로로서 리암 해군기지를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그동안 남중국해의 많은 부분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하려고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다. 리암 해군기지는 캄보디아 남단 부근에 위치해 있어, 남중국해와 가까운 전략적 요충지이다. 이 기지에서 중국의 역할에 대해서는 최근 미국 정부가 군사거점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왔다. 다른 여러 나라들. 브루나이,
“아세안 대사 시절 ERIA와의 인연이 다시 이어지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서정인(61) 전 주아세안 대사가 아세안·동아시아경제연구소(ERIA) 이사로 선임됐다. 서 대사는 아세안익스프레스와의 통화에서 “ERIA가 아세안 싱크 탱크로서 아세안 공동체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 나름의 역할을 하려고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대표적인 아세안 전문가 중 하나다. 2015년 주아세안 대사를 지낸 뒤 2019년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기획단장을 맡았다. 테츠야 와타나베 ERIA 이사장은 6일 “아세안 경제 통합 심화 작업에 서 전 대사와 함께하게 돼 기쁘다”고 밝혔다. 임기는 2026년 6월까지다. ERIA 이사회에는 아세안 10개국 외에 한국, 중국, 일본, 인도, 뉴질랜드, 호주 등 16개국 인사가 각국 이사로 임명돼 활동한다. 서 전 대사는 권태신 전 OECD 대사 후임으로 한국 이사에 선임됐다. ERIA는 2007년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공식 출범한 아세안 싱크탱크다. 본부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있다. 아세안의 농업, 산업, 에너지, 보건 문제를 연구해 아세안 사무국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다. 2015년 유럽연합(EU) 수준의 경제통합을 목
전진당 없이 새 정부 구성하기로 발표한 프아타이당이 수상을 비롯 5개 부처 내각을 내정했다. 현지 미디어 네이션의 4일자에 따르면 “프아타이당(Pheu Thai Party)은 전진당(Move Forward Party, MFP)없이 정부구성을 발표한 이후 5개 주요부처 내각 구성 계획을 했다”고 정통한 소식통을 통해 전했다. 이 계획에는 프아타이당 총리 후보이자 전 부동산 재벌인 스레타 타위신(Srettha Thavisin, 60)이 태국의 30대 총리후보가 된다. 프아타이당의 지도자 천란 스리카우(Chonlan Srikaew)는 내무부, 프아타이당의 또 다른 수상 후보인 탁신의 막내딸 패통탄 친나왓(Paetongtarn Chinawatra)는 외무부 장관으로 내정되었다. 교통부 장관과 에너지부 장관의 자리는 각각 프라세르트 얀타루앙통 사무총장과 프아타이당의 훌라푼 아모르비바트 부대표가 맡게된다. 재무부의 경우, 당이 이름이 "อ"로 시작하는 외부 인사를 그 자리에 올릴 것이라며 “영어로는 A, E, I, O, U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나머지 부처들은 아직 공개되지 않은 연합에 참여하는 정당들과 논의한다. 각 당은 선거에서 승리한 의원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