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7일 블룸버그(Bloomberg)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지속가능성 특성을 측정・관리・보고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를 출시했다. 신규 도구는 블룸버그의 포트폴리오 및 리스크 분석 솔루션인 ‘포트’(PORT)에서 액세스할 수 있다. 신규 도구에는 유럽연합(EU)의 지속 가능한 금융 공시 규정(SFDR)에 따라 의무화된 주요 ESG 지표, 13만 개 이상의 글로벌 상장 및 비상장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 기업 성과 및 공시 평가에 사용되는 블룸버그의 독점적인 ESG 점수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된다. 솔루션 사용자는 포트(PORT) 전용 ESG 화면을 통해 각 보유 종목에 대해 세분화된 지속가능성 데이터를 사용해 포트폴리오・펀드・지수를 쉽게 비교하고 추세 분석이 가능하다. ESG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whdayr과 포지션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보고 기능이 포함된 프리미엄 서비스인 ‘포트 엔터프라이즈’(PORT Enterprise)에서는 EU 규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ESMA의 템플릿에 따라 표준화된 SFDR 보고서와 사용자 지정이 가능한 지속가능성 보고서 작성 기능이 제공된다. 포트(PORT)는 블룸버그의 바이사이드(Buy-SIDE
지난 4월 8일 프랑스 일간지 ‘르몽드(Le Monde)’에 따르면, 경제․금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블룸버그 유한회사(Bloomberg L.P.)’가 인공지능(AI) 기반의 프로젝트를 추진 중인 것으로 보인다. 1981년 10월 1일 설립된 블룸버그 유한회사(이하 ‘블룸버그’)는 금융시장의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오고 있으며, 블룸버그 터미널(Bloomberg Terminal)과 같은 금융 전용 단말기를 공급할 정도로 대규모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다. 현재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연구진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블롬버그는 500억 개의 파라미터(Parameter)가 알고리즘에 포함되어 있고 광범위한 금융 데이터가 정리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에서 개발할 새로운 블룸버그GPT 모델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기반으로 챗GPT(Chat GPT)에 근접할 정도로 작동한다고 설명했으며, ‘감정 속성 분석’을 통해 분석한 메시지가 기업에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분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블룸버그GPT 모델은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쉽게 찾거나 정보 내용에 따라 기사 제목을 자동으로 생성도 가능하다. 다만, 범용적인 측면보다는 블룸버그 측의 편의에
지난 7월 7일 ‘블룸버그’와 ‘MSCI’는 10개의 ESG(환경, 사회 및 지배구조) 지수를 포함하는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MSCI 신흥시장 ESG 지수군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ESG 요소를 고려하는 투자 수요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마련된 조치로 신규 출시된 신흥시장 채권 지수군은 MSCI 및 블룸버그가 독자적으로 제공한다. 양사는 ESG 채권 지수의 커버리지를 넓히고 기관 투자자들에게 인덱스 펀드 투자와 벤치마크 수익에 대한 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MSCI 신흥시장 ESG 지수군은 주요 국제 통화 및 현지 통화로 표시된 신흥시장 채권 지수에 ESG와 SRI 요소를 통합한 지수이다. 이 지수군에는 글로벌, 범유로 및 미국 달러(USD) 통화 버전이 있으며 아래의 다양한 지수가 포함된다. 이 중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MSCI EM ESG 가중 지수는 MSCI ESG 등급을 활용해 발행사의 시장가를 가중해 조정한다. 또한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MSCI EM SRI 지수는 성인용 엔터테인먼트, 주류, 도박, 담배, 군용 무기, 민간 총기, 원자력 및 유전자 변형 식품(GMO) 분야에서 상당한 수익을 거두는 발행사를 선별해 이를 제외한다. 블룸버그 바클레이
로켓배송 ‘쿠팡(Coupang)'이 미 증시인 ’나스닥(NASDAQ)' 상장이 초읽기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투자은행(IB)이자 쿠팡의 상장 주관사인 골드만삭스(Goldmansachs)를 통해 예비심사를 통과했다는 소식이 투자업계에 퍼지면서 이르면 3월 중 상장이 점쳐지고 있다. 경제전문 미디어인 블룸버그 통신(Bloomberg L.P)에 따르면, 쿠팡의 기압 가치는 300억 달러(한화 약 32조 67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 쿠팡 측은 나스닥 상장과 관련된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나스닥에 상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법인은 쿠팡이 지분 100%를 보유한 미국 법인 ‘쿠팡 LLC'이다.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제기되는 쿠팡의 나스닥 상장설은 2019년 10월에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의장 후보로도 거론된 케빈 워시 전 연준 이사를 영입한 이후 본격적으로 힘이 실렸다. 2020년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언택트(Untact)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쿠팡의 상장 가능성도 덩달아 높아졌다. 걸림돌은 역시 4조 원에 달하는 누적된 쿠팡의 적자다. 2018년에 1조 원을 넘긴 쿠팡의 적자는 2019년 7200억 원으
소프트뱅크(Softbank) 그룹의 3분기 순이익이 1503억 엔(한화 약 1조 593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프트뱅크가 13억 5000만 달러(한화 약 1조 5020억 원)를 투자한 KE 홀딩스가 미국 증시에 상장한 이후 주가 상승으로 소프트뱅크가 보유한 지분의 가치가 64억 달러(한화 약 7조 1264억 원)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KE홀딩스는 9월 이후 지속해서 상승해 9월 대비 23% 더 올라갔다. 블룸버그는 3분기 소프트뱅크의 순이익이 1503억 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019년 3분기 7000억 엔(한화 약 7조 4194억 원)의 손실을 낸 점을 고려하면 투자전략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소프트뱅크는 2019년 이후 투자 재편을 통해서 분위기 쇄신에 들어갔다. 자산 매각을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1조 2557억 엔(한화 약 13조 3094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손정의 회장 역시 소프트뱅크 월드(Softbank World)에서 KE 홀딩스의 인공지능을 활용한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사업모델을 칭찬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걸맞는 비대면-언택트 종목에 집중 투자 중이다. 소프트뱅크는 차후에도 기존 스타트업과
지난 10월 29일 블룸버그는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와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MSCI 신흥시장 아시아 크레딧환경・사회・지배구조(ESG) 지수'를 공동 신설한다고 밝혔다. 해당 지수는 미국 달러 표시 아시아(일본 제외) 신흥시장 크레딧 채권의 성과를 추적하는 3개의 지수 신규 상품으로 구성된 최초의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MSCI 지수이다. ESG 리스크와 노출에 대한 측정을 통합해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야나 헤인스 MSCI 미주・EMEA 글로벌 채권 인덱스 프로덕트 총괄은 “지속 가능성 원칙을 투자에 원활하게 통합하려는 투자자들이 모든 자산군에 걸쳐 새로운 지수, 도구 및 분석에 대한 수요를 만들어내는 중요한 단계에 도달했다.”라며 “블룸버그와 협업해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ESG 지수 상품을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더 잘 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ESG 시리즈는 사회적 책임성, 지속 가능성 및 ESG 가중치 적용 ESG의 3개 플래그십 ESG 지수 신규 상품을 활용해 다양한 ESG 투자법에 활용할 수 있다. 신규 상품 3종은 블룸버그 바클레이즈 신흥시장 아시아 USD 크레딧 지수에 기반하며 신규 ESG 벤치마크 지수
미국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국회의 경기부양책으로 급여세율 0%로 낮추는 방안을 제시했다. 뉴욕 타임즈는 급여세가 0%가 될 경우 감세 규모는 8000억 달러(한화 약 950조 원)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미국 CNBC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에 의한 경기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부양책으로 급여세율을 0%로 낮춘다는 방침을 의회에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간제 근로자를 비롯해 항공‧숙박‧여행 업계를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한 경기부양책을 제시하고 감세 규모 역시 3000억 달러(한화 약 362조 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지만, 급여세율 인하가 0%로 이루어진다면 감세 규모는 더욱 커지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들은 공화당 의원들은 회의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보인다. 급여세 인하로 인한 세수 감축분의 재정 마련이 문제다. 2018년 미국 세입에서 급여세는 1조 1700억 달러(한화 약 1412조 1900억 원)이다. 뉴욕 타임즈(New York Times)는 급여세 0%에 달할 경우 8000억 달러(한화 약 950조 원) 규모의 감세가 일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레리 커들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