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쿠데타 발발 1년에 즈음하여 전북대 동남아연구소가 미얀마의 최근 상황을 전하는 동남아지역설명회를 1월 12일 개최한다. ‘미얀마 봄의 혁명과 소수종족: 연방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향한 험난한 여정’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설명회는 최근인 지난해 12월 말 일시 귀국하여 한국에 체류 중인 미얀마 양곤대 세종학당의 천기홍 교수가 연사로 나선다. 천기홍 교수는 부산외국어대학교 미얀마어과를 졸업한 후 미얀마에서 새로운 삶을 일구어온 지 올해로 만 20년을 맞았다. 그동안 양곤대학교에 적을 두고 학업을 계속 이어가는 한편으로 여러 층위에서 한국과 미얀마 사이를 연결해주는 가교역할도 톡톡히 해왔다. 2021년 2월 1일 쿠데타가 터진 이후로는 미얀마 현지 소식을 국내 여러 언론사 지면을 통해 전해 주고 있기도 하다. 일부 소수종족무장단체들이 군부에 맞서는 저항세력에 합류함에 따라 미얀마의 민주화운동은 아웅산 수치나 NLD 정부의 복권을 넘어서는, 연방민주주의 국가 건설이라는 오랜 약속의 실현으로 그 목표가 재조정되었다. 하지만 민주화운동 진영의 구심점인 국민통합정부(NUG)와 군부의 과도정부가 양립하며 경합하는 위태로운 정치 지형 안에서 소수종족집단의 행보
“미얀마 7인조 아이돌 그룹 ‘프로젝트 K’의 방한하게 돼 기쁘다.”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이 미얀마 7인조 아이돌 그룹 '프로젝트 K'(Project K)의 방한 사실을 언급하며 “양국 우호 관계가 더욱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미얀마한국대사관(대사 이상화)에 따르면 9일 ‘한국-미얀마 수교 45주년 기념 합동 문화 공연’이 관영방송인 MRTV를 통해 미얀마 전역에 한글자막을 붙여 45분간 방영됐다. 수치 고문은 영상 축사를 통해 “2020년 5월 한-미얀마 양국이 수교 45주년을 맞았다. 45년 간 양국이 따뜻한 친근감과 협력관계로 정치, 경제 및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 성과를 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성과로 한-미얀마 우정의 다리인 달라대교, Nyaung Na Pin에 있는 한-미얀마 경협산업단지(KMIC), 네피도 등에서 시행되고 있는 여러 개발프로젝트, 농촌공동체 개발사업(새마을)의 인프라 및 국민 생활 향상 등을 언급했다. 이어 “한국의 문화, 예술, 음식과 언어는 미얀마를 비롯한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 청춘들의 일상에 스며들어 전파되고 있다. 미얀마-한국 국민이 서로를 가깝게 느낄 수 있도록 문화예술 분야에서
미얀마에서 발생한 옥(玉) 광산 붕괴사고의 사망자가 최소 170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미얀마타임즈 등 외신에 따르면 2일(현지시간) 미얀마 북부 카친주 흐파칸트의 한 옥 광산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다. 4일 외신에 따르면 북부 카친주의 흐파칸트 지역 옥 광산에서 폭우로 토사가 흘러내리면서 발생한 사고로 숨진 이는 최소 172명으로 늘어났다. 사망자 숫자는 흘러내린 토사에 묻혀있던 사체가 발견되면서 늘어나고 있다. 실종자를 포함해 사망자는 총 30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고는 미얀마 사상 최악의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될 전망이다. 생존자들에 따르면 산사태는 폭우 직후에 일어났다. 약 30미터의 폐기물 토양이 물이 이전 구덩이를 채우는 호수 아래로 쓰러졌다. 현재 미얀마는 장마철로 많은 비로 진흙더미가 폐석을 덮친 것으로 보인다. 2015년 11월에도 이 지역에서 폐석 더미가 무너져 최소 116명이 숨졌다. 흐파칸트는 미얀마에서 가장 큰 도시인 양곤에서 북쪽으로 950km 떨어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유리한 비취 광산 산업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한편 미얀마 정부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은 전날 페이스북 라이브 방송을 통해 피해자들에 대해
미얀마와 한국은 닮은 점이 많은 나라다. 특히 현대사는 무척이나 흡사한데, 식민지 경험과 독립을 위한 노력, 그리고 군부독재와 민주화 투쟁까지도 마치 쌍둥이처럼 엇비슷하다. 이 같은 공통 기억을 갖고 있는 이유는 두 나라가 각 지역에서 갖는 지정학적인 중요도 때문일 수도 있다. 특히 중국과 국경을 맞대면서 대양으로 가는 길목에 있다는 점이 대표적이다. 미얀마가 아시아의 양대 축인 중국과 인도의 중간지대에 있다면, 한국은 중국과 미일 세력의 중간지대에 위치했다는 점이 그렇다. 여기서 파생되는 부수적 공통점이 한 가지가 있는데, 아시아에서 '유이(唯二)'하게 미얀마와 한국만이 유엔 사무총장을 배출했다는 사실이다. 이는 물론 과한 억측일 수도 있지만, 강대국 출신 인물은 무조건 사무총장 후보에서 배제되는 국제정치의 관례상, 상대적으로 넓고 깊은 외교경험을 쌓을 수 있는 지정학적 중요도가 큰 나라 출신 인물이 국제무대에서 유리한 점은 무시할 수 없다. 외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2006~2016)이 아시아가 배출한 두 번째 유엔의 수장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첫 번째 인물의 이름을 대라면 상당히 답변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지난 연말의 일이다. 싱가포르에서 저가항공을 타고 미얀마 양곤으로 향하고 있는데, 옆좌석의 젊은 외국인 아가씨가 내 푸른색 여권을 보고 먼저 인사를 건네온 것이다. "혹시 한국 분이세요? 저 지금 케이팝(K-POP)을 듣고 있었어요. 한국 사람을 비행기에서 만날 것이라곤 생각도 못해봤어요." 무료한 비행기에서 친근한 인상의 낯선 사람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것은 기쁜 일이다. 한참을 그녀와 대화를 나누며 샨족 출신의 미얀마인 그녀가 싱가포르에서 한 소규모 대학 2학년에 재학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한창 대학입시를 준비할 고등학생이 나홀로 싱가포르에까지 가서 공부할 일은 없을 테니 대학생인 것은 알겠는데, 그녀의 앳된 얼굴이 나이에 대한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혹시 나이를 여쭤봐도 되나요?" "물론이에요. 저는 올해로 17살이에요. 내년이면 폴리테크닉(3년제)에서 간호학 학사학위를 취득할 예정이에요." 1. 왜 미얀마의 정규교육은 10년에 불과할까? 미얀마는 여느 동남아시아 국가들처럼 무척이나 젊은 국가다. 2018년 기준으로 평균 나이가 28세에 불과할 정도다. 노동인구도 3000만 명이나 되기 때문에 언제나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들로 넘쳐난다. 이런 구
현대 미얀마의 상징 "아웅산 수치"와 개헌 그리고 2020 총선 미얀마에서 가장 유명한 세계적 인물은 다름아닌 '아웅산 수치' 여사다. 미얀마의 대통령 이름은 몰라도 그녀의 이름과 민주주의를 향한 고귀한 행적은 글로벌 상식으로 통한다. 1945년생인 그녀는 올해로 75세가 됐다. 영어로는 Aung San Suu Kyi라고 쓰고 '수치 여사'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는 행정부 정식 명칭인 "스테이트 카운셀러(일종의 총리직)"로 표기하며, 미얀마 국민들은 그냥 "아메 수(엄마 수)"로 부를 정도로 친근한 실질적인 지도자로 통용된다. 실제로 지난해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도 미얀마는 여느 아세안 국가들 처럼 대통령이 온 것이 아니라 수치 여사가 방문했다. 2015년 총선에서 압도적으로 승리한 그는 2016년부터 '외교부' '교육부' '에너지 전력부' '대통령실 장관' 등 4개 부처의 장관을 맡고 있기도 하다. 그러니까 실질적인 권한은 물론 나라의 상징성까지 두루 갖춘 미얀마라는 국가의 최고 책임자에 해당한다는 얘기다. 자연스레 "대통령이나 총리는 어디 가고?"란 질문이 나올 수 밖에 없다. 어쩌다가 이렇게 애매모호한 직함을 갖게 된 것인지
아세안 문화 경제 미디어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신년을 맞아 신남방정책을 현장을 해부하는 야심적인 기획을 준비했다. 바로 '정호재의 緬甸통신'과 '정호재 新加坡통신'이다. 기자 출신으로 현재 싱가포르와 미얀마에서 아시아학을 공부하고 있는 필자는 태국의 탁신,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캄보디아의 삼랑시 등 동남아의 대표 정치인을 직접 인터뷰하고 관련 번역도 했다. 緬甸은 미얀마의 한자표기고 新加坡는 싱가포르 한자 표기다. [편집자주] 정호재의 緬甸통신 ① 미얀마 양곤 한 달....'아웅산 수치'의 민주화 된 양곤 1. 2020년 1월-현지 조력자 구인 면접, 영어 소통에 감사 미얀마 양곤에서 1달 적응기간을 갖고 비즈니스 비자를 갱신하기 위해 잠시 서울로 복귀했다. 더운 남국에서 서울로 다시 돌아오니 몸이 두 배로 힘들다. 양곤-서울 비행기 운항시간은 6시간 정도. 직항은 대한항공과 미얀마항공 두 곳이 있고, 환승을 하려면 태국 방콕이나 베트남 하노이가 유리하다. 과거 국제공항이란 낭만과 설렘의 상징이었지만, 점차 피곤함의 대명사가 되어간다. 지난 한 달 동안 만달레이도 다시 다녀오고, 어학공부에도 다시 속도를 올리고, 연구를 도울 현지인력이 필요해 공고도 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