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7월 7일은 ‘초콜릿의 날’이다. 유럽에서 초콜릿을 도입된 것을 기념해 2009년 제정되었다. 주한필리핀 대사관은 7일 ‘세계 초콜릿의 날’을 맞아 서울 종로구 북촌 락고재 문화라운지에서 특별한 파티를 열었다. 초대손님은 60여명이었다. 메인 행사는 필리핀의 세부(Cebu) 초콜릿 퀸(Chocolate Queen) 라켈 초아(Ms. Raquel Choa) 대표의 초청 ‘필리핀 전통 초콜릿 만들기’ 시연이었다. 라켈 초아는 ‘초콜릿 챔버’의 대표이자 2016년 유엔(UN)에서 임명한 초콜릿 대사이기도 하다. 마리아 테레사 디존-데 베가(H.E. Theresa Dizon-De Vega) 주한 필리핀 대사는 60여명의 초대손님을 직접 맞이했다. 초대손님들은 다양한 형태의 필리핀 초콜릿과 재료가 들어간 음식을 맛보고 라켈 초아의 스토리텔링에 푹 빠졌다. 필리핀에서 초콜릿은 105년 전에 아시아에서 첫 번째로 재배를 했다는 것이 정설로 남아있다. 하지만 라켈 초아는 이를 152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을 소개했다. 마닐라에서 카카오 재배를 해온 방식이 있었다. 라켈 초아는 필리핀의 카카오 스토리를 가장 아는 사람 중 하나다. 그의 가족은 카카오 패밀리해도 좋
3월 20일은 “행복 추구는 인간의 근본적 목표”임을 알리기 위해 유엔(UN)이 정한 ‘국제 행복의 날’이다. 유엔산하 자문기구인 유엔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국제 행복의 날’을 맞아 ‘세계행복보고서’(WHR, World Hapiness Report)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매년 국가별로 1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최근 3년간의 데이터를 종합해 국가별 행복 지수 순위를 매긴다. 설문조사는 1인당 GDP, 기대수명, 사회적 지원, 선택의 자유, 관용, 부정부패 등 6개 항목을 0에서 10점 척도로 측정한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의 행복지수가 세계 30위로 가장 높다. 지난 해 25위에서 다섯 계단 하락했지만 2년 연속 1위다. 싱가포르는 나이가 많은 연령대에서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아세안 국가 중에서는 싱가포르에 이어 필리핀(53위), 베트남(54위), 태국(58위), 말레이시아(59위) 순으로 비슷한 순위대에 모여 있다. 떨어져서 인도네시아(80위), 라오스(94위), 미얀마(118위), 캄보디아(119위), 인도(126위) 순이다. 브루나이는 159번째 유엔 가입국이지만 조사 대상에서 빠져 있다. 30세
국제연합(UN)이 2023년에 인도가 중국을 제치고 세계 제일의 인구대국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유엔(UN)의 인구 예측은 인도가 ‘인구 배당금’을 창출 할 수 있는지 여부, 인도의 경제력이 중국과 견줄 수 있는가 여부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켰다. 인도의 경제 전망이 낙관적인 이유는 현재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의 상황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20여년 전인 2000년 즈음의 중국의 경제가 부상하던 시기와 상황이 매우 흡사한 상황에서 중국은 가족계획 정책을 시행하면서 인구 고령화에 직면했기 때문에 반대급부적인 현상을 맞고 있다. 인도가 보유한 청년층을 비롯해 강력한 IT 파워를 고려하면 중국이 성장한 지난 20년 간의 경제력을 인도도 보유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다만, 무작정 중국의 사례를 대입하긴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중국은 2000년 노동 개혁을 통해 경제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지만 발전 상황도 현재와 완벽히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도의 출산율은 현재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과 현재의 인도 문맹률이 78%이고 여성 노동력 참여율이 24%로 낮다는 점도 지적사항으로 인도의 경제 펀더멘탈이 성장환경을 뒷받침 해줄 수 있을지가 관
미얀마에서 군부 쿠데타 이후 110여명이 숨지는 최악의 민간인 학살이 자행되었다. 미얀마 군부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민간인이 참석한 행사에 공습했다. 이로 인해 공습으로 어린이, 임산부를 포함해 최소 110명이 숨졌다. 2021년 2월 쿠데타 이후 최악의 민간인 희생이었다. ■ 전투기가 군중을 향해 직접 폭탄...어린이들 유골 50구 이상 발견 이라와디 등 외신에 따르면 군부는 미얀마 사가잉주 깐발루구에서 열린 임시정부의 사무소 개소식 행사장을 표적 공습했다. 목격담에 따르면, 오전 8시쯤 전투기가 군중을 향해 직접 폭탄을 투하했다. 30분쯤 후에는 헬리콥터가 나타나 사격을 가했다. 이라와디에 따르면 한 목격자는 “도랑에서 사람들이 잘려나간 모습과 아이들의 잘려나간 팔다리와 흩어진 신체 부위를 보았다. 행정실이 있던 건물도 전소됐다”고 말했다. 시신 수습에 참여한 현지 자원봉사자들은 14세 미만 어린이들의 유골 50구 이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공격으로 사망한 아이들 대부분은 초등학생들이었다고 전했다. 당초 사망자가 53명, 부상자는 20명으로 집계됐다. 이후 뉴욕타임스(NYT)는 현장 구조대원을 인용해 적어도 100명 이상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제 76차 유엔 인권이사회(UNHRC)에서 말레이시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2년 임기로 유엔 인권이사회 회원국으로 선출됐다. 말레이시아 외무부는 성명문을 내고 말레이시아가 선거를 통해 183표의 표를 받아 신규 이사국이 됐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의 선거가 인권의 건설과 증진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과 신뢰를 보여준다고 밝혔으며, 이 분야에서 계속해서 적극적인 기여를 보여줄 것이라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은 지리적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 그룹별로 선출된다. 이날 투표에선 미국을 비롯해 △카자흐스탄 △감비아 △베냉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말레이시아 △파라과이 △온두라스 △룩셈부르크 △핀란드 △몬테네그로 △리투아니아 등 13개국이 신규 이사국으로 선출됐다.
한국이 유엔으로부터 ‘선진국’으로 지위를 격상을 공인받았다. 57년 역사상 한국이 처음이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가 2일(현지시간) 한국의 지위를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했다. UNCTAD는 이날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제68차 무역개발이사회 마지막 날 회의에서 컨센서스(의견 일치)로 이 같은 안건을 통과시켰다. 1964년 설립된 이래 개도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지위를 변경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이태호 주제네바 한국 대표부 대사는 이번 지위 변경이 “무역은 경제 발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라는 UNCTAD의 격언을 진정으로 증명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UNCTAD는 창설 결의에 따라 공식적으로 아시아·아프리카 등 주로 개도국이 포함된 그룹 A와 선진국의 그룹 B, 중남미 국가가 포함된 그룹 C, 러시아 및 동구권의 그룹 D 등 4개 그룹으로 구성된다. 그간 한국은 그룹 A에 포함됐으나, 이번에 그룹 B로 지위가 변경됐다.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31개국이 속해 있던 그룹 B는 32개국으로 늘어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