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해시드(대표 김서준)의 자회사 샤드랩(대표 김호진)이 태국 최대 디지털자산 거래소인 빗컵(Bitkub)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두 회사는 태국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 내 웹3 생태계 조성과 사업 확장에 협력할 예정이다. 양사는 우선 웹3 인재 양성·액샐러레이션 프로그램 ‘프로토콜 캠프(Protocol Camp)’의 공식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샤드랩은 ‘빗컵 서밋 2025(Bitkub Summit 2025)’의 공식 스폰서로 참여할 예정이다. 프로토콜 캠프는 해시드와 샤드랩이 공동으로 주최하며 한국, 일본, 태국, 베트남 등 동아시아 지역의 웹3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액샐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빗컵은 멘토링, 생태계 연계, 현지 진출 지원 등 다각적인 방식으로 프로그램에 기여할 예정이다. 또한 샤드랩은 올해 하반기 태국 방콕에서 개최되는 웹3 산업 대표 행사인 ‘빗컵 서밋 2025’에 공식 스폰서로 참여해 스테이블코인 결제 시스템, NFT 티켓 발행, 국내외 주요 업체와의 월렛 협업 등 자사의 글로벌 웹3 전략 및 파트너십 성과를 소개할 계획이다. 빗컵 서밋은 매년 태국 내 블록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 31일(현지시간)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전날 미국과 한국 양측 간 협상 내용대로 15%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예고한 25% 관세를 15%로 낮추는 대신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극적인 합의를 했다. 유럽연합(EU), 일본의 상호관세율도 15%로 낮아졌다. 영국은 10%를 적용받았다. 이 결과는 대만이 4000억 달러 투자에 20%, 스위스가 39%, 브라질 50% 관세폭탄에 비해 이 정도로 방어한 것이 다행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그렇다면 아세안(ASEAN, 동남아국가연합)은 어떨까? 관세협정 국면에서 아세안에서 극적인 순간이 있었다. 국경에서 교전하던 태국과 캄보디아가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중단” 압박 카드에 “휴전에 동의”한다고 성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후 캄보디아와 태국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이 말레이시아 대통령 관저에서 휴전에 합의했다. 이후 미국은 관세를 36%에서 19%로 낮추었다. 말레이시아(25->19)와 인도네시아(32->19)와 필리핀(20->19)과 같은 상호관세에 합의했다. 영국에 이어 아시아에서 첫 번째로 지난 7월 2일 베트남(4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분쟁이 발생한 닷새만에 "조건없는 휴전"을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2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안와르 총리 관저서 긴급 정상 회담을 열고 전격 휴전에 합의했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총리가 중재했다.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과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공동성명을 통해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에 합의하고 이날 자정(29일 0시)부터 휴전에 돌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성명으로 24일 민간인과 군인 최소 35명이 목숨을 잃은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 분쟁이 발생 닷새 만에 일단 총성이 멎었다. 미국과 중국 외교 관계자들도 중재국 자격으로 이번 회담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전쟁 종식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몫을 했다. 지난 주말 트럼프는 양국 정상과 각각 통화해 신속히 휴전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휴전 중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는 압력을 가했다. 미국은 8월 1일부터 태국과 캄보디아에 각각 3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두 나라는 미국과 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
“관세협상을 휴전 ‘압박 외교’ 카드로 제대로 활용했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중단” 압박 카드에 태국과 캄보디아는 “휴전에 동의”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국경 지역에서는 여전히 교전이 계속 중이다. 트럼프는 26일(현지시간)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태국-캄보디아 정상과 각각 통화했다. 양측이 휴전 협상을 위한 회담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무력 충돌 사흘 만이다. 이날 트럼프는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품탐 웨차야차이 태국 총리 권한대행에게 각각 전화를 걸어 휴전을 압박했다. 이어 “두 나라는 미국과 '무역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기를 원하지만, 싸움이 끝날 때까지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이후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성명을 통해 "즉각적이고 조건 없는 휴전을 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캄보디아는 3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고 협상 중이다. 태국 외교부 역시 “캄보디아와 휴전 협정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태국도 미국으로부터 3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였다. 태국의 종전에 대한 입장은 당초 “캄보디아가 먼저 적대 행위를 멈춰야 협상이 가능하다”는 조건부 입
베트남 34만1153명, 태국 17만3710명.... 7월 27일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273만2797명으로, 전월보다 1.5%(4만68명) 증가했다. 이 수치는 역대 최고치다. 학업이나 근로, 관광 등의 목적으로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의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97만2176명으로 전체 체류 외국인의 35.6%를 차지했다. 이어 베트남 34만1153명(12.5%), 미국 19만6664명(7.2%), 태국 17만3710명(6.4%), 우즈베키스탄 9만8457명(3.6%) 등의 순이었다. 등록 외국인의 과반인 84만4668명(54.1%)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었다. 영남권은 31만7286명(20.3%), 충청권은 20만939명(12.9%), 호남권은 13만6990명(8.8%)이 살고 있다. 국민의 배우자(결혼이민자)는 18만 4581명으로 전월(18만 4165명)보다 △416명(△0.2%)이 늘었다. 외국인유학생은 27만 6712명으로 전월 27만 5580명보다 △1,132명(△0.4%) 늘었다. 전체 체류 외국인을 연령대로 살펴보면 30~39세(25.7%), 20∼29세(23.1%), 40∼49세(16.7%)
김상식 감독이 지휘하는 베트남 23세 이하(U-23) 대표팀이 아세안축구연맹(AFF) U-23 챔피언십 결승에 진출해 3회 연속 우승을 도전한다. 베트남 U-23 대표팀은 25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필리핀과 대회 4강전에서 2대 1 역전승을 거뒀다. 2022년과 2023년 대회에서 연속 우승한 베트남은 한국시간으로 29일 오후 10시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인도네시아-태국의 준결승전 승자와 결승전에서 3회 연속 챔피언 등극을 노린다. 5회째를 맞이한 AFF U23 챔피언십은 10개 팀이 3개 조(A조 4팀·B조 3팀·C조 3팀)로 나눠 조별리그를 진행, 각 조 1위가 준결승에 오른다. 각 조 2위 중 성적이 좋은 1팀이 4강에 추가로 합류한다. 앞서 조별리그에서 라오스(3-0), 캄보디아(2-1)를 연파하고 B조 1위로 4강에 오른 베트남은 조 2위 중 가장 성적이 좋은 A조 2위 필리핀마저 제압, 결승 진출권을 따냈다.
“태국 국민들은 캄보디아를 가능한 한 빨리 떠나야 한다.” 캄보디아 주재 태국대사관이 24일 페이스북에 공지한 게시물이다. 태국과 캄보디아 군은 현재 태국 동부 수린주 인근 국경 지역 국경 분쟁 지역에서 중화기를 동원해 교전을 벌이고 있다. 24일 캄보디아 측에서 다연장로켓포를 발사해 태국 민간인 2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다. 태국군은 캄보디아와 국경 지역에 F-16 전투기를 투입했다. 이번 충돌은 태국이 전날 밤 자국 주재 캄보디아 대사를 추방하고 자국 대사를 본국으로 소환한 직후 발생했다. 태국 측은 “지난 일주일 사이 두 번째 자국 군인이 지뢰 폭발로 다리를 잃었다”며, “최근 분쟁 지역에 새로 설치된 지뢰”라고 주장했다. 태국군은 24일 성명을 통해 “캄보디아 군이 정찰용 드론을 투입한 뒤 중무장 병력을 분쟁 지역 인근 동부 국경지대의 따모안톰 사원 근처(방콕에서 약 360km 거리)에 파견했다”고 밝혔다. 타이포스트는 이날 오전 캄보디아군이 다연장 로켓 BM-21을 국경 인근 태국 민간 지역에 발사해 어린이 1명을 포함한 주민 3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보도했다. 캄보디아 국방부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태국군이 먼저 이유 없이 캄보디아 영토로 침범했
일본 자동차 회사인 마쓰다(Mazda)가 태국에서 전기차 생산에 가속페달을 밟는다. 주 한국 태국대사관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마쓰다는 태국에 1억 5천만 달러(약 2,086억 9,500만 원)를 투자하여 소형 전기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을 생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라고 홈페이지에 전했다. 마쓰다가 태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은 세계 자동차 산업이 전기차(EV)로의 전환으로 인한 격변과 불확실성에 직면한 가운데 나온 것으로 주목된다. 태국은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지역적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어 오랫동안 “동남아시아의 디트로이트”로 불려왔다. 태국은 도요타, 혼다, 포드 등 세계 유수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수출 거점이기도 하다. 현재 태국은 자동업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미래를 목표로 전기차 생산을 가속화하는 동시에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트럭을 계속 생산하고 있다. 마사히로 마쓰다 사장은 “마쓰다의 이번 투자는 일본을 비롯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를 대상으로 한 국내 판매 및 수출을 지원하는 것이다. 연간 10만 대 생산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태국산업연합회(BOI) 자동차 그룹은 2025년 생
그라비티의 인도네시아 지사인 그라비티 게임 링크(Gravity Game Link, GGL)가 7월 16일 MMORPG ‘드래고니카 오리진(Dragonica Origin)’을 동남아시아 지역에 정식 론칭했다. 그라비티 게임 링크(GGL)는 7월 16일부터 동남아시아 10개 지역 공식 홈페이지에서 PC 버전 클라이언트를 다운로드하면 바로 플레이할 수 있다. 드래고니카 오리진은 횡스크롤 플레이 방식의 PC MMORPG로 드래곤과 마법 판타지가 가득한 세계관 속에 30개 이상의 독특한 맵과 신비로운 던전이 어우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저는 전사, 마법사, 궁수, 도적 4가지 직업 중 1개를 선택할 수 있다. 직업별로 코믹한 스킬을 활용해 전투를 펼치는 것이 가능하다. 보스 전투, PVP, GVG 등 풍부한 전투 콘텐츠도 즐길 수 있다. 동남아시아 지역 론칭에 앞서 7월 10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시암 스퀘어에서 미디어 컨퍼런스도 개최했다. 컨퍼런스에서는 그라비티 게임 링크(GGL) Rama 사업 개발 매니저의 개회사에 이어 소라위치(Sorawitch) ‘드래고니카 오리진’ 프로젝트 디렉터가 게임 소개 및 특징, 운영 계획, 론칭 일정, 질의응답 등 전반적인 로드
패통탄 친나왓(Paetongtarn Shinawatra, 39) 태국 총리가 정무정지를 당했다. 왕실 모독죄로 기소된 아버지인 탁신 친나왓(Thaksin Shinawatra, 76) 전 총리는 같은 날 재판이 시작되었다. 방콕포스트에 따르면 1일(현지시각) “태국 헌법재판소가 패통탄 총리에 대한 해임 심판 청원을 받아들이며, 헌법 윤리 위반 여부를 심리하고, 판결 때까지 총리 직무 정지를 명령했다”고 보도했다. 패통탄은 지난달 15일 캄보디아 실권자인 훈센(Hun Sen, 74) 전 총리와 9분여간 통화에서 그를 ‘삼촌’이라 부르며, 분씬 팟깡 타이군 제2군 사령관을 험담했다. 온라인에 유출된 통화 녹음에서 그는 “분씬 사령관이 반대 진영에 속한 인물이다. 우리 의도와 다른 반대편 사람들의 말을 듣고 분노하거나 좌절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제2군 사령관은 멋있어 보이고 싶어한다. 그가 하는 말은 국가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우리는 국경에서 충돌이 일어나기 전의 평화를 원한다”고도 했다. 통화 유출 직후인 6월 19일, 연립정부의 주요 보수 파트너이자 제2당인 품짜이타이당이 연정 탈퇴를 선언하면서 일순간에 패통탄 내각은 존립 위기에 놓였다. 패통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재신)는 한국수입협회와 협력하여 오는 5월 20일부터 23일까지 라오스 비엔티안과 태국 방콕에서 무역 활성화 미션을 개최한다. 이번 미션은 한국과 양국 간 무역 및 투자 활성화를 목표로, 기업 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경제 및 시장 동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한-라오스와 한-태국 수출입에 관심 있는 기업 관계자를 초청하여 △비즈니스 포럼 △비즈니스 매칭 △산업 시찰 등을 진행한다. 식음료, 산업자재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한국 기업 20개사를 포함해 라오스와 태국에서 각각 30여 개 기업이 참여한다. 센터는 이러한 미션을 지속적으로 추진함으로써 한-아세안 무역∙투자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5월 20일 열리는 한-라오스 비즈니스 포럼은 개회식을 시작으로 총 3개의 발표를 통해 양국의 무역 투자 동향 및 정부 정책 등을 살펴보고 네트워크 강화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개회식에서는 김재신 사무총장과 김대영 한국수입협회 부회장의 개회사 후, 라오스 산업통상부 비투온 시티몰라다 국장의 환영사와 주라오스 한국대사관 정영수 대사의 축사가 있을 예정이다. 이어서 라오스 산업통상부와 라오스 상공
베트남과 태국이 외교 관계 50주년을 앞두고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로 공식 격상되었다. 두 나라는 5월 16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베트남 팜민찐(Pham Minh Chinh) 총리와 태국의 패통탄 시나왓(Paetongtarn Shinawatra) 총리의 제4차 베트남–태국 공동 내각회의 직후 발표했다. 아세안 국가 간 최상위 외교 수준의 관계 설정이다. 두 나라는 2025~2030년을 아우르는 실천적 이행계획 수립에 곧 착수한다. 태국은 베트남이 통일한 후 아세안에서 최초로 베트남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국가 중 하나다. 2004년 탁신 시나와트라 태국 총리가 이끄는 공동 내각회의 기제를 수립한 유일한 국가이다. 2013년에는 베트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최초의 아세안 국가다. 팜밍찡 총리는 “이번 격상은 양국 우정과 전략적 신뢰에 기반해 지역 협력의 큰 물결로 이어질 것”이라며, ‘동남아 평화·안정·번영’에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패통탄 총리는 “11년 만에 이뤄진 태국 총리의 베트남 공식 방문은 단순한 외교가 아니라, 양국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연결하는 실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