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개발을 위한 파운드리(위탁생산)와 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 업체 선정을 앞두고 있다. 지난 6월 말 DSP 업체를 대상으로 입찰(비딩)을 진행한지 약 6개월 만이다. 12월 19일 현대자동차는 비딩에 참여한 DSP 업체들에게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젝트 선정 결과를 12월 중 발표하겠다고 공지했다. 연말 연휴기간을 고려하면, 2025년 1월 중 계약이 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통상적으로 DSP 업체 비딩 후 선정까지 3~4개월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대차는 파운드리와 DSP 업체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해석된다. 비딩에 참여한 DSP 업체는 ▲에이디테크놀로지 ▲가온칩스 ▲세미파이브 ▲코아시아 등 삼성전자 파운드리 DSP 파트너와 ▲GUC ▲에이직랜드 등 TSMC 밸류체인얼라이언스(VCA) DSP 업체들이다. 현대자동차는 삼성전자와 TSCM의 공정을 두고 비교했으나 TSMC의 공정비용이 삼성보다 높다는 의견이 우세하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 반도체용 지식재산(IP)은 범용 반도체나 AI용 반도체 IP 보다 사용료가 더 비싸다. 자동차는 스마트폰, PC, 서버 시장에 비해 출하량이 적은데다 생명과 직결된 산업인
지난 12월 4일 블룸버그통신은 네덜란드 반도체 회사 ‘NXP반도체’와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 계열사 뱅가드국제반도체그룹(VIS)이 합작 투자한 반도체 실리콘 원판(Wafer) 공장이 착공했다고 보도했다. 앤디 미칼레프 NXP 부사장은 착공식에서 “싱가포르는 매우 중요한 위치”라며 “2030년까지 2단계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유럽 반도체 제조 업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자동차(EV)·통신 시장인 중국에서 공급망을 확대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이번 결정은 미중무역분쟁의 격전지로 꼽히는 반도체 분야에서 칩 생산지를 여러 곳으로 분산하기 위함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지난 12월 2일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반도체 중국 수출 제한을 강화하자 중국은 원자재 미국 수출을 막으며 맞불을 놨다. 블룸버그는 2027년부터 이 웨이퍼 공장에서 TSMC만큼 최첨단은 아니지만 자동차・모바일 제품 등에 쓰는 130~40나노미터(1㎚=10억분의 1m) 칩을 생산할 것으로 분석하면서 일자리 1,500여개가 생길 것으로 예상했다. 동남아시아 지역은 인건비가 저렴한 데 비해 인력은 풍부하고, 아시아 주요 소비 시장과 가까워 기술
일본 경제전문지 닛케이 신문은 일본 반도체 보조금의 지원 조건으로 기업의 10년 이상 생산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장기 생산을 계획을 가지고 일본 자국 내 반도체 공급과 고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보조금을 지급한다는 의지다. 2021년 12월 열린 일본 참의원 본회의에서 반도체 공장 건설 지원에 관한 개정안과 보조금을 포함한 추가경정예산이 통과됐다. 관련 법령은 2022년 3월 중순부터 시행되며 10년 이상 반도체 생산 등 조건을 규정한 경제산업성 정령이 1월 내 공개 의견 수렴을 시작한다. 경제산업성 정령은 장기 생산 외 반도체 수급 긴장 시 증산, 반도체 기술 해외 유출 방지, 공장 소재 지역 고용 확보 등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산업성은 반도체 기업이 제출한 공장 건설 계획을 인증하고 보조금을 지급한다. 보조금을 받은 기업은 단기간에 생산을 중단하거나 규정을 위반하게 될 경우 일본 정부는 기업에 보조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다. 우선 대만 TSMC가 소니와 협력해 구마모토현(熊本县)에 건설하는 신규 반도체 공장에 4000억 엔(원화 약 4조 1496억 원)을 지원받는다. 신규 반도체 공장은 2024년 말 이전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
글로벌 기업 인텔(Intel)이 애리조나 주(Arizona State)에 200억 달러(원화 약 23조 5700억 원)를 투입해 팹 52(Fab 52) 반도체 공장과 팹 62(Fab 62) 반도체 공장을 설립한다. 공장 설립이 완료되면 애리조나 주 챈들러 오코틸로 캠퍼스에 있는 인텔 반도체 공장은 총 6개로 늘어나게 된다. 양산 목표는 2024년으로 두 공장은 미국 반도체 입지를 제고하는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24일 공장 착공식에서 인텔 팻 겔싱어 CEO는 “반도체 공급망이 유연성을 갖추면서 미국 유일한 첨단 반도체 기업으로 반도체 리더십을 되찾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외부 고객에게 생산량을 판단하기는 이르지만 매주 수 천 개에 달하는 웨이퍼를 생산할 것”이라면서 “연말까지 또 다른 반도체 산업 단지 건설 계획을 발표해 향후 반도체 공장이 8곳으로 늘어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경쟁기업인 삼성전자는 미국에 170억 달러(원화 약 20조 345억 원)을 투입해 파운드리 제2공장 부지를 선정 중에 있다. TSMC도 애리조나 주에 360억 달러(원화 약 42조 4260억 원)을 투입해 반도체 생산랑니 6개를 증설할 계획이다.
글로벌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가 일본에 공장 건설을 고려 중인 가운데, 일본 정부가 공장 유치를 위해 자금 지원을 위한 펀드 조성을 고려 중이다. 지난 10월 16일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반도체 제조사 설립 펀드 설립을 통해 일본내 반도체 산업에 이바지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 10월 14일 대만에 본사를 둔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는 2024년 양산을 목표로 일본에 반도체 공장을 건설할 계획을 밝힌 가운데 구마모토현(熊本县)에 가전‧자동차용 반도체 공장을 지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교도통신은 TSMC가 공장 건설에 8000억 엔(원화 약 8조 2966억 원)을 투입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일본 정부가 절반에 해당하는 금액을 보조금으로 지원 하도록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반도체는 모든 전자 장비에 사용되며 공급망 강화는 국가적 과제로 일본 정부 내에서는 조건을 충족하는 반도체 제조사에 보조금 지원을 위해 펀드를 조성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지원 대상은 TSMC뿐만 아니라 일본에 생산 거점을 두려는 기업도 포함되는 것으로 보이며, 지원 방안 세부 사항을 정리한 이후 중의원 선거
전 세계가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곤란을 겪는 가운데 일본 반도체 제조사가 파운드리 증설 계획을 발표했다. 일본 반도체 제조기업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는 2023년까지 자동차 제어 등에 사용하는 MCU(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생산량을 확장할 계획이다. 지난 9월 30일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는 경영 설명회에서 2023년까지의 반도체 생산 능력 전망을 발표하고 반도체 파운드리의 생산라인을 고성능 MCU는 1.5배, 저가형 MCU는 1.7배 늘린 것이라고 발표했다.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ctronics)는 자체 생산능력 확보를 2021년에는 800억 엔(한화 약 8557억 3600만 원), 2022년에는 600억 엔(한화 약 6418억 200만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 3월 화재가 발생했던 니카 공장 복구에도 800억 엔(한화 약 8557억 3600만 원)이상을 투입하고 2022년에도 600억 엔(한화 약 6418억 200만 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가 지속되면서 6월 말을 기준으로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Renesas Ele
외국인 투자자들의 강력한 순매수세가 삼성전자로 몰려들면서 삼성전자의 동학개미들이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이달 들어 삼성전자를 매수하던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는 1조 이상으로 전환됐다. 이는 삼성전자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업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18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9월 들어 17일까지 외국인들이 삼성전자 주식을 순매수한 금액은 1조 1347억 원으로 주식수는 1475만 주다. 2020년 11월 1조 4366억 원(2371만 주) 이후 무려 10개월 만의 매수 우위세다. 2020년 당시에는 반도체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나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해 반도체 가격이 폭등하면서 외국인 매수세 늘어났다. 이에 한 달 넘게 7만원대를 유지 중인 삼성전자 주가도 조금씩 오르고 있다. 8월 20일 7만 2500원까지 떨어진 삼성전자 주가가 회복세에 접어들더니 추석 연휴 직전인 지난 17일에는 7만 7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 TSMC가 독일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TSMC의 반도체 생산 능력의 90%가 대만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전세계 반도체 부족 사태에 TSMC가 사업 확장에 나서는 중이다. 닛케이 아시아를 비롯한 일본 매체들은 TSMC가 일본에 반도체 공장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나, TSMC 측은 일본에서 생산하는 것은 대만보다 훨씬 비싸다면서 이에 대해 부정했다. 미국에서 TSMC는 35억 달러(한화 약 4조 264억 원) 규모의 자회사 설립을 이사회에서 승인하고 애리조나 주에서 자회사의 본사를 설립해 2024년 가동을 목표로 120억 달러를 투입해 반도체 공장을 건설 중에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연례 주주총회에서 TSMC 류더인 회장이 독일에 TSMC 반도체 공장 설립을 고려 중이라며 모든 결정을 고객 수요에 따라 결정할 것 이라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