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에너지부(DOE)가 한국 ‘SK온’과 미국 ‘포드자동차’(Ford)의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 블루오벌SK(BlueOval Sk)에 대한 약 13조 8,000억 원 규모의 정책지원자금 대출을 최종 승인했다. 지난 12월 13일 미국 에너지부(DOE)는 블루오벌SK를 대상으로 한 96억 3,000만 달러(원화 약 13조 8,0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 차입을 최종 승인했다고 밝혔다. 금리는 미국 국채금리 수준이다. 이번 금융지원은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에 따라 이뤄졌다 ATVM은 자동차와 관련 부품 제조 사업에 저금리로 대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2007년 미국 에너지독립안보법에 따라 제정됐다. 블루오벌SK는 지난 2023년 6월 ATVM 정책자금 차입의 조건부 승인을 얻었으며, 이후 기술력과 시장 영향력, 금융,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적격성 평가를 거쳐 계약을 완료하게 됐다. 최종 승인 대출 금액은 조건부 승인 당시 발표된 92억 달러(원화 약 11조 8,000억 원)보다 많은 것으로, 바이든 정부의 전기차 관련 대출 프로그램 중 제일 큰 규모다. 이에 따라 블루오벌SK의 미국 내 배터리 생산공장 구축도 계획대로 진행될 전망이
미국의 포드자동차가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크빌 공장의 대형 SUV 전기차 양산을 비롯해 북미 지역의 일부 전기차 출시 계획을 당초 계획보다 1~2년 연기한다고 밝혔다. 지난 4월 4일 포드는 보도자료를 내고 캐나다 온타리오주 오크빌 공장에서 양산할 예정인 3열 SUV 전기차의 출시 시기를 당초 예정했던 2025년에서 2027년으로 2년 늦추기로 했다고 밝혔다. 2023년 18억 캐나다 달러(원화 약 1조 8,000억 원)를 투입해 내연기관차 조립공장인 오크빌 공장을 전기차 생산단지로 전면 개편한 포드는 양산 계획 연기와는 별개로 오크빌 공장을 전기차 공장을 전기차 생산단지로 개편하는 작업은 예정대로 2024년 2분기 중 착공할 계획이다. 추가적인 시간을 통해 3열 전기차 소비자 시장이 더욱 발전하고 포드가 새로운 배터리 기술을 활용할 예정이다. 미국 테네시주에서 건립중인 신설 공장은 2025년부터 양산 예정이던 신형 전기차 픽업 트럭은 2026년으로 연기한다. 전기차 전환 속도의 조절은 전기차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을 따른 결정으로 해석된다. 포드의 존 롤러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23년 실적 발표에서 가격 하락 압박을 이유로 신규 전
도요타가 태국에서 1월부터 10월까지 3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가장 많이 팔린 차가 되었다. 더 내이션에 11월 25일자에 따르면 전체 시장은 전년 동기 대비 7.5% 감소한 64만5833대가 판매됐다. 10월에는 58,963대가 판매되어 전년 동기 대비 8.8% 감소했다. 자동차 판매가 감소한 것은 코로나 이전 수준을 아직 회복하지 못한 경제 상황이 일부 작용했다. 소비자들은 구매 결정을 계속 미루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신용 연장에 대한 금융기관들의 엄격한 입장이 장애물이라고 말했다. 특히 상업용 차량 시장과 1톤 픽업 트럭 부문에서 대출자의 신용도에 대한 우려가 있다. 여기에는 자금 조달이 매출을 견인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매출액 기준 태국 10대 자동차 브랜드(2023년 1월~10월): 도요타: 220,144대, 이스즈: 131,256대, 혼다: 77,188대, 포드: 31,329대, 미쓰비시: 28,280대, MG: 22,293대, BYD: 21,865대, 마즈다: 14,709대, 닛산: 13,886대, 네타 : 10,565대
일본 자동차 90%, 도전자 ‘현대’ 전기차가 어떤 승부수를 띄울까? 2023년 4월까지 태국에서 생산된 자동차 판매순위에서 도요타 하이럭스가 6만 4,228대(-7.2%)가 판매되어 1위를 수성했다. 포커스2무브(focus2move)가 6월 30일자에 따르면 지역별 베스트셀링카 순위을 보면 도요타 하이럭스에 이어 이스즈 디맥스가 5만 9,664대(-8.0%)의 누적 판매량으로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미쓰비시 엑스팬더가 3만 4,797대(+13.3%) 판매되며 3위였다. 도요타 아반자가 2만 5,875대(+23.4%), 혼다 시티가 2만 4,832대(-24.4%)가 신규 등록되어 4위와 5위였다. 6위는 2만 4,236대가 판매된 포드 레인저(+24.0%), 도요타 포투너(5계단 상승)가 2만 3,586대(-12.6%) 7위, 혼다 HR-V(13계단 상승)가 2만 2,755대(+99.8%)로 8위였다. 순위표의 마지막을 장식한 도요타 야리스 아티브는 올해 2만 1,289대 판매(+153.2%)로 22계단 상승한 9위, 혼다 브리오는 2만 713대 누적 판매(-2.2%)로 4계단 하락한 10위를 기록했다. 이처럼 태국 자동차 시장은 1위를 비롯해 3위와 4
미국 포드 자동차가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광물인 니켈의 처리시설에 약 6조 원 가량을 투자한다. 지난 3월 3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도네시아의 술라웨시섬의 대형 니켈 광산을 소유한 PT발레 인도네시아, 제련회사 중국 저장화유코발트, 미국 자동차 기업인 포드가 니켈처리시설에 45억 달러(원화 약 5조 8,000억 원)을 투자한다고 보도했다. 포드가 투자한 인도네시아 니켈 처리시설은 2026년부터 가동을 시작해 연 200만 대의 전기차 생산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원자재를 수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대 니켈 보유국인 인도네시아는 채굴 비용 또한 타 국가에 비해 저렴한 데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니켈의 원광 수출을 금지해 처리시설을 인도네시아 국내에 지어야만 한다. 포드 뿐 아니라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 역시 인도네시아에 배터리셀 공장을 만들어 2024년부터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고, 폭스바겐도 중국 제련회사와 함께 인도네시아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이 인도네시아의 열대우림에 주로 매장된 니켈의 채굴이 환경을 파괴하고 니켈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선광 부스러기가 물을 오염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리사 드레이크 포
미국 자동차 산업의 빅3(Big3) 중 하나인 포드(Ford)가 전기자동차에 대대적인 투자 계획을 밝혔다. 또다른 빅3 중 하나인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가 얼티엄 플랫폼을 통해 전기자동차로의 전환 계획을 밝힌 데 이어 포드가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에 대해 공격적으로 나선다. 포드는 2025년까지 전기자동차와 자율주행차에 총 290억 달러(한화 약 32조 4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밝혔다. 전기자동차에 220억 달러(한화 약 24조 6000억 원)를, 자율주행차에 70억 달러(한화 약 7조 8000억 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기존에 포드는 2022년까지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차 부문에 115억 달러(한화 약 12조 9000억 원)의 투자 계획을 밝힌 바 있지만, 현재 밝힌 규모는 기존 계획의 2배에 달한다. 짐 팔리 포드 CEO는 전기차 영역에 포드의 역량을 집중해 커넥티드 전기차 영역에서 리딩 기업의 위치를 차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성명을 통해서 배터리 역량을 확대하는 것은 물론 더 많은 전기차를 미래 포트폴리오에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포드의 전기차 계획은 2가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하나는 경쟁사인 GM의 전
미국 3대 자동차 기업 중 한아니 포드가 3분기 성과로 4조 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크라이슬러, GM과 함께 미국 자동차산업 빅3로 손꼽히는 포드(Ford)는 3분기 매출 347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9조 3264억 원)을 달성했고 순이익은 36억 달러(한화 약 4조 7898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주당 65센트(한화 약 736 원)을 기록한 것이고 전년 동기 순이익 4억 달러(한화 약 4532억 원), 주당 11센트(한화 약 124원)과 비교해 크게 개선된 지표임을 알 수 있다. 시장은 포드의 매출을 335억 1000만 달러(한화 약 38조 원), 주당 19센트(한화 약 215 원)으로 예상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팬데믹이 불러올 충격과 글로벌 수요 둔화 등으로 부진이 예상된 것이었으나, 포드에 새로 부임한 짐 팔리 CEO가 비즈니스 청사진과 성과를 통해서 결과를 내보이고 있다. 짐 팔리 CEO는 2022년에 4세대 자율주행자동차를 출시할 것이라고 선언하고 준중형 SUV인 ‘이스케이프’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차량을 공개했다. 이스케이프는 포드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스타트업 아르고 AI와 개발중인
세계 최대 자동차 기업을 보유한 미국에서 자동차 생산이 멈춘다. GM(General Motors), 포드(Ford, FCA(Fiat Chrysler Automobile)는 물론이고, 미국 내 현대‧기아 자동차도 생산을 일시 중단한다. 미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감염자가 증가하면서 미국 노조인 유나이티드 오토 워커스(United Auto Workers, UAW)는 자동차 생산 라인 근로자가 위험에 노출된다며 최소 2주간의 폐쇄를 요구했다. AP 통신에 따르면, UAW의 의장 로리 겜블(Rory Gamble)는 “부품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겪고 있는 현실에서 생산라인의 노동자들이 위험에 노출될 필요는 없다.”라며 자동차 생산 라인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에 빅 3(Big 3)로 불리는 GM, 포드, FCA는 3월 30일까지 2주간 공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공장의 임시 폐쇄조치로 15만 명의 노동자들의 유휴 상태에 들어가게 된다. 한편, 알리바마 주에 공장을 설치한 현대‧기아잗종차 공장 역시 직원 1명이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이면서 가동을 중단했다. 현대의 알리바마 공장에서 엔진을 조달받는 기아의 조지아 공장 역시 생산을 함께 중단했다. 미
"자동차 생산량 늘리고 싶지만 부품이 너무 부족해...." 생산량 증가에 나서려던 베트남 자동차 업계가 부품 수급으로 인해 일정에 차질을 겪을 예정이다. 지난해 판매량이 역대 최고 41만대가 팔리면서 최대 활황을 했지만 정작 '코로나19' 사태로 낙담하는 상황이 되었다. 중국 자동차 부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현실에서 코로나 19로 인해 부품 수급이 원활하지 않은 '암초'를 만났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의 고속질주를 코로나19가 막으면서 생산까지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 확장을 고려한 베트남 자동차 업계 베트남 자동차 업계는 2019년 판매량 증가에 힘입어 대대적으로 생산량 증가에 나설 계획을 세웠다. 국내 내수부터 해외 수출까지 전방위적으로 공략에 나설 절호의 기회가 온 것이다. 그런데 정작 발목을 잡은 것은 다름 아닌 코로나19이었다. 베트남의 삼성으로 불리는 빈 그룹(Vingroup)의 빈패스트(Vinfast)는 2019년 3개 자동차 모델을 판매에 들어갔다. 2019년 1만 7214대의 주문을 받아 1만 5300대가 생산을 완료했다. 2020년에는 Lux V8 모델을 비롯해 3개의 신모델과 전기 버스 생산 계획과 기술지원센터를 호주에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