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8일 국세청은 민간 기업 최초로 CGV와 세금포인트 사용처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CGV가 운영하는 전국 193개 영화관(청담씨네시티점 제외)에서 2포인트의 세금포인트로 관람료 2,000원을 할인받을 수 있게 됐다. 할인 혜택을 받으려면 모바일 손택스에서 영화 할인쿠폰(매월 5,000장 한도)을 발급받아 CGV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예매를 할 때 사용하면 된다. 국세청은 “이번 사용처 확대를 계기로 더 많은 국민들이 세금포인트를 적극 활용하고 영화산업 발전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금 포인트는 국세청이 개인‧법인 소득세의 납부세액 기준으로 중소기업 등 법인과 개인 납세자에게 적립해주는 점수다. 납부세액 10만원당 1점이 적립된다.
“한국 영화 ‘육사오’ 흥행이 한몫했어요.” CGV 베트남이 올해 3분기에 하루 평균 36만1000달러(약 4억8000만원) 이상의 박스오피스 수입을 기록했다.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매출은 3360만달러(약 449억원)로 지난해 대비 50배 증가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보다도 소폭 증가한 금액이다. CJ CGV는 한국과 베트남, 인도네시아에서 흑자를 기록하며 코로나 이후 처음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베트남은 한국과 중국에 이어 CJ CGV의 세 번째로 큰 시장이다. 동남아에서 CGV는 베트남을 제외하고 인도네시아서만 운영하고 있지만 매출과 이익은 각각 40%, 32% 낮다. 지난 3분기 동안 가장 흥행했던 작품은 애니메이션 ‘미니언즈2’와 한국 영화 ‘육사오’다. ‘미니언즈2’는 810만 달러(약 108억 원), ‘육사오’는 730만 달러(약 97억5000만원)의 수입을 올렸다. 한국 영화 ‘육사오’를 흥행시켜 베트남 영화산업에 새 역사를 썼다. 지난 8월 개봉해 국내에서 197만 관객을 끌어모은 ‘육사오’는 베트남에서 최근 21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지난 9월 23일 베트남에서 개봉한 뒤 열흘 만에 132만 관객을 동원해 ‘반도’(120만
다날핀테크가 이마트24, CGV와 페이코인(PCI) 결제 서비스 제휴 계약을 체결했다. 신세계 그룹의 편의점 브랜드인 이마트24와 CJ그룹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CGV와의 제휴를 통해 전국 4500여 개의 이마트24 매장과 전국 200여 개의 CGV 영화관에서 페이코인 결제가 가능해진다. 이마트24는 3월 말, CGV는 4월 말부터 페이코인 결제를 선보일 예정이다. 다날핀테크가 개발한 페이코인(PCI)은 편의점 브랜드인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에서 이미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이마트24가 추가되어 국내 4개 편의점 브랜드로 사용처가 확대됐다. 여기에 CGV가 포함되면서 대중 문화‧예술 영역도 결재권에 포함됐다. 다날핀테크는 “이번 이마트24와 CJ CGV와의 제휴를 통해 완전한 페이코인 결제 네크워크에 한 걸음 더 다가가게 되었으며, 페이코인을 보유한 고객들은 더 다양한 영역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게 됐다. 향후 페이코인 서비스를 가상자산의 결제 뿐 아니라, 다양한 포인트들의 교환 및 쇼핑 등 커머스 영역까지 확대하여 가상자산기반 플랫폼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베트남 소비자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한국 자동차와 은행과 연예기획사는? 윤보나 KOTRA 베트남 호치민무역관이 현장에서 인터뷰서 확인한 한국 브랜드 선호를 소개했다. 가장 떠올린 ‘최애(最愛, 가장 사랑하는)’ 자동차 브랜드는 현대였다. 그리고 다른 분야에서 신한은행, 롯데, CGV, YG엔터테인먼트 등이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운송수단 관련 한국 브랜드 인지도는 현대(68%), KIA(43%)에 집중됐다. 해당 설문조사는 코로나19 발생 전(2019년 11월 말)에 진행됐다. ■ 기아-현대는 경제적인 가격 자동차 브랜드...혼다-야마하-빈패스트-스즈키 오토바이 같이 판매 ‘이동수단(자동차, 항공사 등) 한국 브랜드’는 응답률이 가장 저조한 동시에 응답자들이 즉답에 곤란함을 표했던 질문이다. (245명 중 185명이 응답해 응답률은 75.5%) 185개 응답 중에서도 한국 브랜드로 잘못 기재한 응답(Yamaha, SYM, Mazda 등)은 26건으로 화장품, 전자기기, 식품 등의 다른 소비재와 비교해 이동수단 관련 한국의 브랜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운송수단 관련 한국 브랜드 인지도는 현대(Hyundai, 68%), KIA(43%)에 집중됐다.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