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기업들이 직원을 빌려쓰는 ‘직원 공유’가 유행하고 있다. 일본 경제미디어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전자제품 양판기업인 노지마는 600여 명의 신규 직원을 항공사와 호텔 등 관광업계에서 받아들였다. 11월 중순부터는 수용해온 직원들을 1주일의 교육 기간을 거친 후 판매부문과 콜센터에 배치했다. 또한 2021년 봄에 전일본공수(ANA)와 일본항공(JAL)에 300명을 받아들일 계획이며, 비즈니스호텔 체인인 토요코인 등에서 최대 300여 명의 직원을 받아들이기 위해 협상 중이다. 일본항공의 공항 근무자들이 노지마(NOJIMA) 파견에 동의했고, 파견 직원들은 각종 보너스와 월 급여를 기존과 동일한 수준으로 보장된다. 계약 기간은 6개월에서 1년이며, 계약 기간 동안 노지마와 JAL은 공동으로 임금을 부담하고 지급 급여가 부족하다면 JAL이 보전하게 된다. 또한, 인재 파견 서비스 기업 파소나 그룹은 12월부터 항공, 여행, 호텔 등 업계 직원을 모집할 예정이다. 일본은 엔고 현상으로 경제 불황이 발생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까지 고용 유지 수단으로 업종 간 인력 교류가 적극적으로 활용됐던 적이있다.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일본 기업들이 중국 보안 로봇으로 경비 부족을 해결한다. 일본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세이코 일렉트로닉, 니시케이(Nishike), NTT 도코모 규슈 지사 등이 5G 보안 로봇 ‘SS01'을 테스트했다. 후쿠오카현(福冈县) 고가시(古贺市)에 위치한 세이코 일레긑로닉 공장에서 내부 순찰 테스트를 실행한 SS01은 이상현상을 감시하면 카메라로 현장 영상을 촬영해 경비실에 실시간으로 현장 화면을 전송한다. 높이 160cm의 SS01은 1회 충전에 8시간을 이동할 수 있고 시설 지도를 입력해 순찰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세이코 일렉트로닉 관계자는 “로봇은 공장 내부와 사무실을 자율적으로 이동하면서 이상을 감지하면 경보가 울린다”라면서 “이번 테스트 목적은 5G를 통해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로봇을 원활하게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니시케이 관계자는 “일본 경비 업계의 일손 부족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면서 “앞으로 보안 로봇을 공장과 사무실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표시했다.
일본 시즈오카 대학과 도쿄 공업대학 연구팀이 전고체 배터리(All-Solid-State battery) 전해질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 분자 결정을 개발했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두 대학 연구팀은 낮은 온도에서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기 분자 결정을 개발해 영하 이하의 겨울철 최저 기온이나 한랭지역에서도 전기차를 운용할 수 있게 됐다. 차세대 배터리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해질이 고체로 된 2차 전지다. 전해질이 불연성 고체이기 때문에 발화 가능성이 낮아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해질은 액체로 에너지 효율이 좋지만 공기와 접촉하면 발화 위험이 있어 전기차가 사고 이후 화재 등 안전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두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전해질은 상온에서 기존에 개발된 분자 결정 전해질과 최대치가 같지만 영하 20도에서는 전도율이 기존 전해질의 100배에 달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 전해질은 추운 지역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어 순수 전기차용 전고체 배터리 재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제조 공정은 리튬비스마이드와 석시노나이트릴을 가열한 이후 상온까지 냉각하면 단결정을 얻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언택트 수요가 증가하면서 일본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일본 음식 배송 서비스 시장이 급증하면서 일본 요식업도 배송 바람이 부는 중이다. 닛케이 신문에 따르면, 음식 배송 서비스 플랫폼의 관련 종사자 수가 4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원 종업원들은 줄어들고 배송업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중이다. 기존 음식 배송 서비스는 우버 잇츠(Uber Eats)와 데마에칸(出前馆)이 양분하고 있었으나 메누(Menu), 참피(Chompy)의 SYN 등 새롭게 서비스를 시작하는 기업들이 늘었다. 한국에서는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배달통 등으로 배송 시장을 장악한 독일의 딜리버리 히어로(Delivery Hero)도 자회사인 푸드판다(Foodpanda)를 통해 일본에 진출했다. 일본은 정규직이 아닌 개인 사업자 형태로 참여하거나 여러 서비스 플랫폼에 개개인이 등록된 형태로 배송업에 참여한다. 한국의 택배 사업자가 개인 사업자들로 구성된 것과 유사한 형태다. 가장 많은 배달원을 보유한 플랫폼은 메누로 지난 8월 기준 3만 5000여 명이 등록되어있고 데마에칸은 6000여 명, 참피는 1000여 명이 등록됐다.
일본의 투자회사 소프트뱅크 그룹이 브라이트스타(Brightstar)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미국의 휴대전화 유통업체인 브라이트스타를 사모펀드인 브라이트스타 캐피털 파트너스(Brightstar Capital Partners)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구체적인 매각 대금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 신설 자회사의 지분 25%를 받는 조건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브라이트스타의 가치는 10억 달러(한화 약 1조 16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브라이트스타의 매각은 정부 규제를 비롯해 각종 관습법의 적용을 받아 2021년 3월 중에 마무리 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 소프트뱅크는 공격적인 자산 매각에 나서고 있다. 이미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의 주식과 미국 이동통신사 T-모바일의 주식을 매각헀고,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NVIDIA)에 반도체 펩리스 기업 ARM을 매각하는 빅 딜(Big Deal)도 성사켰다. 소프트뱅크 그룹 손정의 회장은 소프트뱅크의 보유 자산에 비해 저평가 받는 소프트뱅크 가치에 불만을 가지고 자사주 매입을 통한 일본 증권에서 상장폐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