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5일 SK하이닉스는 실적발표회를 열고 2024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기업용 SSD(eSSD) 등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 급증을 통해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다. 2분기 실적은 매출 16조 4,233억 원, 영업이익 5조 4,685억 원(영업이익률 33%), 순이익 4조 1,200억 원(순이익률 25%)를 기록했다. 이는 증권가에서 컨센서스한 2분기 실적 전망치인 매출 16조 1,886억 원, 영업이익 5조 1,923억 원을 상회한 기록이다. 이전 역대 최대 실적은 2022년 2분기 매출액인 13조 8,110억 원을 상회한 것이며, 2018년 2분기 영업이익인 5조 5,739억 원과 3분기 영업이익 6조 4,724억 원 이후 6년 만의 5조 원대 실적을 달성한 것이다. ◆ 효자상품이 HBM, D램, eSSD 등 AI 메모리 지난 3월부터 양산에 들어간 D램은 5세대 HBM3E와 ECC 서버 D램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비중이 확대됐다. HBM D램 매출은 2024년 1분기 대비 80% 상승했고 2023년 2분기 대비 250% 이상 증가했다. 낸드 플래시는 eSSD 모바일용 제품 위주로 판매
지난 7월 24일 삼성바이오로직스(이하 ‘삼성바이오’)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2021=3년 2분기 대비 모두 상승했는데, 이는 공장 가동률 상승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순항의 영향으로 관측된다. 2분기 매출액은 1조 1,569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대비 33.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345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영업이익 대비 71.5% 증가했다. 실적 상승의 원인은 대규모 수주에 기반한 4공장의 원활한 램프업(가동률 증가)와 바이오시밀러 품목허가에 따른 마일스톤(단계적 기술료) 수령, 우호적인 환율 환경이 실적 개선 배경으로 꼽힌다. 삼성바이오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8,102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대비 27% 증가했다. 별도기준 영업이익은 3,292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대비 30% 증가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2024년 2분기 매출액은 5,299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대비 107% 증가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2,571억 원으로 2023년 2분기 대비 514% 급등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하반기 4공장 가동률 상승과 바이오시밀러 사업 매출 확대 등 분기별 안정적인 실적 성장을 바탕
LG유플러스가 차량용 게임 서비스를 통해 차량 이용 고객에게 차별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차량용 게임 시장 개척에 나선다.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가 새롭게 개발한 웹 기반 차량용 게임 서비스 '게임포탈'이 기아의 전기차 대중화 전략 모델인 더 기아 EV3를 통해 처음 상용화됐다. 이번에 LG유플러스가 개발한 게임포탈은 차량용 게임 서비스로, 국내 브랜드 차량에서 제공하는 것은 이번이 최초다. 현대차·기아와의 협업을 통해 상용화된 게임포탈은 웹 형태를 기반으로 제작돼 개별 게임 앱을 다운받지 않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아케이드 게임'이라는 명칭으로 더 기아 EV3에 적용된 게임포탈은 모바일 게임 전문기업 '모비릭스'의 인기 게임인 '타워디팬스킹', '벽돌깨기퀘스트', '마블미션' 등을 비롯해 총 8종의 게임을 제공한다. 모두 짧은 시간에도 터치만으로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캐주얼 게임 종류다. 이용을 희망하는 고객은 본인 계정으로 로그인한 '기아 커넥트 스토어' 웹페이지에서 아케이드 게임의 디지털 사양을 구매하면 된다. 안전을 위해 운행중에는 조작할 수 없으며, 잠깐 정차중이거나 충전을 위해 대기할 때 많이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LG유
지난 7월 8일 현대캐피탈이 총 1,000억원 규모의 ‘지속가능연계채권’(SLB)을 성공적으로 발행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7월 현대캐피탈이 지속가능연계채권을 국내 최초로 발행한 이후 2번째 발행한 채권이다. 2년물 단일 트렌치로 구성돼 있다. 대표 주관사와 인수단은 키움투자증권이 단독으로 맡았다. 지속가능연계채권은 ESG 채권 중 하나로, 발행사가 사전에 지속가능성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투자자에게 일정 수준의 프리미엄을 제공한다. 특히 지속가능연계채권은 다른 ESG 채권과 달리 사후 관리를 통해 목표 달성 여부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그린워싱(Green Washing)을 방지할 수 있어 미국과 유럽 등에서 활발히 발행되고 있다. 현대캐피탈은 이번 지속가능연계채권 발행에서 2025년 말까지 2년간 전체 자동차 신차할부와 임대상품의 취급 건 수 중 전기차 등 친환경차의 비중을, 현대자동차그룹 내수판매 중 친환경차 비중 대비 2.8% 이상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현대캐피탈은 투자 기간 동안 연 0.02%P(2BP)의 프리미엄을 투자자들에게 추가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목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기
지난 6월 22일 롯데카드가 신규 롯데 법인카드 BI(Brand Identity)를 런칭하고, 이를 적용한 첫 신상품인 ‘로카 코퍼레이트(LOCA Corporate)’ 프리미엄 법인카드 2종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롯데카드는 롯데 법인카드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신규 법인카드 BI인 로카 코퍼레이트(LOCA Corporate)를 런칭했다. 새로운 BI와 함께 ‘Carefully Professional’(케어풀리 프로페셔널)이라는 브랜드 슬로건도 선보였다. 롯데카드의 새 슬로건은 법인회원에게 최적화된 상품・시스템 기반의 전문성과 사려 깊은 고객 케어를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롯데카드는 이번 신규 법인 BI 론칭과 함께 이를 적용한 프리미엄 법인카드 상품인 ‘로카 코퍼레이트 제우스(LOCA Corporate Zeus)’ 카드와 ‘로카 코퍼레이트 포세이돈(LOCA Corporate Poseidon)’ 카드를 선보였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롯데 법인카드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하고자 이번 신규 법인 BI 론칭 및 신상품을 선보였다.”며 “브랜드 키워드인 Careful(케어풀), Professional(프로페셔널)에 맞게 법인회원 별
김밥집? 양재역 5번 출구에서 말죽거리 방면으로 60미터 내려가면 서브웨이가 나온다. 여기서 SPC 사옥에 다다르기 전에 오른쪽으로 다이소 간판이 세워져 있다. 다이소 입간판 바로 너머에 초록색으로 칠해진 매장이 산뜻하다. 서브웨이의 초록보다는 밝고 연한 색이다. 간판은 영어로 “이풀리(efully)” 라고 적혀 있다. 겉으로 봐서는 샐러드 카페나 패스트푸드점 같다. 유리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가니 깔끔하고 환한 매장에 20~30대의 여성들이 식탁에서 대화를 나누며 맛의 즐거움을 더하고 있다. 2대의 키오스크에는 주문을 하기 위해 여러 명이 서 있다. 키오스크 메뉴판에는 김밥류, 비빔밥류, 사이드류, 디핑소스 등의 카테고리가 있다. 김밥 메뉴를 눌렀더니 12가지의 깁밥 종류가 뜬다. 야채를 뜻하는 베지와 참치마요, 닭가슴살, 데리야끼 김밥도 있지만 불어묵, 비건단백질, 토마토포크 등 처음 들어보는 김밥도 있다. 김밥 종류를 선택하고 나면 이어서 밥을 선택하라고 나온다. 백미, 현미귀리, 흑미가 있다. 야채 선택에서는 전체 추가에서 지단 빼기, 오이 빼기 등 싫어하는 재료를 뺄 수 있도록 했다. 반대로 토핑을 선택하면 아보카드나 청양고추 등을 더할 수 있다. 디
LEGO, the world's largest toy manufacturer, abandoned its plan to make "eco-friendly toy blocks" from recycled PET bottles after two years. However, a team led by Professor Yoon Yong-jin of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KAIST has partnered with domestic startup Goonies to solve the problem with a new approach. In September 2021, LEGO discontinued a project that had been underway since 2021, stating, "Making toy blocks from PET bottles is like making bicycles from wood." This was due to the need for new facilities and the fact that the addition of additives during the processing t
제주도 조천에서 농어촌민박업을 하고 있는 A씨는 지난 2월 조천읍 사무소로부터 ‘농어촌정비법에서 정한 농어촌민박사업자 준수사항’을 위반했다며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A씨는 농어촌정비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조천읍 사무소가 과태료를 부과한 계기는 A씨가 운영하는 민박에서 숙박했던 B씨가 민원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A씨에 따르면 숙박객 B씨는 작년 12월 A씨 민박에서 숙박을 하고 있었는데 개인사정이 생겨 남은 1박을 취소하고 환불을 요청했다. A씨는 고객이 남은 숙박을 취소할 경우 네이버 환불규정에 해당되지 않는다며 환불을 거부했다. 네이버 취소환불규정에는 이용 2일전부터 이용 당일 취소는 환불이 불가하다고 나와 있다. 다른 손님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환불 요청에 거절을 당한 B씨는 민원을 넣었다. A씨가 ‘네이버에 민박이 아닌 펜션 카테고리에 A씨 민박을 올렸기 때문에 농어촌정비법을 위반했다’는 내용이다. 조천읍사무소 담당자는 직접 A씨 민박을 방문해 위반사항을 점검했다. 숙소 대문에 ‘농어촌민박사업장’ 표시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사진을 찍어 갔다. 그리고 나서는 A씨의 네이버 블로그와 네이버예약페이지에 ‘농어촌민박사업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