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국회(DPR)는 지난 10월 5일 본회의를 통해 일자리 창출 특별법/RANCANGAN UNDANG-UNDANG(RUU) CIPTA KERJA (일명 옴니버스법)을 통과시켰다. 23일자 데일리인도네시아에 따르면 현지 미디어를 인용, 이 법에 따라 외국인의 아파트 소유가 허용되었다. 고급 아파트 시장을 부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보도했다. 옴니버스법 144조 1항이 명시한 아파트 소유권을 갖게 되는 부류는 △인도네시아 국적 소지자(WNI) △인도네시아 법인 △법률에 따라 허가를 받은 외국인(WNA) △인도네시아에 지점을 둔 외국법인 (5) 외국정부 및 국제기구 대표부 등이다. 하지만 외국인 아파트의 입지는 특별경제구역과 자유무역항, 산업단지, 기타 경제구역에 위치한 아파트만 소유할 수 있게 할 전망이다. 부동산서비스회사 쿠시만앤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의 아리프 라하르조 이사는 “새 법안이 시행되면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이라며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에 대한 시장이 더 커질 것이라는 의미다“라고 말했다. 옴니버스법에는 아파트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 외국인의 자격과 아파트 가격을 설정하지 않았다. 옴니버스법은
인도네시아의 축구평론가가 신태용 인도네시아 축구대표 감독에 대한 비난에 맞서 그를 옹호하고 나섰다. 인도네시아 스포츠매체인 볼라스포츠(bolasport)에 따르면, 축구평론가인 토미 웰리가 신태용 감독을 향한 비난에 그를 옹호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최근 인도네시아 축구계는 신태용 감독을 향한 구설수로 시끌벅적했다. 축구평론가인 유수프 쿠르니아완은 "신태용 감독이 인도네시아 축구의 토대와 철학을 세우는 것과 경쟁력을 갖추는데 부족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에 다른 평론가인 토미 웰리는 "인도네시아 대표팀의 축구 철학과 토대는 인드라 샤프리 기술이사의 몫"이라고 지적하며 신태용 감독을 두둔하고 나섰다. 토미 웰리는 “신태용 감독은 U20 대표팀을 100% 끌어내는 역할을 하는 인물”이라면서 “선수들의 100%를 끌어내는데 원하는 대로 하라”고 밝혔다. 다만, 토미 웰리는 대중과 언론의 역할에 대해서도 감시가 이루어지는 것은 필요한 기능이라는 점도 강조하면서 ‘소셜 컨트롤’에서의 비판은 옳은 방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최근 인도네시아 U19 대표팀은 신태용 감독의 지휘 아래 크로아티아 1부 리그의 NHK 하이두크를 상대로 4:0 승리를 거뒀다. 신
"2024년까지 5년간 인도네시아 서바자주 지역에 매년 약 5억 원을 지원합니다."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인도네시아 여성역량강화-아동보호부와 협력하여 ‘2020년 인도네시아 여성 역량강화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개도국 여성들의 경제적 역량강화를 통해 현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증진하고 경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하나다. 올해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인도네시아 서바자주 지역에서 실시되며, 매년 약 5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여성성가족부는 ‘여성 역량강화 지원’ 사업에서 인도네시아 여성 개인 역량 강화, 취·창업 연계 기반 강화, 정책모델 확산을 주요 과제로 추진한다. 먼저, 인도네시아 여성의 개인 역량 강화를 위해 젠더 통합적 직업훈련 모델을 개발하고, 서자바주 여학교의 직업기술교육 운영에 필요한 교구재와 환경 개선을 지원하는 한편, 코로나19에 대응한 전자상거래 과정과 봉제 등의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또한 취·창업 연계 기반 강화를 위해 서자바주 지역 노동시장 수요를 분석하여 직업훈련과 취·창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 정책모델 확산을 위해 정부 관계자 및 관련 전문가 등으로 구성
"강동원의 폭력적인 좀비와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영화 ‘반도(Peninsula)’가 드디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극장에서 개봉했다. CNN인도네시아에 20일자에 따르면 “배급사인 CBI 픽처스가 ‘반도’를 21일 자카르타 극장에서 개봉한다”고 전했다. 이 영화는 지난 8월 인도네시아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대유행 사태로 연기된 바 있다. CBI 픽처스는 소셜 미디어에 “강동원의 폭력적인 좀비와의 투쟁이 시작되었다. ‘부산행’ 기차는 ‘반도’를 선보인다”고 트윗을 올렸다. 영화 ‘부산행’ 스토리 4년 뒤를 그린 ‘반도’는 한국 380만명 등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라오스, 몽골 등 아시아 8개국에서 흥행을 한 작품이다. 코로나19로 과도기적인 대규모 사회적 제한조치 전환기(PSBB-Transisi)가 시행된 후 자카르타와 반둥 등 다른 도시에서 영화관이 재개관한데 따른 개봉이다. 영화 ‘반도’는 앞서 지난 8월 인도네시아에서 방영될 예정이었으나 대유행 사태로 연기된 바 있다. 또한 11월 15일부터 고플레이(GoPlay)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방영될 예정이다. 한편 영화 '반도'는 태국 방콕에서는 7월 23일 개봉되자마자 '부산행'과 '기생충'의 흥
LG화학이 13조 프로젝트인 인도네시아 국영 전기자동차 ‘배터리사업’에 뛰어든다. 자카르타 글로브(Jakarta Globe)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기업부는 14일 한국 LG화학과 중국 CATL 등 2개사가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자동차(EV)전지를 제조하는데 합작투자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국영광산 지주사인 아사한 알루미늄(Asahan Alumunium)가 설립하는 합작투자회사는 ‘인도네시아 배터리(Indonesia Baterai)’다. 이 회사는 화학제품과 광물을 비롯해 배터리 전지 제품과 중고 배터리 재활용 사업까지 모든 분야를 다각화한다. 합작투자회사에 참여회사는 국영광물회사 MIND ID(Mining Industry Indonesia), 니켈광산 ANTAM(Aneka Tambang), 국영전력 PLN(Perusahan Listrik Negara)과 국영석유 페르타미나(Pertamina)다. 인도네시아는 원료인 니켈 전 세계 매장량의 30%로 이를 무기로 EV 배터리 제조사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MIND ID가 원료공급을, PLN이 제품유통을 담당하게 되며, 페르타미나는 제조 과정의 일부를 맡게 된다. LG화학은 이 국
"방탄소년단처럼 '선한 영향력'을 실천할게요." 전세계의 사랑을 받고 있는 보이그룹 방탄소년단(멤버 정국, 뷔, RM, 제이홉, 진, 슈가, 지민)의 지민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인도네시아 팬들이 인도네시아 해안에 맹그로브 묘목 8000여그루를 심어 화제다. 12일 자카르타포스트에 따르면 아사(Aca, 24세)라는 닉네임을 가진 인도네시아 '아미(방탄소년단의 팬)'는 10월 13일인 지민의 생일을 맞이하여 맹그로브 묘목 1000그루를 심자는 프로젝트를 SNS(소셜네트워크)를 통해 제안했다. 아사가 제안한 프로젝트는 해시태그 #Jimin'sBirthdayProject라는 이름으로 인도네시아의 방탄소년단 팬들에게 퍼져나갔다. 프로젝트 제안 9일 만에 1800여명의 팬이 기부에 참여했다. 인도네시아 팬들은 8735그루의 묘목을 중부 자바 드막군 해안가 베도노 마을에 심었다. 이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내의 숲 살리기 활동 단체(Lindungihutan)와 함께 진행되었다. 아사는 "나는 술라웨시섬에 살고 있어서, 묘목을 심는 자바섬 현장에는 직접 가지 못했다. 그러나 그 지역의 다른 아미들이 자원봉사자로 힘을 모았다"며 "모두 지민의 생일을 뜻 깊게 축하할 수 있
김창범 전 인도네시아 대사(60)는 올 7월 말 주 인도네시아 대사를 마지막으로 39년의 공직생활을 마무리했다. 기자는 퇴임 전인 6월 25일 서울대학교 VIP연구사업단에서 주최한 ‘줌(Zoom) 온라인 화상회의’(웹비나, Webinar: 웹+세미나) 인도네시아 현지 특별 강연을 취재할 기회가 있었다. 그를 코로나19 시대 일상이 된 ‘비대면’으로 처음 만난 것. 이번에는 ‘대면’으로 인터뷰를 요청했다. 3개월여 만에 오프라인에서 만난 그는 달변이었다. 소리장도(笑裏藏刀), ‘웃음 속에 칼을 감춘다’는 탁월한 ‘외교관’의 면모도 살짝 드러나기도 했지만 소탈하고 솔직했다. 은퇴 이후 그는 고려대 인근 성북구 보문동에 ‘CSCS(전략문화연구센터, Center for Strategic & Cultural Studies)’를 세워 인도네시아를 포함 본격 ‘아세안 연구’를 시작했다. 10년 이후를 내다보겠다는 ‘전략과 문화의 플랫폼’이다. 스스로 “외교관의 옷을 벗었지만 ‘준 외교관’으로 아세안 이해 확산을 노력 중”이라는 그를 보문역과 신설역 중간에 있는 BM 빌딩 5층 CSCS 사무실에서 만나봤다. ■ 고교 동창 최진욱 원장과 ‘CSCS’ 한반도전략+아세안
현대자동차그룹의 정보기술(IT) 계열사 현대오토에버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고 5일 발표했다. 인도네시아 법인은 앞서 진출한 현대차 생산공장 및 그룹사의 IT 업무를 전담한다. 나아가 성장하는 아세안 지역의 IT서비스 거점으로 역할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인도네시아 진출은 현대오토에버가 2019년부터 추진해온 ‘글로벌 One IT’ 전략의 일환이다. IT 서비스 품질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그룹사, 현지 부품업체 등으로 분산돼 있는 IT 전문인력을 통합 관리할 계획이다. 허용훈 인도네시아법인장은 “현대오토에버는 이번 인도네시아법인 설립을 통해 현지에서 보다 능동적으로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 경영 효율성 강화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번 법인 설립으로 현대오토에버는 9개 해외 법인과 5개 해외 데이터센터를 확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