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쑤언흐엉(Xuân Hương) 호수 옆 달랏 꽃 축제 보러오세요.” 올해 제10회 달랏 꽃 축제는 12월 5일 개막하여 12월 31일까지 열리며, 꽃은 내년 1월 5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이 축제는 연평균 70만 명의 방문객을 찾는 달랏(Dalat)의 시그니처 꽃 축제다. 올해는 그 수가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축제에는 주민과 방문객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는 10개의 주요 행사가 열린다. 쑤언흐엉(Xuân Hương) 호수 주변과 시내 중심 도로 곳곳에서 꽃 전시를 볼 수 있다. 당꽝뚜(Đặng Quang Tú) 시 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시는 약 2,500개의 숙박시설과 3만3,138개의 객실을 갖추고 관광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심하게 준비했다. 올해 축제에는 약 100만 명의 방문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해발고도 1400미터에 위치한 달랏은 소나무숲이 울창하고 일년내내 꽃이 피어 ‘꽃의 도시’로 불린다. 5000여 농가가 1044만 평에 달하는 농장에서 연간 10억 송이의 꽃을 생산한다. 가로등에 달려있는 도시 상징도 매화꽃 문양이다. 연 평균 기온은 섭씨 18~23도로 덥지도 춥지도 않아 ‘봄의 도시’로 큰 인기를 얻
한국동남아학회의 연례학술대회와 동남아시아연구한일공동학술대회가 국립부경대 인문사회경영관에서 지난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개최되었다. 올해 대회의 대주제는 분쟁과 분열의 세계질서 속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이 보여주는 연결성과 포용성을 검토해보는 것이었다. 전쟁과 폭력과 극단의 위협에 직면해 있는 세계 속에서 동남아시아의 사례들을 통해 나름의 대응력과 지혜를 찾아보려는 도전적인 주제를 택했다. 학술대회 발표논문집은 한국동남아학회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보실 수 있다. https://www.kaseas.org/seminar 올해 대회는 규모와 구성 면에서 예전과 다른 몇 가지 특이점을 보였다.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하였고, 관계기관의 참여 수준이 격상되었고, 국제교류는 더욱 확장되었다. 대회 주제만이 아니라 대회 구성에서도 연결성과 포용성을 보여준 것이다. 여러 경로로 참가 소감을 전해 들은 아세안익스프레스 박명기 대표가 학술대회의 의미를 이야기해달라 청하였기에, 이에 호응하여 한국의 동남아 학계에 관심을 갖고 성원을 보내주시는 독자들과 지난 학회 소식을 나누고자 한다. ■ 34년 학회 사상 최대 패널 25개-발표문 85편...인도네시아-일본 학자도 참여 '풍
지난해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관광지 1위에 오른 ‘달랏(Dalat)’이 예술관광지도를 출시했다. 이 달랏이 예술 관광 지도를 8월 29일 공식 출시했다. 이 지도는 달랏이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에 가입하면서 추진한 3대 지역 이니셔티브 중 하나다. 방문객과 지역 주민을 위해 도시의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 명소를 이해하기 쉽게 담아냈다. 달랏의 문화 및 음악 공연 장소와 자연 경관을 소개하고 있다. 해발고도 1400미터에 위치한 달랏은 꽃과 호수, 커피와 프랑스풍 성당과 황제의 별장으로 이름난 아름다운 산중 휴양지다. 지중해성 기후로 소나무숲이 울창하고 일년내내 꽃이 핀다. 연 평균 기온은 섭씨 18~23도다. 덥지도 춥지도 않아 ‘봄의 도시’로 큰 인기를 얻었다. 조나단 베이커(Jonathan Baker) 베트남 유네스코 대표는 “달랏이 유네스코 창의 도시 네트워크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 계획을 수립한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달랏이 한국에 널리 알려진 것은 2202년 연말 MBC 오락프로그램 ‘나혼자 산다’ 메인 멤버 ‘팜유라인’ 3명인 전현무, 박나래, 이장우는 소위 ‘팜유원정대’로 베트남 달랏을 찾은 이후다. 여행신
“한국동남아학회 연례학술대회(KASEAS Conference 2024)에 거의 100명이 참석했어요.” 김동엽 부산외대 아세안연구원장이 제18대 한국동남아학회장으로 연례학술대회 마지막날 단독후보로 출마해 선출되었다. 김 원장은 당선 축하와 함께 소감을 묻는 아세안익스프레스에 우선 학술대회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부산에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거의 100여명이 참석했다. 총 25패널이 참가했다. 총 발표수는 69개이고 한일공동 17개다. 3일내내 참석하고 마지막날 총회에 참석한 이들이 60여명(투표 참가자 55명)이었다. 이는 모두 전제성 17대 회장의 노력과 열정의 결과다”며 말했다. 예년 1박2일이었던 일정도 3일간 열린 것도 처음이었다. 학술대회 주제는 다양했고, 한-아세안협력사업, 한-아세안 ODA(개발원조), 한-아세안 협력기금 섹션도 눈에 띄었다. 서정인 전 아세안대사, 김영선 전 인도네시아도 참석했다. 김 원장은 “외교부의 김동배 아세안국장이 ‘한-아세안 정치 경제’ 섹션의 발제 토론을 했다. 국립외교원을 비롯한 KF아세안문화원 정부기관도 관심을 가져주었다. 한-아세안센터는 지난해 김해용 사무총장에 이어 올해도 김재신 사무총장이 점심-저녁을 냈다
“한국에는 관광업소가 없다. 일본이나 중국으로 가라.” 이 말은 유타차이 순똔라타나벗 태국여행업협회(TTAA) 부회장 발언이다. TTAA는 태국 관광객을 외국에 보내는 여행사들이 모여 만든 단체다. 이 발언에 대해 한국관광공사 등이 문제를 제기했다. 18일 태국여행업협회(TTAA)는 최근 짤른 왕아나논 회장 명의의 공식 사과 서한을 통해 “협회의 공식 입장이 아닌 일부 관계자의 개인적 발언으로 한국에 오해와 심려를 끼쳤다. 협회 차원에서 많은 관광객이 한국을 찾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1일(현지 시간) 일본 매체 닛케이 아시아는 유타차이 순똔라타나벗 부회장 인터뷰를 통해 ‘한국 금지 운동, 태국 관광객 중국·일본으로 몰린다’라는 기사를 보도했다. 순똔라타나벗 TTAA 부회장의 문제 발언은 이렇다. “한국을 찾는 태국인 관광객이 감소한 것은 관광 명소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 명소는 인기 영화와 넷플릭스 콘텐츠를 통해 알려졌기 때문에 수명이 짧다. 중국과 일본에는 더 많은 명소와 비자 면제, 덜 비싼 가격, 놀라운 전망, 좋은 분위기 등 매력이 있다” 보도 이후 주태국 한국문화원과 한국관광공사 방콕지사가 TTAA에 유타차이 부회장 발언에 대한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는 12세기 초에 세워진 세계 최대의 석조사원이다. 30여 년간 매일 2만 5000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지어졌다. 앙코르 와트는 400여 년 동안 밀림 속에 방치되었다 1860년 우연히 발견된 세계 7대불가사의 중 하나다. 코로나19 팬데믹을 벗어나자 앙코르 와트에도 예전처럼 외국인 관광객이 붐비는 ‘관광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지난해는 전년 비해 약 50여만명이 늘어났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조성진 기자와 함께 '왕국의 사원' 앙코르 와트 ‘시간여행’을 떠난다. 풍경에 새로운 숨길을 불어넣는 그의 '역사인문기행'에 동참해보기를 바란다. [편집자주] 아무런 계획이나 일정도 없이 무작정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하나부터 열까지 꼼꼼하게 준비한 후에 여행지로 떠나는 사람도 있다. 전자는 인생이란 어차피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가기 때문에 “발길 닿는 대로 가는 것이 참 여행”이라고 생각하는 쪽이다. 후자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원칙 하에 한번 가면 다시 오기 힘들지 않겠냐 하며 가능하면 제대로 알고 떠나자는 쪽이다. 어느 것이 맞는가의 문제라기보다는 보통은 각자의 취향과 여행습관에 따라 결정지어진다. 필자의 경우는 후자에 가깝다.
아세안 중 지난해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은 나라는 어딜까? 태국 현지미디어 네이션 27일자에 따르며 “태국은 지난해 관광객 수에서 다른 아세안 국가들을 제치고 전년보다 154% 많은 2800만명 이상의 외국자 입국자를 맞이했다”고 수다완 왕섭하키코솔 관광체육부 장관의 발표를 전했다. 그는 2023년 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이 2022년에 비해 1106만 명 증가한 2809만 명, 153.94%라고 말했다. 아세안 10개 회원국 중에서도 인기 관광지인 베트남은 지난해 방문객이 1206만 명으로 전년 366만 명보다 344.2% 급증했다. 싱가포르는 2023년 1237만 명으로 2022년 537만 명보다 130% 증가했다. 캄보디아는 지난해 545만 명의 관광객을 기록해 전년 227만 명보다 139.5%나 많았다. 이어 필리핀이 545만 명으로 전년 265만 명보다 105.38% 증가했다. 브루나이는 지난해 총 8만 2109명의 관광객을 맞이했는데, 이는 전년 1만8426명보다 345.61% 급증한 수치다.. 장관은 아세안 국가들이 지난해 평균적으로 관광객 입국자가 153% 증가했는데, 이는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시작한 두 차례의 홍보 관광 캠페인이 성공했기
효성그룹이 올해 베트남에 추가로 2조 원대 투자를 계획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베트남 매체 VN익스프레스 18일자에 따르면 조현상 부회장은 스위스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에서 열린 팜민 친 총리와의 회담에서 “효성의 베트남 투자가 가장 수익성이 좋은 것으로 입증됐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의 효과적인 리더십과 현지 당국의 지원, 베트남 국민들의 근면한 자세가 강점이다. 올해 베트남에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를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조 부회장은 2006년부터 꾸준히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오며 다보스포럼과 각별한 인연을 이어왔다. 2007년에는 다보스포럼에서 ‘차세대 글로벌 리더(YGL)’로 선정되었다. 이어 2010년에는 주요 20개국(G20)의 ‘영 글로벌 리더’ 조직인 ‘YGL G20 이니셔티브’에 유일한 한국인 멤버로 이름을 올렸다. 2007년 베트남에 진출한 효성은 현재까지 총 35억 달러(약 4조7000억원)를 투자해 하노이, 호찌민, 남부 동나이성과 바리아붕따우 등 현지 생산법인 6곳을 두고 9000여명의 현지인 직원을 두고 있다. 지난해 6월 하노이에서 열린 팜 민 친 총리 주재 한국 재벌 총수 간담회에서 조현준 회장은 “
용의띠 갑진년 2024년 가장 인기를 얻을 것으로 예측되는 여행지는 어딘가? 베트남 달랏(Da Lat)이 첫손에 꼽혔다. 여행신문에 따르면 스카이스캐너는 ‘2024 트래블 트렌드’ 리포트 발간했다. 이 리포트는 2022년 8월 7일부터 2023년 8월 7일까지 전년 동기간 대비 한국인 여행객의 검색 및 예약 데이터를 담았다. 그 결과 가장 폭발적으로 검색량이 증가한 도시는 달랏(+3,335%), 오키나와(+2,175%), 삿포로(+2,126%), 타이베이(+1,906%), 나고야(1,820%) 순을 나타냈다. 그렇다면 왜 달랏인가? 바로 인기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 소개된 이후 전년 동기간 대비 폭발적으로 검색량이 증가한 것이다. 2202년 연말 ‘나혼자 산다’ 메인 멤버 ‘팜유라인’ 3명인 전현무, 박나래, 이장우는 소위 ‘팜유원정대’로 베트남 달랏을 찾았다. 팜유에 튀긴 음식들을 좋아해 ‘팜유라인’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이들은 달랏 야시장에서 먹방을 했다. 새우구이, 오징이구이, 볶음누들, 치킨 볶음밥, 쌀국수 등 ‘먹방대박’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다. 달랏은 인천공항에서 직항이 있어 약 4시간 40분이면 갈 수 있다. 달랏
인도네시아 정부가 해외에서 수입해오는 전기자동차(EV)에도 조건부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인도네시아에 서둘러 완성차 생산 공장을 짓는 등 현지 시장에서 공을 들인 현대차는 상대적으로 맥이 빠지는 상황에 처했다. 13일(현지시간) 안타라 통신 등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공장에 투자한 기업, 전기차 투자를 늘릴 계획이거나 투자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내용의 규정을 발표했다. 대통령령을 개정해 2025년까지 인도네시아에 전기차 공장을 투자하기로 약속하면 해당 회사가 해외에서 생산한 전기차를 인도네시아로 들여올 때 관세와 사치세를 면제해준다. 지방세도 감면해주기로 했다. 또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의 사치세 감면 조건 강화도 3년 이후로 연기하기로 했다. 기존 시행령에서는 올해까지 인도네시아 현지화율이 40% 이상인 전기차에 사치세를 감면해 주고, 내년부터는 현지화율이 60% 이상인 경우에만 혜택을 주기로 돼 있었다. 하지만 시행령이 변경되면서 2026년까지 현행 40%를 유지하고, 2027년부터 60%로 감면 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이전 규정에서는 판매 국가에서 부품으로 배송되고 조립되는 중고 차량 수입에만 이러한 인센
‘캡틴’ 손흥민(토트넘 홋스퍼, 31)이 10호를 쏘아올리면서 8시즌 연속 두자릿수 득점 대기록을 작성했다. 11일 잉글랜드 프로축구 토트넘은 토트넘 홋스퍼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3~2014시즌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EPL)’ 16라운드 뉴캐슬 유나이티드와의 홈경기에서 4-1 대승을 거두었다. 손흥민은 이날 경기에서 1골 2도움을 기록해 주장의 면모를 맘껏 과시했다. 이번 시즌에도 10골(4도움)을 기록하면서 역대 7번째 EPL 8시즌 연속 두 자릿수 득점을 기록했다. 이 부문 최고는 웨인 루니가 기록한 11시즌 연속이다. 이날 1골 2도움을 기록한 손흥민은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됐다. 축구 통계 매체 ‘소파스코어’로부터 평점 9.5점을 받았다. 손흥민이 프리미어리그 1경기에서 2도움을 올린 건 이번이 5번째다. 손흥민은 14골의 엘링 홀란드, 11골의 모하메드 살라에 이어 득점 단독 3위를 유지했다. 통산 113골로 득점 통산 23위에 올랐다. 토트넘은 9승 3무 4패 승점 30점으로 프리미어리그 5위를 유지했다.
“베트남 외국인 직접투자 1위국은 한국, 2위는 싱가포르” 베한타임즈 11월 24일자에 따르면 지난 35년 동안 베트남에 등록된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크게 증가했다. 1988년 당시 불과 200만 달러(약 26억 1,200만 원)였던 베트남의 FDI는 현재 5240억 달러(약 684조 3440억 원)로 급증했다.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베트남에서 진행 중인 FDI 프로젝트는 3만 6000건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총 투자 금액은 4410억달러(약 575조 9460억 원)로 이 중 57%는 집행이 완료된 것으로 파악됐다. 35년이 지난 현재를 기준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은 베트남 FDI에서 상위 3개 국가에 포함돼 있다. 미국은 베트남 FDI 규모에서 10위 권 안에도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 1988년 첫 유치, 혼다 오토바이-인텔-포스코에 이어 삼성 최대 투자 1988년 베트남은 남부에 소재한 바리아(Ba Ria)-붕따우성(Vung Tau)에서 최초의 FDI 프로젝트를 유치하며 경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후 1991년부터 FDI 성장세는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대만의 신발 제조기업인 포우첸(PouChen), 펭타이(Feng Tay)를 비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