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7월 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공식방한 중인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와 회담을 가졌다. 두 총리는 한 세대 만에 양국이 상호 3대 교역국이자 핵심 투자협력국으로 비약적 성장을 이룬 것을 평가했다. 2030년까지 교역액 1500억불 달성을 위한 교역-투자 확대 방안을 협의했다. 또한 첨단-미래산업, 과학기술, 개발협력, 중소-벤처‧스타트업, 핵심광물 공급망, 문화-관광-인적교류 등 분야별 협력 확대를 위한 상호 협력과 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팜민찐 총리는 “베트남 내 최대투자국인 한국 기업의 원활한 활동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 “베트남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한국측의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두 총리는 2025년 베트남에서 열리는 P4G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한덕수 총리는 “한-베트남 기후변화 협력 협정을 충실히 이행하면서, 정책‧기술 교류, 민간투자 활성화 등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양국 협력을 가속화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두 총리는 주부산 베트남 총영사관의 연내 개설을 위해 협조해 나가기로 하였다
“한류는 베트남의 문화 발전의 교훈이다.” 방한한 팜민찐 베트남 총리가 1일 서울에서 열린 ‘베트남-한국 문화 협력 및 관광 진흥 포럼’에서 한류를 극찬했다. “한류가 큰 경제적 가치를 가져오고, 김치 나라의 국가 브랜드를 홍보하는 데 기여했다. 이런 점에서 베트남에 대한 교훈”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과 베트남은 30년 이상 발전해 왔다. 2022년 포괄적 전략파트너가 돼 역대 최고단계로 비약했다. 특히 관광과 문화에 대한 협력이 하이라이트다”라고 ‘한류’를 설명했다. “한류는 강력한 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영화, 음악, 패션을 통해 국제 시장에 국가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데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베트남 국영 및 현지 TV 채널에 한국 영화가 없는 날이 없을 것이다. 한국의 경험과 성공이 발전 초기 단계에 있는 베트남 문화 산업에 귀중한 교훈이 될 것이다. 일부 고무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라고 기대했다. 베트남은 2013년 8월 15일부터 한국인 관광객의 체류 기간을 15일에서 45일로 연장했다. e-비자 입국자의 경우 체류 기간이 90일로 연장했다. 베트남-한국이 구체적인 협력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표시했다. 그는 “한
“중국과 연결되는 북부 접경지 3개 철도노선에 중국 기업의 참여를 요청한다.” 팜 민 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가 ‘남북고속철도 사업’으로 대표되는 베트남의 대규모 교통인프라사업에 중국 기업 참여를 요청했다. 베트남 현지 미디어 VNEXPRESS에 따르면 중국국영 철도기업 중국중차(CRRC, 中国中车) 대표단은 지난달 27일 베이징에서 열린 ‘베트남-중국 교통인프라 개발협력회의’에서 베트남 남북고속철도를 비롯한 철도인프라사업에 대한 투자 참여의사를 베트남에 타진했다. 팜 민 찐 총리의 ▲라오까이(Lao Cai)-하노이-하이퐁(Hai Phong) ▲랑선(Lang Son)-하노이 ▲몽까이(Mong Cai)-하롱(Ha Long)-하이퐁 등 중국과 연결되는 북부 접경지 3개 철도노선에 PPP방식을 통한 중국기업들의 참여를 요청에 대한 응답이다. 팜 민 찐 총리는 “북부지방 철도노선이 개발되면 베트남은 중국을 통해 중앙아시아 및 유럽과 연결된다. 중국은 베트남을 통해 아세안 국가들과 쉽게 연결된다. 베트남은 3개 철도노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이것이 실현된다면 완전한 일대일로 협력에 이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중차 회장 및 대표단은
박학규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사장(CFO)은 “매년 베트남에 약 10억 달러(약 1조37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3일 한베타임즈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9일 박 CFO는 베트남 수도 하노이에서 팜 민 찐 총리를 만나 “삼성전자가 베트남에 연간 약 10억 달러까지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베트남에 총224억 달러(약 30조7000억원)를 투자했다. 베트남 협력업체가 2014년 25곳에서 현재 309곳으로 10년간 12배 이상 늘었다. 박 CFO는 “베트남 정부가 해외 기업 투자 환경을 계속 개선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팜 민 찐 총리는 “베트남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노력과 결단력에 박수를 보낸다. 베트남을 전략적 제조 및 수출 기지로 삼아 달라”고 부탁했다. 이어 “베트남 정부가 항상 투자 환경 개선을 중요시하며 외국 기업의 장기 운영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베트남 기업을 위한 전자 및 첨단 기술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및 수출 외에도 산업 지원 및 인력 교육에 투자하고 있다. 현지 기업이 생산 및 공급망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팜민찐(Pham Minh Chinh) 베트남 총리는 지난 4월 22일 FDI(외국인직접투자) 기업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외국 기업들의 고충을 청취하고 애로사항 해결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코참데일리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베트남에서 유치한 외국인 투자액은 54억 달러(약 7조 2090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38.3% 감소했다. 이번 간담회는 베트남 정부에서 투자 확대를 위해 직접 팔을 걷어 붙이는 자리였다. 이날 주 베트남 한국상공인연합회(코참), 대한상공회의소를 비롯해 일본-미국-유럽 상의 관계자들과 애플, 나이키, 히타치, 보쉬, 구글 관계자 등 180여 명이 참석했다. 베트남 정부 측에서는 팜민찐 총리와 레밍카이(Le Minh Khai) 부총리, 쩐르우꽝(Tran Luu Quang) 부총리, 응웬치중(Nguyen Chi Dung) 기획투자부 장관 등이 배석했다. 찐 총리는 개회사를 통해 “글로벌 경제 상황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다. 베트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동안 베트남에서 투자를 활발히 한 FDI 기업들에게 감사한다. 앞으로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최저한세 도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