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그룹이 싱가포르 해양 부유물 설계·제작업체 '다이나맥홀딩스(Dyna-mac Holdings, 이하 ‘다이나맥’'에 조건부 현금 입찰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개매수에 성공해 해양플랜트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장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지난 10월 7일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에 따르면 다이나맥은 지난 10월 2일(현지시간) 한화오션SG홀딩스를 대신해 현지 은행 UOB로부터 주식을 현금으로 사겠다는 조건부 제안을 받았다는 사실을 공시했다. 한화오션SG홀딩스는 다이나맥 지분 인수를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90%, 한화오션 1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오션SG홀딩스는 지난 5월 싱가포르 조선사 케펠이 보유하고 있던 다이나맥 지분 23.9%를 인수하면서 한화오션이 21.5%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2.4%의 지분을 매수했다. 지난 9월에는 공개매수를 추진하며 주당 0.6싱가포르달러를 제안했다. 오는 10월 30일까지 협상을 완료해야 하는데 0.6싱가포르달러는 지난 6월 30일 기준 다이내믹의 순자산가치(NAV)인 9.79싱가포르센트에 512.9%의 프리미엄을 더한 가격이다. 한화오션SG홀딩스는 제안서를 통해 다이나맥 주주들에 한화의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가 수출 호조에 힘입어 사상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2월 24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3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 9조 3,697억 원을 기록하면서 2022년 대비 32.7% 증가했다. 영업잉기은 7.409억 원으로 2022년 대비 76.1%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9,923억 원으로 2022년 576.9% 증가했다. 이에 따라 매출과 영업이익뿐 아니라 당기순이익 역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023년 4붑ㄴ기 매출액은 3조 4,424억 원이었으며 2022년 4분기 대비 32.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895억 원으로 2022년 4분기 대비 79.6% 늘었으며 당기순이익은 2,132억 원으로 2022년 4분기 대비 2,350% 상승했다. 이번 호실적 배경은 국내 방산 제품의 견고한 수요와 K-9, 천무 등 수출 물량 증가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2년 7월 폴란드 군비청과 K-9 자주포 672문, 다연장로켓 천무 288대를 수출하기 위한 기본계약을 체결했다. 2022년 8월 폴란드와 K-9 212문, 11월 천무 218대의 1차 수출계약을 맺은 데 이어 2023년에는 K-9 152문 등의
한화시스템이 2023년 실적을 발표했다. 사업부의 실적 호조에 외형 성장과 수익성이 모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23일 2023년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한화시스템은 매출 2조 4,531억 원을 달성해 2022년 대비 12.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29억 원으로 2023년 대비 137.6% 상승하며 상승세에 접어들었고 순이익은 3,431억 원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실적 개선에는 방산 부문의 수출 증가와 대규모 양산,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통합 솔루션과 대외 금융 솔루션 구축 사업에서 매출이 늘어났다는 점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방산 부문의 경우 2022년 1월 아랍에미리트(UAE)와 체결한 천궁-II 다기능 레이다(MFR) 수출 계약이 2023년부터 대규모 매출로 실현됐고, ▲전술 정보 통신 체계(TICN) 4차 양산 ▲군 위성 통신 체계-II의 지상용 단말기 양산 등 사업들도 매출 확대에 일조했다. ICT 부문은 2023년 하반기 한화그룹 방산 계열사 통합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ERP 구축 사업을 맡으며 매출이 확대됐다. 금융부문은 신한EZ손해보험 금융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외부 거래 매출도 증
응우옌 안 뚜언(Nguyen Anh Tuan) 베트남 박닌성 당서기가 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20여개 ‘한국 기업 교류간담회’를 가졌다. 뚜언 당서기는 환영사에서 “기업의 성공은 우리의 성공이다. 박닌성은 지방정부에서 가장 큰 산업지역으로 하이테크 전국 1위 지역이다. 반도체-칩 생산, 바이오(의학과 화장품), 생태계를 갖춘 신도시, 도로-메트로-철도 등 교통 인프라, 물류 등 5가지 투자에 집중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리적 환경도 최고다. 하노이로 30km로 육로 이동 가능하고, 노이비공항에 32km, 하이퐁 항구에서 110km로 접근성이 좋다. 에너지, 녹색성장, 디지털 등 국내외 기업들이 관심이 큰 지역이다”고 덧붙였다. “기업과 함께 성공하는 것이 박닌성의 방향”이라는 말을 강조한 그는 “대사관과 함께 지속적인 기업협력하는 환경을 만들겠다. 박닌성에 많이 투자해달라”고 말했다. ■ 박닌성 출신, 응우옌 부 뚱 주한 베트남 대사 축사 "한국기업 투자 연결다리 되겠다" 박닌성 꾸에보현 출신의 응우옌 부 뚱(Nguyen Vu Tung) 주한 베트남 대사가 축사를 했다. 뚱 대사는 “2023년 한국-베트남 관계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되었다.
지난 9월 11일 디지털타임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의 핵심인력들이 민간 우주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대거 이적할 조짐을 보인다고 단독 보도했다. 총 2조원 규모의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을 앞둔 민감한 시기에 항우연 발사체 인력들이 민간 기업으로 대거 이적한다는 것에 논란이 일고 있다는 점이 핵심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누리호에 이을 차세대발사체사업 체계종합기업 선정 입찰을 이르면 9월 중에 시작할 예정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는 우주사업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의 CTO 겸 원장으로 조광래 전 항우연 원장을 포함해 항우연 연구원을 20명 정도 영입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광래 전 원장은 국내 우주개발 1세대로 우리나라 최초 고체연료 로켓인 KSR-1의 개발과 우리나라 첫 우주발사체인 ‘나로호’ 개발을 지휘했고 2014년부터 3년 간 항우연 원장을 역임했으며 누리호 개발에도 참여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런 전문성에 30년 간의 경험과 역량을 높이 산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항우연 측에서는 아직 조광래 전 원장을 비롯해 연구원들 중에서 사표를 제출한 사람은 한 명도 없지만 이직을 위한 접촉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의 방산 부문인 한화방산을 흡수 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합병기일은 오는 4월 1일로 합병비율은 1대 0이다. 1월 9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방산을 흡수 합병한다고 공시했다. ‘한화방산’은 무기 및 총포탄 제조업, 군수품 제조, 판매, 보관, 수송 육상 관련 방산업을 영위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화방산 주식 100%를 소유했하고 있으며 이번 합병을 통해 시너지 극대화로 경쟁력 강화 및 경영 효율성을 제고할 방침이다. 한화그룹은 2022년 8월 29일 사업구조 재편 계획을 통해 방산 부문 역량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집중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았는데 당시 청사진에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한화에서 물적분할된 방산 부문을 인수하고 100% 자회사인 한화디펜스를 흡수합병하는 방안이 담겨있었다. 종합하면 3개 회사에 분산된 한화의 방산사업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집중되는 것이 골자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2년 11월 한화디펜스와의 합병을 마무리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디펜스 톱10’을 목표로 제시하면서 국내 유일 항공기 가스터빈 제작 기술을 보유한 항공‧우주 전문기업으로서 목표를 제시했다. 한화의 방산 부문은
한화(Hanhwa) 그룹이 대우조선해양(이하 ‘대우조선’)을 인수한다. 지난 9월 26일 투자합의서에서 정한 바에 따라 지난 12월 16일 대우조선해양은 한화 계열사들과 별도의 신주인수계약을 체겨했다. 투자합의서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은 인수인들을 유상증자의 조건부 투자예정자로 지정하고 대우조선해양이 정한 방식의 경쟁입찰방식인 ‘스토킹호스 방식’에서 한화그룹을 최종 투자자로 확정했다. 대우조선은 계약 완결의 전제 조건으로 경쟁 당국의 승인 등 국내외 인허가 절차를 거쳐야 한다. 승인을 받아야 하는 대상국은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를 포함해 유럽연합, 일본, 중국, 싱가포르, 튀르키예, 베트남, 영국 등 총 8개 국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방위사업법에 따른 방산업체의 매매 등에 관한 승인 및 외국인투자 촉진법에 따른 외국인투자허가 등도 선결 조건이다. 또한 대우조선 등기이사 전원의 사임서 제출도 계약 성사 조건에 포함됐다. 계약 체결 후 인허가 절차가 마무리되면 한화그룹은 신규 자금 2조원을 투입해 대우조선 신주를 인수함으로써 경영권 지분(49.3%)을 확보하게 된다.
한화(Hanhwa)가 향후 5년간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미래 산업 분야에 국내 20조 원을 포함해 총 37조 6000억 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채용규모 역시 5년간 2만 명 이상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 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화는 이번 투자 계획이 기존 사업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고 미래 기술 선점과 시장 주도를 위한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한화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총 37조 6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20조 원 규모는 국내에서 에너지, 탄소중립, 방산‧우주항공 등 3개 분야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분야별로도 태양광, 풍력 등 에너지에는 4조 2000억 원을 투입해 태양광 연구개발을 통해 고효율의 태양광 제품을 생산 가능한 ‘글로벌 핵심 기지’를 추진한다. 수소 혼소(혼합연소) 기술 상용화와 수전해 양산 설비 투자 등 탄소중립 사업 분야에 9000억 원을 투자한다. 친환경 신소재 제품 개발 등에 2조 1000억 원을 투자해 탄소중립에 보조를 맞추는 활동도 진행한다. 방산‧우주항공 분야에는 2조 6000억원을 투입해 K-9 자주포 해외 시장 개척, 레드백 장갑차 신규 글로벌 시장 진출
한화시스템이 위성통신과 에어모빌리티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1조 2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나섰다. 지난 29일 이사회를 열고 1조 2000억 원 규모의 7868만 9000주를 유상증자에 대한 결의를 진행했고, 의결된 이후 공시했다. 한화시스템은 2021년부터 3년 동안 저궤도(Low Earth Orbit, LEO) 위성통신에 5000억 원, 에어 모빌리티(Air Mobility)에 45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저궤도 위성통신 체계를 구축하고 에어 모빌리티의 기체‧인프라‧관제‧서비스 및 항공 물류 서비스를 개발한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플랫폼 사업에도 2500억 원을 투자한다. 2030년까지 총 매출 23조 원을 목표로 새로운 사업들을 전개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한화시스템이 두 사업을 동시에 추진하는 배경은 ‘시너지’다.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이 에어모빌리티 사업의 핵심인 교통관리·관제 시스템에 활용되기 때문이다. 수 백m 고도에서 날아다니는 에어모빌리티는 지상 통신망으로 신호를 주고받기 어려워 위성통신 기술이 꼭 필요하다. 한화시스템은 시너지를 통해 비용은 낮추고 효율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2500억원은 디지털 플랫폼 사업에 투자하고, 블록체인을
지난 2일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 3차 수소경제위원회가 개최됐다. 수소경제위원회는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8개 관계부처 장관과 산업계‧학계‧시민당체 등 분야별 최고 전문가로 구성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다. 2월 5일을 기점으로 ‘수소법’이 시행되면서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주요 정책을 총괄하는 범정부 민관합동 회의체로 정식 출범했다. 3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는 수소경제 민간투자 계획과 정부 지원방안이 발표됐다. SK·현대자동차·포스코·한화·효성 등 5개 그룹과 중견기업들이 오는 2030년까지 액화수소생산 등 수소경제 전 분야에 43조 4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추진한다. 2030년까지 SK는 연료전지발전소 등 18조 5000억원을 투자하고 현대차는 수소차 등에 11조 1000억 원을 투자한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개발 등에 10조원을 투자하고 한화는 그린수소 생산에 1조 3000억 원, 효성은 액화수소플랜트에 1조 20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수소산업 전담기관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은 올해 ‘수소전문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기술이전·제품인증·시제품제작·판로개척 등을 지원하고 수소전문기업들의 현장애로해소
한화투자증권이 핀테크 기업 두나무의 주식 206만 9450주를 현금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전체 주식의 6.15%에 해당하는 주식이다. 이번 주식 인수로 환산되는 두나무의 주식가치는 9403억 원에 이른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주식 취득 예정일은 2월 22일로, 미국 IT 기업인 퀄컴(Qualcomm)으로부터 주식을 매수한다. 202년 설립된 두나무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Upbit)와 주식 거래 플랫폼인 증권플러스를 운영하는 핀테크 솔루션 기업이다. 지난 2019년 말을 기준으로 두나무의 주식은 송치형 의장이 26.8%, 김형년 부사장 14.3%, 케이큐브1호 벤처투자조합이 11.7%, 카카오가 8.1%를 보유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 관계자는 “핀테크 성장세 대응을 위해 결정한 신기술 보유회사 중장기 투자”라며 “회사가 최근 디지털 금융을 강화하는 상황에서 핀테크 분야 성과를 기대하고자 혁신금융 서비스 기술을 보유한 두나무와 협업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