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로 드러난 화웨이의 반도체 “엔비디아 H100의 60% 성능에도 충분.”
화웨이(Huawei)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어센드 910C’가 중국의 딥시크(DeepSeek)의 인공지능 모델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어센드 910C의 성능은 엔비디아(NVidia)의 AI 가속기 ‘H100’의 6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2월 7일 딥시크의 AI 모델 ‘R1’의 추론 모델의 고도화에 화웨이의 ‘어센드 910C’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어센드 910C는 지난 화웨이의 최신 버전인 ‘어센드 910B’의 다음 버전으로 시장 출시 전 사전 검증으로 딥시크에 제공된 것으로 보인다. 미중무역분쟁으로 엔비디아의 최신 반도체가 수출이 금지된 가운데, 중국 시장을 겨냥해 제작된 AI 가속기인 ‘호퍼 시리즈’가 중국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R1의 데이터 학습에는 엔비디아의 ‘H800’이 사용됐고, 추론 역량을 높이는데는 ‘어센드 910C’가 사용됐다. 화웨이가 대만 TSMC의 파운드리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중국 파운드리인 SMIC를 통해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으며, 화웨이(Huawei)의 '어센드 910B'와 ‘어센드 910C’ 모두 SMIC의 7㎚(나노미터, 10억분의 1m) 공정을 통해 생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와 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