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차기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선출 절차 1차 라운드를 통과, 2차 라운드에 진출했다.
WTO 사무국은 9월 7일~9월 16일 동안 진행된 차기 WTO 사무총장 선출 절차 1차 라운드를 마친 결과 한국을 포함한 나이지리아, 케냐, 사우디 아라비아, 영국 등 총 5개국 후보자가 2차 라운드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총 8개국 후보자가 지난 7월부터 9월초까지 경합을 펼친 결과, 1차 라운드에서는 지지도가 낮았던 멕시코, 이집트, 몰도바 등 3개국 후보자들이 탈락했다.
브라질 국적 호베르투 아제베두 사무총장이 조기 퇴진을 선언해 실시되는 WTO 사무총장 선출 절차에는 한국인으로서는 이번이 세번째 도전이다.
유 본부장의 2차 라운드 진출은 현직 통상 장관으로서 유 본부장의 25년간 쌓아온 전문성과 자질, K-방역 등 코로나-19의 성공적인 대응과정에서 높아진 한국의 위상, 그리고, 초기부터 산업부, 외교부, 재외공관 등 범정부 TF를 중심으로 한 협업과 지원의 성과로 평가된다.
유 본부장은 제네바 등 유럽 현지 2차례 방문과 미국 방문 등을 통해 총 140여개 회원국의 장관급 및 대사급 인사와 다양한 계기로 접촉하고 지지를 요청했다.
한편, 산업통상자원부와 외교부는 주제네바 대표부 및 각국 재외공관 간 삼각채널을 구성, 163개 WTO 회원국과 각국 제네바 대표부, WTO 회원국의 주한 공관에 유 본부장에 대한 지지교섭 활동을 다각도로 전개해왔다. 정상외교 차원에서도 통화나 면담을 통해 우리 후보자의 장점을 적극 알려왔다.
2차 라운드에서는 5명의 후보자에 대한 회원국 간 협의 절차를 거쳐 최종 2인의 후보자가 최종 라운드에 진출한다. 164개 회원국별로 2명의 후보만 선호를 표시할 수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나이지리아의 오콘조 이웰라는 국제사회에서 지명도가 높고 득표에 유리한 아프리카 출신이라는 점에서 경쟁력 있는 후보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의 우방인 영국의 리엄 폭스 전 국제통상부 장관은 유일한 선진국 후보다.
이 밖에도 케냐와 사우디 아라비아 후보도 국제사회에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차 라운드는 9월 24일부터 시작하여 10월 6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일정은 선출 절차를 주관하는 WTO 일반이사회 의장이 회원국들과 협의를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