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2월 19일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부자 연구 10년을 담은 ‘대한민국 부자보고서’의 단행본을 발간했다.
2007년부터 매년 ‘대한민국 부자보고서’를 발간해온 하나은행은 외부로 공개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연구 결과를 책으로 엮어 단행본으로 발간했으며, 부자 10명 중 6명이 상속을 통해 부를 일궜으며, 보유한 총 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 차지해 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의 부자 10명 중 2∼3명만 자신을 부자라고 생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자의 자산 기준을 100억원으로 생각하는 비율은 2020년 28%에서 2022년 46%까지 상승해 절반에 육박했다.
2022년부터는 부자의 기준을 300억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10%를 넘기 시작해 초고액 자산가가 보편화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가 보유한 총자산의 절반 이상은 부동산이 차지했으며, 해외 부자의 부동산 비중이 15%인 것과 비교하면 3배가량 높은 수준으로, 부자의 95%가 자가를 보유하고 있고, 추가 부동산을 보유한 비율도 절반을 훨씬 웃돌았다.
보고서는 최근 10년간 주택가격이 약 40% 상승했고 관련 펀드 규모도 7배 이상 성장하며 부동산이 부의 수단이 됐다고 분석했다.
코로나19 대유행(팬데믹) 기간에 10% 이상 수익을 낸 부자는 10명 중 3명꼴로 일반인의 2.4배에 달했다.
부자는 팬데믹 초기 유동자금을 확보하고, 주가가 상승하면서 간접투자를 줄이는 대신 주식 비중을 확대했고 팬데믹이 길어지면서 경기 침체 등 불안이 지속되자 예금, 채권 등 안전자산과 달러 등 외화자산으로 관심을 돌렸다.
지난 10년간 부자 10명 중 6명이 ‘상속형 부자’인 흐름은 지속됐다.
부자 중 40대 이하의 이른바 ‘영 리치’는 부동산보다 금융자산 비중이 높고, 10명 중 7명 이상이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등 재테크에 적극적이었으며 20%는 가상자산을 보유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측은 “이 책을 통해 지난 10년간 부자들의 특성이나 투자 패턴이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다음 10년 대한민국 부자들의 모습이 어떻게 바뀔지 관심을 가져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