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 위로 집 한 채가 스르르 흘러갔다. 선상의 점심 식사는 생선과 쏨담, 찰밥, 쌀국수 등 라오스 전통현지식이었다. 식사하는 동안 앞에 설치된 노래방 뮤직비디오에서는 진성의 ‘안동역’이 흥을 돋웠다. 태진아의 ‘옥경이’와 박상철의 ‘황진이’도 함께 흘러나왔다. 쭈뼛쭈뼛하던 이들이 식탁에서 하나둘씩 일어나 노래를 불러제꼈다. 상류에서 유턴해 다시 돌아오는 옆 배에서도 한국인들이 소위 ‘관광버스춤’을 추는 아저씨와 아주머니들이 몸을 흔들었다.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 근교의 탕원 지역 남늠강 유원지의 풍경이다. 영락없이 삼겹 지붕의 라오스식 기와집이 강물을 떠다녔다. 음악처럼 흘러다녔다. 음식이나 배의 모습이 홀딱 반할 정도로 맛있거나 아름답지는 않았다. 하지만 강물은 유유히 흘러갔다. 그 흘러가는 강물을 보면서 오랜만에 나를 잊었다. 아침마다 일어나자마자 부리나케 회사를 향해 나서는 매어 있는 그 고단한 일상마저 잠깐 잊었다. 인생을 살면서 가장 행복한 시간은 과연 언제일까? 어떤 이는 많은 순간들이 있지만 어쩌면 지금 살고 있는 순간이라고 말한다. 처음 순간이고 마지막인 순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릎이 성할 때, 더 늙기 전에 한 곳이라도 더 여행하고 싶어 ‘
한국 예능방송 ‘꽃보다 청춘’에서 소개된 방비엥편은 동남아 여행 판을 크게 흔들었다. 그동안 한국에서 생소했던 인구 2만 5000명의 소도시 방비엥을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동남아 도시 중 하나로 바꾸었다. 이 반전드라마를 쓴 비장의 무기는 액티비티와 가성비였다. 버기카-블루 라군-집라인-카약-물동굴 체험 등의 액티비티와 동굴 체험과 열기구를 타면 누구나 청춘이었다. 액티비티의 장점은 순간순간 짜릿함에 집중하다 보니 세상사를 잊어버릴 수 있다는 것. 비워야 채울 수 있는 법, 자기 삶을 주도로 살고 있을 때 행복하다. 강변북로에 미세먼지가 아닌 방비엥 비포장도로에서 뿌연 흙먼지를 마시며 달리면서도 즐거운 것이 행복이다. 방비엥은 액티비티만으로 힐링이 되고 즐거움을 유혹하는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 비엔티안에서 라오스 1호 고속도로로 1시간 40분 ‘라오스의 소계림’ 방비엥은 비엔티안에서 라오스 1호 고속도로로 거리 170km다. 3년 전 개통된 이 길은 중국이 만들어준 도로다. 예전에 4시간이 걸렸지만 고속도로 개통으로 1시간 40분이면 충분하다. 그런데 도로가 텅 비어있다. 웬일인가? 일반 운전자들이 4시간이나 걸리는 다른 도로를 더 이용하기 때문이다.
비엔티안(Vientiane)은 라오스의 수도다. 라오어로 ‘비앙(vieng)’은 도시를 의미하며, ‘티안(tiane)’은 달을 가리킨다. 즉 비엔티안은 '달의 도시'라는 뜻이다. 라오스는 바다가 없는 내륙국가다. 대신 티벳에서 발원해 미얀마-태국을 거쳐 캄보디아-베트남으로 흐르는 2700km의 메콩강(약 4909km)의 절반을 차지하는 나라다. 이 강은 세계에서 10번째로 길다. 이 메콩강의 영향으로 비엔티안은 도시 면적의 약 47%가 강, 늪지, 범람원 등으로 구성된다. 인구 93만 명으로 동남아서 가장 조용한 수도답게 높은 빌딩도 별로 눈에 띄지 않았지만 메콩강가에 가면 활기가 살아났다. 비엔티안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빠뚜싸이(Patouxay) 전망대에서 대통령궁으로 이어지는 타논 란쌍의 직선 도로다. 빠뚜싸이와 메콩 강변 야시장을 둘러보았다. ■ 프랑스 독립 기념 건설 ‘빠뚜싸이’, 파리 개선문 본딴 ‘아이러니’ 라오스에서 비엔티안과 자주 비교되는 도시가 북부의 옛 수도 루앙프라방이다. 13세기 통일국가 북부의 란쌍 왕국의 수도로 라오스의 역사와 전통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문화도시다. 비엔티안은 16세기부터 수도였지만 프랑스로부터 독립 후에야 수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은 루앙프라방과 함께 뉴욕타임스 선정 ‘꼭 가봐야 할 곳’ 1위에 오른 적이 있다. 바다가 없는 내륙 국가 라오스는 왼쪽에는 베트남, 오른쪽에는 태국, 그리고 미얀마와 캄보디아와 중국 등 5개국에 둘러싸여 있다. 라오스를 찾는 이들이 가장 행복해하는 순간들은 무엇일까? 아니 비엔티안에서는? 불교국가의 상징 새벽 탁발에 이어 에메랄드 불상이 있었던 ‘왓호빠깨우(Wat Ho phra keo)’와 그리고 황금불탑을 찾아가봤다. ■ 200여년 모셔져 있던 에메랄드 불상, 태국에 빼앗겨 ‘태국 국보 1호’ 왜? 비엔티안에 있는 사원 중 가장 유명한 곳은 ‘왓호빠깨우’와 소위 ‘황금불탑’으로 알려진 ‘탓 루앙(Pha That Luang)’일 것이다. ‘왓호빠깨우’ 사원은 신비한 ‘에메랄드 불상’으로 알려진 프라깨우를 모시기 위해 만든 왕실 사원이다. 태국 북부의 란나 왕국에서 가져온 에메랄드 불상을 루앙프라방에서 비엔티안으로 수도를 옮기며 1565년 ‘세타티랏 왕’의 명령으로 건설되었다. 하지만 1779년 태국의 샴 왕국과의 전쟁 때 사원은 전체가 파괴되고 소실되었다. 특히 200여년 모셔져 있던 에메랄드 불상은 태국에 약탈당했다. 현재 에메랄드 불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은 루앙프라방과 함께 뉴욕타임스 선정 ‘꼭 가봐야 할 곳’ 1위에 오른 적이 있다. 바다가 없는 내륙 국가 라오스는 왼쪽에는 베트남, 오른쪽에는 태국, 그리고 미얀마와 캄보디아와 중국 등 5개국에 둘러싸여 있다. 임주홍 전 라오스 대사는 아세안익스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메콩강을 닮아 온화한 성품을 지닌 50개의 민족들이 천혜의 자연 속에서 어울려 살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최근에는 한국의 tvN 예능 프로그램인 ‘꽃보다 청춘’에서 방비엥-루앙프라방이 소개 동남아 여행의 판도를 바꾸는 일이 생겼다. 라오스를 찾는 이들이 가장 행복해하는 순간들은 무엇일까? 아니 비엔티안에서는? 기자는 생애 첫 라오스 새벽에 일어나 탁발 현장을 따라가봤다. ■ 라오스의 새벽 탁발, 관광이 아니라 일년내내 하루빠짐없이 치러지는 종교의식 외국에서 라오스를 찾아온 이들이 이 나라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으로 새벽 6시에 일렬로 시작하는 100~200명이 하는 탁발(托鉢)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런 대규모 탁발 모습은 도시에 70여개의 사원이 있는 북부 루앙프라방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다. 나는 루앙프라방이 아닌 라오스 수도 비엔티안에서 그 모습을 지켜보고 싶었다.
계절의 여왕 5월이었다. 사방에 신록이 들어서는 계절, 더 짙은 녹음이 있는 상하(常夏)의 나라 라오스를 찾았다. 뭐랄까. 여행이라기도 그렇고 관광도 아니었다. 아니다. 여행이라고 강변하겠다. 그리고 순전히 내가 사랑하는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 때문이라고 우기고 싶어졌다. 이 여행은 순전히 하루키의 에세이 때문에 시작되었다. 그의 에세이 속 가이드는 옳았다. 라오스는 별 게 없었다. 화려한 볼거리도 놀라운 풍경도 없었다. 편리하지 않았고, 큰 영감을 주는 장소도 적었다. 사찰의 풍경과 불교식 건축물도 태국과 베트남서 봤던 것들이었다. 여행지나 관광지로나 낙제점을 맞아야 할 라오스, 그런데 왜 라오스는 매력적일까. 그의 여행에세이를 읽지 않았더라면 영영 오지 않을 수도 모를 그런 나라였다. 어느 순간 에세이 때문에 꼭 가고 싶은 나라가 되었고, 가보니 그의 말 대로였다. “라오스(같은 곳)에 대체 뭐가 있는데요?”라는 베트남 사람의 질문에 나는 아직 명확한 해답을 찾지 못했다. 내가 라오스에서 가져온 것이라고는, 소소한 기념품 말고는 몇몇 풍경에 대한 기억뿐이다. 그러나 그 풍경에는 냄새가 있고, 소리가 있고, 감촉이 있다. 그곳에는 특별한 빛이 있고, 특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