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장관이 지난 2일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에서 개최된 ‘한류 전시회(Hallyu Exhibition)’의 개막식에 참석하였다.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박 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 전시회의 개막식에 하자 사라야(Datuk Hajah Saraya)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MOTAC) 차관, 아메루딘 아마드(Amerrudin Ahmad) 국립미술관장 등 200여 명의 주요 인사들과 함께 참석하였다. 이 행사는 주말레이시아 한국대사관과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이 공동주최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40주년을 기념하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측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한류(Hallyu : Korean Wave)’를 주제로 두 나라 작가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미디어아트, 설치 미술 등 총 10개 테마의 작품들이 4개월간(5.1-9.16) 전시된다. 참여작가는 한국에서는 진영선 고려대 명예교수, DaViz(오은석, 박규동 광운대 교수), 부경희 광운
‘앙코르와트’ 왕국의 웅장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면서 캄보디아에서 최초로 열리는 동남아시안게임(SEA Games)가 5일 개막식을 열었다. 제32회 동남아시안게임은 주최국 캄보디아 훈센(Hun Sen) 총리가 참석, 수도 프놈펜 모라독 테코 스타디움서 개막식을 열었다. 아세안 11개국들의 선수들은 5월 17일까지 40개 종목에서 메달을 놓고 열전을 벌인다. 대회 마스코트는 두 마리 토끼 Borey와 Rumduol 로 지성과 민첩성 및 성실성을 나타낸다. 제32회 동남아시안 게임의 공식 슬로건은 ‘Sports in Peace’이다. 동남아시안게임은 동남아시아 경기대회 연맹이 주관하고 국제올림픽 위원회와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가 감독을 맡아 동티모르 등 동남아 11개국 약 1만1000명(선수 약 4900명)이 참가하는 스포츠 대회다. 대회 초기에는 동남아시아 반도게임(South East Asian Peninsula Games)라는 이름을 썼다. 1958년 5월 도쿄 아시안 게임에서 동남아 스포츠 기구가 처음 논의되었다. 창립 당시 회원국은 베트남,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로 총 6개국이었다. 1959년 태국 방콕에서 제1회 대회가 열렸다. 197
이상덕 주인도네시아 한국 대사는 5월 2일 마헨드라 시레가(Mahendra Siregar) 인도네시아 금융서비스위원장(OJK chairman)을 면담하고 금융협력을 논의했다.. 마헨드라 시레가 위원장은 인도네시아국립대학교(UI)에서 학사, 멜버른의 모나쉬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6년에 외무성에서 전문적인 경력을 시작했다. 주미 인도네시아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부 차관직을 거쳤다. 한편 한국은행은 2일 이창용 총재가 페리 와르지요(Perry Warjiyo)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와 양국 원-루피아화 직거래 촉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에 따라 두 나라는 경상-직접 투자 거래 과정에서 민간 은행이 원화-·루피아화 직거래를 통해 결제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다.
올해로 10주년을 맞은 한국다문화재단은 5월 말 컴백하는 걸그룹 해시태그를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한국문화재단은 한국과 베트남 K-POP 문화 교류 행사 및 사회 공헌 일환으로 3x3농구 대회를 개최를 계획하며 5인조 걸그룹 해시태그와 다각적인 문화 교류의 장을 열게 되었다. 2013년 6월에 창립한 한국다문화재단은 소외된 사회계층 외국인 근로자, 유학생, 어린이난치병 환자 등에게 사랑, 나눔, 행복을 전하기 위해 여러 기부자들과 함께하는 단체이다. 특히 재단 측은 해외에서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노인 복지사업, 다문화 복지사업의 일환인 의료지원 활동, 교육지원, 청소년 복지사업 등의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다문화재단에서 추진하는 난치병 어린이 돕기 사업이 7회 차가 되면서 아세아 3x3 농구 행사와 시민 농구단을 이끌며, 매년 난치병 어린이들을 위한 뜻깊고 의미 있는 행사를 하고 있으며, 지난해와 올해는 대구시 달서구에 있는 성서 아웃렛 타운 야외공원에서 열었다. 권재행 한국다문화재단 대표는 "이번 행사 때 5월 말 컴백하는 걸그룹 해시태그를 홍보대사로 위촉하면서 한국다문화재단과 함께 K-POP 문화도 베트남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 널리 알리면서 뜻
멤버들의 입대로 활동을 중단했지만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티켓 파워는 여전히 막강했다. 슈가가 지난달 발표한 첫 번째 솔로 정규 앨범 ‘D-데이’(D-day)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 2위에 올랐다. 2일(이하 한국시간) 빌보드는 최신 차트(6일 자)를 통해 ‘D-데이’가 한 주간 14만 장 팔려 2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슈가의 실물 음반 판매량은 12만 2000장이었다. 스트리밍 환산 수치는 1만2 500장, 다운로드 환산 수치는 5500장이었다. 실물 음반으로는 이번 주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됐으며 올해 들어 네 번째로 가장 높은 주간 판매량을 기록했다. 슈가는 RM과 지민 이어 BTS의 ‘톱10’ 3번째 멤버로 올랐다. 특히 지민이 지난달 초 ‘페이스’(Face)로 2위를 기록한 ‘역대 케이(K)팝 솔로 가수 최고 순위’와 같다. RM은 지난해 ‘인디고’(Indigo)로 3위를 기록했다. 지민의 솔로 음반의 타이틀곡인 ‘라이크 크레이지(Like Crazy)’는 빌보드 핫100 차트 1위에 올랐다. 슈가는 솔로 활동명 ‘어거스트 디’(Agust D)로 2016년 ‘어거스트 디’, 2020년 믹스테이프 ‘D-2’ 이후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는 5월 3일(수) 오후 2시,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 한라 A홀에서 ‘제6차 한-아세안 EV 포럼’을 세계전기차협의회와 공동으로 개최한다. 동 포럼은 한-아세안센터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된다. 또한, 한-아세안센터는 ‘제10회 국제전기차엑스포(IEVE)’에 참가하여, 5월 2일(화)부터 나흘 간 전시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2018년부터 개최된 ‘한-아세안 EV 포럼’은 한국과 아세안 국가 간 전기차 정책 및 양지역의 산업 전망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해왔다. 한-아세안센터는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과 e모빌리티 산업 관련 정책 및 협력 기회를 공유하고 한국과 아세안 간 견고한 파트너십을 재확인하기 위하여 올해 처음으로 본행사를 세계전기차협의회와 공동 주관한다. 한국과 아세안의 공공 및 민간 부문 전문가가 모이는 동 포럼의 기조연설은 아시아 전기차협회(AFEVA) 애드먼드 아라가(Edmund Araga) 회장이 진행할 예정이다. 이어서 첫번째 세션에서는 한국전기차협회(KEVA), 코트라(KOTRA), 주한베트남대사관 등 유관 공공기관 전문가들이 연사로 참여해 한-아세안 최신 EV 정책과 협력 기회에 대해 논의
“글로벌 시장에서도 1등 사과 명성 지키겠다.” 청송군(군수 윤경희)은 4월 28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현지 대형유통업체인 디존팜(대표 캐서린 디 포사스) 및 청송사과유통센터와 3자간 수출·입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청송군은 앞서 인도네시아 쿼터 승인을 받아 사과 300톤 및 사과주스 무제한 수출이라는 큰 업적을 달성한 바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새 수출국을 확보하게 되었다. 업무협약서에는 판매확대를 위한 노력과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한 다양한 시책추진, 고품질 사과확보 및 원활한 수출 협조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디존팜은 1960년대에 설립된 필리핀 현지 과일 전문 유통업체다. 현재까지 로빈슨 그룹을 비롯해 필리핀 내 100개 이상의 슈퍼마켓에서 과일 유통을 취급하고 있다. 군은 이미 지난 3월부터 청송사과 6톤 정도를 선적했으며 향후 물량을 확대하여 지속적인 수출을 할 계획이다. 이미 선적된 수출사과는 마켓플레이스 및 로빈슨 슈퍼마켓 등 필리핀 현지 대형 유통판매점을 통해 현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어 해외 시장 선점을 위한 청송군과 유통센터의 발 빠른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업무협약 체결로 한국 1등 사과인 청송사과의 우수성을 해
정영수 주라오스 한국대사는 4월 24일 수안사반 빅나켓(Suansavanh VIGNAKET) 라오스 정보문화관광부 장관을 예방하여 정보, 문화, 관광 분야에서의 한-라 협력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혁 전 주베트남대사와 김홍주 전 부산외대 총장이 박진 외교부 장관 특사 자격으로 라오스 비엔티안을 방문, 현지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라오스와의 관계를 강화 의사를 전했다고 28일 외교부가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특사단은 이번 방문을 계기로 라오스 외교부·산업통상부 차관 등과 만나 “한·라오스 간 고위급 교류가 확대돼 양국 관계가 지속 심화·발전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호치민 관광도 전기자동차로 하세요.” 호치민시 교통국은 관광객을 시내 곳곳으로 수송하기 위해 전기자동차를 시범 운행하기로 했다. 베한타임즈 4월 28일자에 따르면 4월 30일부터 각각 5~14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200대의 전기자동차를 30km의 최고 속도로 운행한다. 관광객은 모바일 앱을 통해 또는 직원에게 직접 전기자동차 서비스를 예약하면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노선은 4월 30일에 시작된다. 1군에서 냐롱(Nhà Rồng) 항구, 칸호이(Khánh Hội) 다리를 건너 똔득탕(Tôn Đức Thắng), 응우옌빈키엠(Nguyễn Bỉnh Khiêm), 응우옌티민카이(Nguyễn Thị Minh Khai), 황사(Hoàng Sa), 하이바쯩(Hai Bà Trưng), 응우옌반크(Nguyễn Văn Cừ), 보반끼(Võ Văn Ki) 거리, 칼메트(Calmette) 다리 및 반돈(Vân Đồn)으로 지나간다. 올해 4분기부터 시작되는 2단계는 서비스가 5군으로 확대된다. 3단계에서는 2024년 1분기부터 3군, 10군, 투득시를 커버하게 된다. 앞서 시 인민위원회는 4개 기업이 전기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하지만 푸미흥(Phú M
베트남 대기업 빈그룹(Vingroup)과 팜 녓 브엉(Pham Nhat Vuong) 회장은 2024년 전기자동차 제조업체 빈패스트(VinFast)에 25억 달러(약 3조 3525억 원)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사이공타임즈 4월 27일자에 따르면 “브엉은 빈패스트에 미화 10억 달러를 기부하고 빈그룹 JSC는 미화 5억 달러를 후원하고 빈팬스에 최대 5년 동안 미화 10억 달러의 대출을 제공”한다. 이 투자는 빈패스트가 해외 시장에서 특정 성과를 달성하고 생산 및 사업 목표를 지속적으로 실현한 후에 나왔다. 빈패스트에 추가 지원은 빈패스트 발전과 글로벌 시장 성장에 큰 힘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빈그룹 JSC의 응우옌 비엣 꽝(Nguyen Viet Quang) 부회장 겸 CEO는 “빈패스트의 성장 잠재력은 지난 5년 동안 입증되었다. 이제 빈패스트가 성장을 가속화하고 글로벌 전기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할 때다”라고 말했다. 빈패스트는? 전기 자동차와 오토바이의 제조 및 판매를 전문으로 하기 위해 2017년에 설립된 빈그룹의 의 자회사다. 지금까지 빈패스트는 6개의 전기 자동차 모델을 출시했다. 약 3000대의 전기 자동차를 해외 시장에 수출했다. 빈패스트는
문승현 주태국한국대사가 4월 27일 대사관에서 서영기 포스코 태국 대표법인장 등 진출기업인들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는 기업 경영 현안 및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활동 계획, 향후 한태 경제협력 확대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편 주태국한국대사관이 태국 최대 명절인 송끄란을 축하하기 위해 제작한 영상이 태국 현지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영상을 함께 제작한 주태국한국문화원에 따르면, 영상을 올린 지 일주일 만인 4월 13일 기준 영상이 게시된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등의 소셜미디어 조회수가 100만회를 훌쩍 넘어섰다. 페이스북 팔로워 270만을 보유하고 있는 찻찻 방콕시장은 SNS에 영상을 공유했다. 찻찻 시장은 “여러분 모두 문 대사님과 한국대사관 그리고 한국문화원의 송끄란 춤을 감상해 보시죠. 특히 올해는 한국과 태국의 수교 65주년이 되는 해입니다”라며 시청을 권유했다.
한-아세안센터(사무총장 김해용)가 4월 28일 한국프레스센터 기자회견장에서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결과 발표 및 좌담회’를 개최했다. 좌담회는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2개년 프로젝트 중 2021년 정량조사에 이어 2022년 진행한 정성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다. 한국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의 정부인사, 언론, 학계, 청년 등과 함께 청년들의 인식을 다방면에서 살펴보고, 인식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해용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이 환영사를 했고, 간디 슐리스티얀토 소에헤르만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가 축하를 했다. 라운드테이블은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진행되어, 한-아세안센터 유튜브 채널(http://www.youtube.com/akcsns)을 통해 생중계되었다. 아세안익스프레스가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 조사 결과 발표 및 좌담회’를 지상중계한다. ■ 1세션 – 2022 한-아세안 청년 상호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및 토론 1세션은 마이사라 마지드 한-아세안센터 정보자료국 부장이 발표와 사회를 맡았다. 토론 패널에는 정철근 코리아중앙데일리 대표, 쩡 카잉 번 베트남 뉴스 에이전시 서울지국장, 윤진표 성신여대 정치외교학